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확인실험수업과 발견실험수업이 중학생의 논의활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혜선 한국교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두가지 실험 유형인 확인실험수업과 발견실험수업에서 현재 중요시 되고 있는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의사 결정 활동에 필요한 논의활동에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남녀 공학 A중학교 1학년인 남녀 합반 4개의 학급(86)을 대상으로 동일한 탐구주제에 대한 4개의 반에 확인실험수업과 발견실험수업을 진행하였다. 3개의 탐구주제에 대한 344개의 탐구보고서를 수집하였고 탐구보고서에서 나타난 논의활동의 상이한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소집단에서 나타난 논의활동을 녹음, 녹화하여 전사본을 수집하였다. 두 실험 유형에 따라 실험결과 예상단계와 결과분석단계에서 학생들이 제시하는 주장의 유형, 주장에 대한 근거의 다양성과 근거의 정확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확인실험수업과 발견실험수업의 탐구보고서에서 나타나는 주장과 주장에 대한 근거 제시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각 탐구단계에서의 소집단 논의과정을 녹화 및 전사하였다. 그 결과, 탐구주제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때 발견실험수업에 비해 확인실험수업에서 정확한 용어를 사용하여 근거를 제시하는 학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방을 설득시키고 상대방 의견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의미 있는 협상과 타인의 상호작용을 통해 올바른 결론을 도출해내는 논의활동이 이루어졌는 것으로 분석된다. 탐구보고서의 분석 결과 드러난 실험유형에 따른 논의 활동의 차이를 논의과정 구조 분석틀을 이용하여 확인실험수업과 발견실험수업에서의 학생들의 논의활동을 살펴본 결과 발견실험수업에서는 단순반박과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을 요청하며 단순호응과 반박의 논의과정 요소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의사결정 능력을 기르기 위한 논의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실험의 목적에 맞는 실험 수업의 유형을 선택하여 수업을 구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중등교사의 지식공유행위에 대한 인과모형 검증 : 합리적 행위이론을 중심으로

        서혜선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전문적인 지식 인력으로서 교사들은 학교체계에서 많은 양의 정보와 지식의 원천이자 창조자이다. 지식관리와 조직의 학습이라는 측면에서 교사들이 지식을 공유하도록 유도하는 요인들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기반의 교육행정을 위해 중등학교 교사들의 지식공유에 대한 인과적 모델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모델은 합리적 행위이론 모델이었다. 대전광역시에 근무하고 있는 427명의 중등교사들로부터 수집한 교사의 지식공유행위에 대한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경로분석 방법과 이원반복변량분석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식공유행위의 보상에 대한 이론들은 재검증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정성, 신뢰성, 교장의 지원적 리더십은 학교조직의 풍토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보상에 대한 기대, 관계에 대한 기대, 그리고 조직기여에 대한 기대는 중등교사들의 지식공유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공유태도와 학교조직의 풍토가 지식공유의도에는 유의미한 변인들이었으나 지식공유의도와 지식공유행위사이에는 이러한 인과적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Teachers as professional knowledge workers are the sources and creators of much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school system. The factors that induce teachers to share knowledge are important in knowledg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learn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a causal model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in secondary school teachers for knowledge-based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basic research model under investigation was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model. The model was empirically examined, using the responses to survey on teachers' knowledge sharing behavior collected from 427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proposed research model was tested by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path analysis and two-way mixed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reward for knowledge sharing behavior may need to be reexamined. The fairness, reliability, and principals' supportive leadership were related to the climate of the school organization. However, the expectations for reward, inter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the contribution to the school organization did not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attitude toward knowledge sharing among the secondary teachers. Although the attitude toward knowledge sharing and the climate of the school organization were significant variable in the intention of knowledge shar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tion of knowledge sharing and the behavior of knowledge sharing. Based on the results, the school administrative strategies were discussed.

      • 아동이 지각하는 교사의 지도성 유형 및 학급 풍토에 따른 또래 괴롭힘의 차이

        서혜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사의 지도성 유형과 학급 풍토에 따라 학급 내에서 발생하는 또래 괴롭힘 정도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하는 교사의 지도성 유형에 따라 또래 괴롭힘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아동이 지각하는 학급 풍토에 따라 또래 괴롭힘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아동이 지각하는 교사의 지도성 유형과 학급 풍토 유형에 따라 또래 괴롭힘에는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 5, 6학년 861명 아동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래괴롭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김정아(2000)가 PNI 및 SEQ 도구를 결합, 수정하여 만든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교사의 지도성 유형을 측정하기 위해서 Halpin의 지도자 행위 기술 질문지(LBDQ: Leadership Behavior Description Questionnaire)를 토대로 정영숙(2003)이 사용한 것을 사용하였고, 학급 풍토 측정 는 Halpin과 Croft가 개발한 조직 풍토 기술 질문지(OCDQ)를 김창걸(1985)이 초등학교 학급 실정에 적합하게 수정, 발전시킨 것을 이현주(2004)가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먼저 교사의 과업 점수와 인화 점수를 가지고 지도성 유형을 분류하고, 지도성 유형과 또래 괴롭힘 정도의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고, 유의한 차이가 발견된 집단에 대해서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다. 학급의 풍토를 교사의 추진성과 아동의 자발성 점수 결합, 교사의 지시성과 아동의 추종성 점수 결합, 교사의 사려성과 아동의 친밀성 점수 결합, 교사의 방임성과 아동의 임의성 점수 결합하여 자율적 풍토, 통제적 풍토, 친교적 풍토, 임의성 풍토로 분류하였다. 학급 풍토 경향성이 강한 학급을 선정하여, 학급 풍토 유형별 괴롭힘 정도의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고, 유의한 차이가 발견된 집단에 대해서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다. 교사의 지도성 유형과 학급 풍토를 합쳐서 6개의 집단으로 나누었다. 25학급을 효율-자율, 비효율-자율, 비효율-통제, 과업중심-자율, 과업중심-친교, 인화중심-자율로 분류하였다. 교사의 지도성 및 학급풍토 유형에 따른 또래 괴롭힘 정도의 차이 검증을 위해 지도성-학급풍토를 독립 변인으로 하고, 또래평가 또래 괴롭힘을 종속 변인으로 하여 일원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하는 교사 지도성 유형에 따른 또래 괴롭힘 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사 지도성 유형간의 또래 괴롭힘 정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아동이 교사의 지도성을 효율적, 인화 중심적이라고 지각할수록 또래 괴롭힘의 정도가 낮았고, 지도성을 비효율적, 과업 중심적이라고 지각할수록 또래 괴롭힘의 정도가 높았다. 둘째, 아동이 지각하는 학급 풍토 유형에 따른 또래 괴롭힘의 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급 풍토 유형간의 또래 괴롭힘 정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아동이 학급을 통제적, 친교적 풍토로 지각할수록 또래 괴롭힘 점수가 높았고, 아동이 학급을 자율적이라고 지각할수록 또래 괴롭힘 점수가 낮았다. 셋째, 아동이 지각하는 교사의 지도성과 학급 풍토 유형에 따라 또래 괴롭힘의 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사의 지도성 및 학급 풍토 유형간의 또래 괴롭힘 정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효율적 지도성- 자율적 풍토와 인화중심 지도성- 자율적 풍토에서 또래 괴롭힘 점수가 낮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서 교사의 지도성 유형과 학급 풍토의 유형에 따라 또래 괴롭힘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아동 간에 발생하는 또래 괴롭힘 현상은 교사의 지도성 유형과 학급 풍토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아동이 생활하는 학급의 풍토가 그리고 아동을 지도하는 교사의 지도성이 또래 괴롭힘 현상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말해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또래 괴롭힘 현상에 있어서 학급의 분위기를 이끌고 학급풍토를 조성하는 교사의 학급 운영 방식과 태도,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며, 학급 환경에 초점을 두는 개입과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eacher leadership style and classroom climate to peer bullying in the classroom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Does teacher leadership style perceived by children make any differences to peer bullying? 2. Does classroom climate perceived by children make any differences to peer bullying? 3. Does children's perception of teacher leadership style and classroom climate make any differences to peer bully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16 fifth- and sixth-grade children from three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on which a survey was conducted. Kim Jeong-ah(2000)'s modified version of PNI and SEQ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level of peer bullying, and Jeong Young-suk(2003)'s inventory based on Halpin's Leadership Behavior Description Questionnaire(LBDQ) was utilized to assess the leadership styles of their teachers.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classroom climate was Lee Hyeon-ju(2004)'s inventory, which was a modified version of Kim Chang-geol(1985)'s inventory that modified Halpin and Croft's Organizational Climate Description Questionnaire(OCDQ) to suit elementary school circumstances. For data handling, SPSS/WIN 12.0 program was used. The leadership styles of their teacher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scores the children gave to the initiating structure and consideration of their teachers, and one-way ANOVA was implemented to look for connections between the leadership styles and the extent of peer bullying. A post-hoc analysis was conducted wh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ur classroom climates were selected by adding the drive scores of the teachers to the children's spontaneity scores, the directiveness scores of the teachers to their compliance scores, the considerativeness scores of the teachers to their intimacy scores, and the laissez-faire scores of the teachers to their voluntariness scores The four selected classroom climates were autonomous, controlled, intimate and optional ones. ANOVA was carried out to see if the types of classroom climate made any differences to the extent of peer bullying after selecting a class in which one of the four classroom climates was more prevailing, and a post-hoc analysis was made when there w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25 classes in which the children were enrolled were classified into six groups according to the teacher leadership styles and classroom climates: efficient- autonomous, inefficient-autonomous, inefficient-controlled, initiating structure-autonomous, initiating structure-intimate and consideration- autonomous groups. When ANOVA was carried out, the leadership and classroom climate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the leadership and classroom climate types on the level of peer bullying, and peer evaluation and peer bullying were select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regard to the impact of the perceived teacher leadership styles on the extent of peer bullying, the teacher leadership styles made a difference to the level of peer bullying. Peer bullying took place less when the children considered the leadership of their teachers to be efficient and considerate, and that was more prevalent when they found the leadership of their teachers to be inefficient and initiating structure. Second, as for the impact of the perceived classroom climate types on the level of peer bullying, the perceived classroom climate types made a difference to the extent of peer bullying. The peer bullying scores got higher when the children deemed their classrooms to have a more controlled or intimate climate, and that scores got lower when they considered their classroom climate to be more autonomous. Third, concerning the relationship of the perceived teacher leadership and classroom climate types to the extent of peer bullying, the level of peer bullying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wo factors. The peer bullying scores got lower when the efficient leadership was added by the autonomous classroom climate and when the consideration leadership was accompanied by the autonomous climate.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teacher leadership styles and classroom climate types made a difference to the level of peer bullying. It denoted that the peer bullying phenomena among the children might hinge on the teacher leadership styles and classroom climates, and that the climate of the classroom, where children spend most of time, and the leadership of teachers, who teach them, might serve as vital variables to predict peer bullying phenomena. As a consequence, the importance of the classroom management of teachers who create their classroom climate is stressed in this study in association with peer bullying phenomena, and the necessity of the kind of intervention and strategy that focus on classroom environments is accentuated as well.

      •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 분석

        서혜선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의 장르별 생태존중의 하위범주 내용은 어떠한지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발달의 적합성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의 장르별 생태존중에 관한 하위범주 내용은 어떠한가? 1-1)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의 장르는 어떠한가? 1-2)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생태존중에 관한 하위범주 내용은 어떠한가? 1-3)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의 장르별 생태존중에 관한 하위범주 내용은 어떠한가? 2.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발달의 적합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2015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단행본 그림책 가운데 생태주제의 내용을 담고 있는 유아들이 읽을 수 있는 생태그림책 132권을 대상으로 분석목록의 신뢰도 검증 후, 생태그림책의 장르 분석을 위해서 선행연구(김정원, 전선옥, 이연규, ;2014, 서정숙, 남규, 2006)를 참고하여 분석기준을 정하였다. 또한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생태존중의 하위범주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서 지속가능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의 핵심가치 중 ‘생태적 다양성의 존중’을 ‘생태 존중’이라 정하고, 김경중(2007)의 생태유아문학 분류체계를 참고하여 분석기준을 정해 사용하였다.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해서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발달 적합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허경희(2012)의 환경주제의 그림책 내용 적합성과 서정숙, 외(2004)의 그림책의 발달 적합성을 참고하여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발달 적합성 분석기준을 정하였으며, 이러한 분석기준을 근거로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 분석목록도구를 최종 결정하여 사용하였다. 분석목록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엑셀을 이용한 통계처리로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의 장르를 살펴본 결과, 환상그림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상그림책은 생태주제에 있어서 유아들의 상상력과 호기심을 자극하고, 자연을 친숙하게 느끼게 하며, 유아는 자신과 자연을 동일시하여, 생태환경을 존중하는 태도를 갖게 하는 장르로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의 ‘생태존중’에 관한 하위내용 영역을 살펴본 결과, ‘동·식물 생태의 이해’가 가장 많았으며, 이는 생태그림책의 주제 중 동·식물에 대한 유아들의 호기심 충족을 반영한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생태그림책은 유아들에게 동·식물의 살아가는 생태환경을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림책을 통해 다양하게 담고 있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의 장르별 생태존중에 관한 하위범주 내용은 생활그림책에서는 ‘생태현상과 순환’ 의 주제가 많았으며, 환상그림책과 정보그림책은 ‘동·식물 생태의 이해’의 주제가 많았으며, 글 없는 그림책은 ‘생태 환경의 아름다움’의 주제를 담고 있는 빈도가 높았다. 이는 장르별 특징에 따른 생태주제 선호도가 반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발달의 적합성을 살펴 본 결과, ‘문장 길이와 어휘 이해 수준 고려’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부분의 생태 그림책은 유아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을 분석하여, 생태그림책이 생태존중의 다양한 생태주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생태그림책을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지향하는 유아환경교육의 자료로써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ubcategory contents about genre-based ecological respect of ecological pictures boo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developmental adequacy in ecological picture books.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What are the subcategory contents about genre-based ecological respect of ecological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1-1) What are the genres of ecological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1-2) What are the subcategory contents about ecological respect of ecological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1-3) What are the subcategory contents about genre-based ecological respect of ecological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 What is the level of developmental adequacy in ecological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study targeted 132 ecological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by the age of 5 that contain the ecological contents, among that separate volumes of picture books, which had published from January 2015 to December 2017. After verifying the reliability of the books, analysis criteria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Jeong-won Kim, Seon-ok Jeon, Yeon-gyu Lee ;2014, Jeong-sook Seo, Gyu Nam, 2006) for analysis of genres of ecological picture books. In order to consider the subcategory contents about ecological respect of ecological picture books, also, ‘Respect for Ecological Diversity’, one of the key value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was named as ‘Ecological Respect’ an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ecological children’s literature devised by Gyeong-joong Kim(2007), analysis criteria were determined. For analyzing developmental adequacy in ecological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alysis criteria of developmental adequacy in ecological picture books were determined, based on content adequacy of Gyeong-hee Heo(2012)’s picture book about environments and developmental adequacy of Jeong-sook Seo et al.(2004). Then according to these analysis criteria, the list of ecological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as finally determine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list of analyse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and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antasy picture books occupied the biggest proportion of ecological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antasy picture book was the most preferred genre by young children, since this stimulates imagination and curiosity and makes children feel intimate with nature, and have respect for ecological environments by identifying themselves with nature. ‘Understanding of ecosystems of animals and plants’ occupied the biggest proportion of the subcategory contents about ‘ecological respect’ of ecological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t is because this topic satisfies curiosity of children about animals and plants. It was found that ecological picture books contain a variety of contents to help children understand ecological environments of animals and plants. ‘Ecological phenomena and circulation’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subcategory contents about genre-based ecological respect of ecological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many of fantasy picture books and information picture books are focused on ‘Understanding of ecosystems of animals and plants’, and the frequency of ‘Beauty of ecological environments’ was high in picture books with no texts. This shows that the preference for ecological topics depends on characteristics of genres. Second, ‘Consideration of sentence length and the level of vocabulary understanding’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 of developmental adequacy in ecological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demonstrates most ecological picture books consider the developmental level of children.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s that ecological picture books contain diverse ecological topics of ecological respect by analyzing ecological picture boo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could serve as fundamental data to use ecological picture books as data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aiming a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무대공포증 극복 방법 연구

        서혜선 숙명여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Music is the art limited in time. Therefore it, from the specific character, has to display the best ability to convey all the things, the moment it meets audiences. So, contrary to preparatory condition or musical ability, players feel a sense of unease, and such a stage fright has a negative influence on musical performance. Thus, this thesis searched the symptoms and causes of stage fright occurred due to such a sense of unease, and, on the basis of this, placed an aim at presenting the way to overcome the phobia concretely. First, I searched the symptoms and causes of the phobia. In its symptoms, I searched them with dividing into physical,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symptoms, and, in its causes, physical, psychological, and musical factors. Because I think that stage fright can be conquered by overcoming social phobia, the psychological cause known to be the most important cause of the phobia, I studied the way to overcome the phobia through overcoming social phobia. For this, I searched the notions, symptoms, and causes of social phobia, and, on the basis of this, presented the way to overcome stage fright. There are physical,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symptoms in social phobia. Physical symptoms include hand-trembling, breathlessness, etc, psychological symptoms negative thought, etc, and behavioral symptoms the avoidance of social condition, showing safe behavior, etc. The causes of social phobia include heredity and biological cause,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learning, mistaken recognition, etc. The therapeutics of social phobia are medication, social skill training, relaxation training, exposure therapy, recognition therapy, recognition-behavior group therapy, and I presented the way to overcome stage fright through the recognition-behavior group therapy which, recently, is the most practical one in therapeutics of social phobia. Recognition-behavior group therapy means to treat by the form of group combining recognition and behavior therapies. In the way to overcome stage fright presented in this thesis, first, composition has recognition-recomposition, mock exposure, and real exposure, and the subjects based upon each step. Second, object is limited to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vocal music, and it is progressed by psychological experts. Third, all are 10 steps, and they are progressed by one time(two hours) a week for ten weeks. First of all, recognition-recomposition training is the work which confirms and searches students' negative automatic thinking, and understanding and grasping such an aspect of recognition well, an instructor makes players themselves feel the influence that it exerts upon emotion, and ultimately it means the work which recomposes the recognition into reasonable thinking. Also, by conducting mock and real exposure at the same time, students intended to overcome stage fright through experimenting and verifying the course that changes negative automatic thinking into reasonable one, and doing stage rehearsal. Even if students are trained the way to overcome the phobia suggested on this thesis by steps, its symptoms aren't remarkably overcome. But changing negative automatic thinking is more important than stage rehearsal or enough practice in overcoming the phobia. That's why changing negative automatic thinking into reasonable one can gives greater and more constant effects in performance or stage rehearsal, and real performance. Players had better approach openly than adopt passively, waiting the removal of stage fright vaguely or underestimating the phobia to general phase. This needs the development of a scientific and systematic program. Also, I suggest that teaching the way to overcome the phobia has to be materialized in the curriculum of the school of music, making players cope with the phobia obviously. I think this has to be taught as player's training from the university course from now on.

      • 심리적 반발수준에 따른 메시지 명시성의 설득효과 : 금연에 관한 건강증진메시지를 중심으로

        서혜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치료효과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심리적 반발이 높은 사람들에게 적합한 메시지 유형을 모색하여 설득효과를 높임으로써 상담효과를 증진시키고자하였다. 심리적 반발이 높은 사람은 상담가의 지시나 충고를 자신의 자유를 위협하는 것으로 지각하고 그와 반대되는 행동이나 태도변화를 일으키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상담가의 설득의도가 명확한 명시적 메시지보다는 스스로 선택하도록 만드는 암시적 메시지가 더 효과적일 것이라 기대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심리적 반발수준에 따라 나뉜 흡연 청소년 112명에게 명시적이거나 암묵적인 금연메시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흡연에 대한 태도, 위험지각, 낙관주의 편향을 측정하여 2(심리적 반발수준) × 2(메시지 유형) 요인설계로 분석하였다. 흡연에 대한 위험지각과 낙관주의 편향에서는 심리적 반발수준과 메시지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지만, 흡연에 대한 긍정 태도와 부정 태도에서는 유의하였다. 즉, 반발심이 낮은 사람은 암시적 메시지 보다 명시적 메시지에서 흡연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더 높고, 긍정적 태도는 더 낮았다. 그러나 반발심이 높은 사람은 흡연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메시지의 명시성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흡연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명시적 메시지에서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반발심이 높은 사람에게 명시적 메시지를 사용하여 설득할 경우 자신의 자유감에 대한 위협을 느껴 반대되는 태도를 형성함으로써 암시적인 메시지에 비해 설득 효과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스미토모(住友) 고노마이(鴻之舞) 광산의 조선인 노무자 실태에 관한 연구, 1939~1942년

        서혜선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research the actual condition and recruitment process of forced Korean-laborer-Mobilization to Sumitomo Konomai mine, which was a representative mine in Hokkaido during the period of the Asia-Pacific War between 1939 and 1942. Sumitomo Konomai mine had the third largest deposits of gold in Hokkaido. The number of Korean laborers, who was forced to work at Konomai mine was 2,718, which means 10% of Korean laborers forced in Hokkaido. The forced Korean-laborer-mobilization was initiated in the late 1930’s to secure the cost of war and to fulfill the insufficiency of labor force. These situation gave an official status to the recruitment of Korean laborers to Konomai mine. The labor recruitment of the mine had begun on October 1939 and lasted until September 1942, a total of 23 times. The recruiting of Korean laborer was held in various provinces such as Gyeongbuk, Gyeongnam and Gyeonggi-do. The ratio of labor mobilization in Chungcheng-do was the highest. The poor, especially the people suffering from drought was the principal target for labor recruitment. The Japanese Goverment-General directly intervened in the labor mobilization process, using various aggressive methods. For example, public officers in the labor section of the local authority took actual charge of the mobilization of Korean laborer force to Konomai mine. Therefore, a great deal of recruitment expenses were employed as the entertainment allowance for the governor, police chief and even a petty officials to obtain Japanese authority’s active cooperation. The mobilized Korean laborers was transported in a body to the mine in Hokkaido. Before 1942, Korean laborers took a sea route from Wonsan to Otalu or Hakodate, and then they were sent to Konomai by land. During their convoy and routing, Korean workers were under a strong surveillance by Japanese officials. The labor management for Korean laborers in Konomai mine was generally coercive as well. The communal living such as dormitory and food distribution was mandatory for mine laborers in the majority of cases. Their entrance and exit were throughly controlled by guards, who monitored daily life of Korean laborers in the mine. The working condition of Korean laborers in Konomai mine was extremely dangerous and unprotected. Their main job was to transport ore from the inside of the pit to the conveyer belt outside or to move ore to the machine for the separation work. Those works were generally performed down in the pit, which were so risky that Japanese workers were unwilling to do. Moreover, there were hardly any kinds of education about opening work inspection or safety education for unsafe work, so Korean workers were exposed to industrial accident and even to death due to their lack of training. Therefore, the rate of escape from mine was increasing as years went by. The severe life control and hazardous work conditions were regarded as main causes of laborer's escape. Despite isolated geographic features of Hokkaido, the rate of Korean laborers’ escape grew continuously. Several workers absconded from mine again and again even after they had been seized by Japanese guards. The escape of Korean laborers from mine could be considered as ‘passive resistance,’ one of the few ways to reject the harsh reality of forced mobilization and forced labor. 본고는 전시체제기 초반인 1939년에서 1942년까지 북해도의 대표적 금광산인 스미토모(住友) 고노마이(鴻之舞) 광산으로 동원된 조선인 노무자의 모집과정과 실태에 관하여 살펴본 연구이다. 1937년 8월, 일제는 전쟁수행을 위한 자금 확보를 위해 産金法을 공포하고 산금5개년계획을 추진하였다. 이에 따라 고노마이 광산도 産金量 증강을 위한 생산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노동력 확보를 위해 1939년 조선에서의 노무자 모집을 시작하였다. 고노마이 광산은 1939년 10월 제1진을 시작으로 1942년 9월까지 총 23차례에 걸쳐 총 2,718명이 동원되었다. 가장 많은 인원이 동원된 충청남도를 비롯하여 경상북도, 경상남도, 경기도에서 조선인 모집이 이루어졌다. 고노마이 광산은 할당모집을 통해 조선의 빈곤층, 旱害이재민을 주요 대상으로 官의 적극적 협조를 받아 노무자 동원을 실시하였다. 실질적으로 조선인 노무자의 모집은 지역의 읍ㆍ면단위 지방관청의 노무계 공무원이 담당하였다. 따라서 관의 적극적 협조를 얻기 위해 모집비용 중 상당액을 군수, 경찰서장, 면 단위의 말단 직원, 경찰관에 이르는 사람들의 접대비로 사용하였다. 모집된 조선인들은 단체수송을 통해 북해도의 광산으로 이동하였다. 海路를 통해 元山에서 선박을 이용하여 북해도의 오타루나 하코다테까지 가고, 그곳에서 육로로 고노마이까지 이동하였는데, 이동과정에는 선원, 역무원, 경찰관 등에 의한 철저한 감시 속에 있어야 했다. 조선인 노무자는 광산 도착과 함께 단체로 합숙소인 協和寮에 수용되어 집단생활을 하였는데, 일상생활에서도 감시와 통제는 계속되었다. 숙소인 寮는 보안요원이 상시 배치되어 순찰을 하며 노무자들을 감시하였고, 외출시에는 반드시 世話所(사무실)에서 허가증을 받아야만 했다. 식사도 군대식 훈련의 일환으로 단체로 식당에서 실시하는 등 일상적인 감시와 통제를 통한 노무관리가 실시되었다. 조선인 노무자들은 고노마이 광산에 도착한 이후에 간단한 주의사항만을 전달받고 주로 일본인들이 꺼려하는 갱내노동에 투입되었다. 조선인들은 주로 갱내외를 오가는 운반부에 배치되었는데, 갱내외 운반부는 갱내에서 채광된 광석을 갱외의 컨베이어벨트까지 광차에 실어 오거나, 채굴된 광석을 분리하기 위한 漏斗状의 장치로 옮기는 작업을 하였다. 그러나 제대로 된 기술훈련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강제노동에 시달렸던 조선인들은 작업의 미숙함으로 인해 재해, 사망사고에 빈번하게 노출되었다. 위험한 작업환경속의 재해, 사망의 증가와 작업장과 노동시간 이외 계속적으로 이루어진 감시․통제 속에서의 강제노동은 조선인 노무자들의 도주율 증가를 불러왔다. 북해도의 열악한 자연환경과 고립된 지형적 특징에도 불구하고 조선인들의 도주율은 시기가 지날수록 증가하였고, 체포 이후의 再도주율도 높았다. 이러한 도주율의 증가는 조선인 노무자의 강제동원․강제노동 현실에 대한 ‘소극적 저항’의 일면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스미토모(住友), 고노마이(鴻之舞) 광산, 조선인 노무자, 강제동원, 할당모집, 협화료, 갱내외 운반부, 소극적 저항

      • 예성타오(葉聖陶)의 단편소설 번역 : <병든 남자> 등 11편

        서혜선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I.서론 1. 번역 동기 및 의의 중국현대문학 작품을 번역하기로 마음먹었을 때, 文学이 갖는 의의가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해보게 되었다. 문학의 사전적 의미는 ‘사상이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한 예술’이다. 문학은 예로부터 정치적으로 이용되기도 하였고, 단순히 교양을 쌓는 수단이 되기도 했으나, 필자가 생각하기에 문학이 갖는 가장 큰 의미는 ‘启蒙’에 있다. 인간이 언어로서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해낸 작품을 통해 다른 인간을 계몽시킨다는 것은 얼마나 의미있고 멋진 일인가? 예성타오(葉聖陶)라는 작가의 작품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는 중국의 문학혁명이 활발했던 ‘5·4운동’ 전후 작품 활동이 활발했던 작가 중 한 명이다. 둘째, 주로 부패한 사회제도와 비참한 국민생활을 폭로한 작품이 많다. 셋째, 그의 초기 작품 중에는 학교 교사와 소시민들의 생활을 그린 것이 많은데, 실제로 오랜 시간 교직에 몸담았던 이력을 작품 속에 녹여냈다. 이 논문은 주로 ‘5·4운동’을 전후 한 시기에 발표한 작품을 번역한 것인데, ‘정치·문화적으로 혼란스러웠던 시기, 중국의 지식인인 작가가 작품 속에 어떤 메시지를 담아 민중들을 일깨우려 했는가’에 중점을 두고, 그것을 우리말로 올바르게 옮기는데 의의를 두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