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호위반 단속카메라의 영향권을 고려한 사고감소효과 평가방법 연구

        김용석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신호위반 단속카메라의 효과를 평가함에 있어 기존 연구와 다르게 카메라와 직접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사고를 정의하고, 실제 카메라가 영향을 미치는 공간적인 범위를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의 평가방법에서 제어하지 못하는 교란인자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카메라가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밀하게 산정하고자 하였다. 신호위반과 관련된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학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공학적인 개선으로도 사고의 감소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 지점들이 있으며, 이러한 지점에서는 운전자의 신호위반 행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경찰의 단속이 필요하다. 그러나 인력에 의한 단속은 24시간 상시단속이 어렵고, 단속경찰의 위험노출, 단속시비 등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어 신호위반 단속카메라의 설치가 확대되고 있다. 카메라도 다른 안전시설과 마찬가지로 평가를 위한 많은 연구들이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평가척도인 사고를 도입함에 있어 카메라(신호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공간적 범위와 사고를 제대로 고려치 않은 경우가 많다. 신호위반 단속카메라는 카메라가 설치된 접근로를 기반으로 하여 운전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영향권이 존재한다. 카메라의 정확한 효과평가를 위해서는 교차로 전체에서 발생한 사고와 영향권에서 발생한 사고를 분리하여 평가하여야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도 영향권이라는 개념을 도입한 경우가 있으나, 이는 단순히 카메라가 설치된 접근로 전체를 범위로 하였다. 하지만 이 경우 카메라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한참 떨어진 곳의 후미 사고도 카메라에 의한 사고로 조사되어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 지지 않는다. 실제적인 카메라의 영향권을 설정하기 위해 카메라(신호등)까지의 최소정지시거(최소가시거리) 개념의 공간적 범위를 도입하였다. 또한 카메라가 설치되지 아니한 접근로에서 교차로내로 진입한 차량에 의한 사고도 영향권에서 발생한 사고로 반영하여 효과가 왜곡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카메라가 설치된 접근로에서 신호위반하여 진입한 차량(가해차량)에 의한 사고만을 영향권 평가에 활용하였다. 기존의 평가 방법은 보통 ① 단순평가, ② 교통량을 고려한 평가, ③ 비교그룹을 이용한 평가, ④ Empirical Bayes(EB)를 이용한 평가 등 4가지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 EB를 이용한 평가방법이 FHWA와 TRB에서 권장되고 있다. 그러나 EB는 지역의 사고추세, 교통량추세 같은 교란인자를 배제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확장된 EB”를 도입하였다. 평가대상지점은 2009∼2010년 서울에 설치된 신호위반 단속카메라 중 간선도로에 위치한 4지형 교차로 59개소이다. 교란인자를 상대적으로 많이 배제하여 평가의 유효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확장된 EB”의 결과를 살펴보면, 모든 접근로에서 좌회전+직각사고 21% 감소, 후미추돌사고 5% 감소, 전체사고도 16%가 감소하였다. 카메라의 영향권 접근로는 각각 68%, 29%, 50%가 감소하였다. 사고를 종속변수로 하여 안전성능함수(Safety Performance Function; SPF)를 구축한 결과, 부도로 교통량이 통계학적으로 사고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카메라는 사고유형중 직각+좌회전사고를 제일 많이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도로 교통량이 많은 교차로, 직각+좌회전 사고가 많은 교차로에 카메라를 설치할 경우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dissertation was initiated to define the influence area of red light cameras, to establish the safety performance function for the Empirical Bayes method, to evaluate the pure effect of red light cameras on the traffic crash reduction by considering a confounding factor which was not controlled in the existing safety evaluation methods. In order to prevent traffic crashes, there have been diverse efforts including engineering improvements. However, such efforts have apparent limitations in an engineering aspect so that the law enforcements by police officers are necessary in order to exchange the behaviors of drivers. As a part of this effort, red light cameras have been installed through the entire country in Korea. Many researcher efforts have developed the standards for installing red light cameras, methodology that evaluating the effect of red light cameras, etc. However, prior studies did not fully consider the influence area which is the spatial scope where a red light camera effects on reduction of traffic crash. Thus, feasibility evaluation of red light cameras may include the traffic crash changes which were not related with the red light camera under study. A few studies consider the influence area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red light cameras. However, the studies just define the approach where the camera is installed as the influence area. In this study, the influence area was established as the part of the approach from the location where the camera is installed (i.e., mast-arms of traffic signal poles) and the minimum sight distance of the camera after in-depth engineering analyses. In addition, only the traffic crashes caused by the violation of traffic signal were included in the evaluation for a pair comparis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red light camera on traffic crash reduction effects was conducted by the four methodologies, including simple comparison, evaluation considering traffic volumes, comparison-group(CG) method, empirical bayes(EB) method. Among those methods, the EB method was suggested in many studies due to its merits including the robustness against the regression to the mean. However, the traditional EB methods cannot exclude the confounding factors such as trends of traffic crashes and traffic volumes. Thus, this study used the expanded form of the EB method to overcome such a limitation. The test sites include 59 four-leg signalized intersections located on arterial highways in Seoul. Red light cameras were installed in the test sites between 2009 and 2010. The analysis results using the data collected the test sites and the expanded form of the EB method show the 21% reductions in left-turn and right-angle traffic crashes, 5% reductions in rear-end crashes.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red light cameras, the traffic crashes of a signalized intersection were reduced by 16% in average. However, the traffic crashes of an approach were reduced by 29%∼68% in average. Conclusively, the red light camera has a strong effect on traffic crash reduction. Based on the analysis using the safety performance function develop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out that the levels of traffic volumes on minor approaches influence on traffic crashes a lot. In addition, the camera was most effective to left-turn and right-angle traffic crashes. Finally, the traffic crash reduction effects of red light camera can be maximized on the signalized intersection which has high traffic volumes on minor approaches and relatively more left-turn and right-angle traffic crashes

      • 용매에 녹는 Alq3가 달린 고분자를 이용해 제작된 OLED의 주요 특성과 효율적 구조

        김용석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실험은 본교 유기화학 연구팀에서 합성된 Alq₃가 달린 고분자 poly-Alq₃의 기본적 광발광(Photoluminescence)성질을 관찰하여 OLED 소자재료로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고, 다음으로 습식공정을 통한 소자제작이 가능한지를 실제로 spin-coating을 이용해 확인하였다. 먼저 poly-Alq₃의 PL측정을 통해, 발광저분자 Alq₃와 중추(backbone)고분자를 형성하는 스틸벤 유도체(stilbene derivative)의 여기과정 및 광발광 근원을 규명하면서 Alq₃의 고유 PL 성질이 잘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poly-Alq₃만을 발광층으로 사용한 시범 EL소자의 경우, Alq₃의 뛰어난 전자 수송력과 초록색의 고유 EL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정공(hole) 부족으로 인해 여기자(exciton)의 드문 형성 및 낮은 발광성 재결합(radiative recombination)으로 매우 낮은 EL 효율을 보였다. 따라서, 원활한 정공(hole) 수송을 위해 정공 수송 물질(hole-transporting material)로 잘 알려진 NPB를 혼합하였고, 이에 따라 새로운 에너지 전달관계(Forster energy transfer)가 발생하면서 PL에도 변화가 일어남을 확인하면서, 이 혼합물로 EL 소자 만들기를 시도하였다. EL 소자 제작 시, 일반적인 경우 NPB는 열증착 방식을 이용해 단독으로 하나의 층을 형성시키는 것이 보통이지만, 강한 산성 용매에 녹아 있는 poly-Alq₃를 더 할 경우 NPB층이 지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습식공정 목적에 다소 벗어났다. 따라서 NPB를 poly-Alq₃와 같은 용매(THF)에 녹여 혼합함으로써, spin-coating을 이용한 습식공정으로 발광층(EML)을 형성할 수 있었고, EL 성능은 poly-Alq₃만을 발광층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한층 더 개선될 수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정공(hole)들은 발광층에서 전자(electron)와 발광성 재결합을 하지 못하고 빠져나갔다. 그러므로 이 빠져나가는 정공들을 발광층에 가두기 위해서, HOMO 준위가 더욱 낮은 Bebq2를 발광층과 전극사이에 삽입하였다. 그 결과, 예측된 바와 같이 발광층에서 전극으로 빠져나가는 정공들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었고 매우 우수한 EL성능을 보였다. 이 소자는 기존 poly-Alq₃만을 사용한 시범소자에 비해서는 ~10⁴배, NPB와 혼합한 발광층을 사용한 소자에 비해서는 최대 250배 가량 향상된 EL 휘도를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비슷한 수준의 전류밀도를 유지하면서도 낮은 turn-on 전압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을 통해, 우수한 발광성질을 가진 저분자를 고분자로 합성하여 용매에 잘 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현재 OLED 제작 시 대두되고 있는 고효율에 비해 높은 제작비용의 문제를 습식공정으로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런 의도로 합성된 기능성 고분자를 실제 소자에 적용시킬 때 발생되는 문제들, 즉 광물리적 특성 변화와 NPB의 특정 혼합비 등을 미리 관찰함으로써, 향후 다른 기능성 발광고분자를 합성하고, 그것을 실제소자로 실현시키는데 필요한 토대를 마련했다 할 수 있다. We synthesized a novel tris(8-hydroxyquinolinato)aluminum (Alq₃) pendent polymer, poly-Alq₃, and then demonstrated that light-emitting layers of poly-Alq₃ or blends of poly-Alq₃ and NPB could be formed as a soluble process via spin-coating. Photoluminescence measurement made sure that outstanding luminescent properties of Alq₃ constituents were well preserved as well as showed energy transfer from stilbene derivative to Alq₃ moiety. The test device with a poly-Alq₃ EML showed that Alq₃ pendent polymer maintained good electron-transporting characteristics of Alq₃ molecules, but EL performance of this device was poor although the greenish emission was consistent with the PL spectrum of Alq₃. We attributed the poor EL performance of this device to the lack of holes in an EML. To facilitate higher concentration of holes in EML, we mixed well-known holetransporting material NPB with poly-Alq₃ and then observed that the PL feature had changed as new Forster energy transfer occurred. Blends of NPB and poly-Alq₃ were also compatible with a solution-based process such as spin-coating, and EL performance of devices using these blends as EML material were more improved. Nevertheless, it appeared that most of holes escaped EML without recombining radiatively with electrons. Thus, in order to prevent holes escaping from blend-EML layer, we added a Bebq2 layer between the B-4 EML and a double-layer cathode of LiF-Al because HOMO of Bebq2 is lower than HOMOs of NPB and Alq₃. Consequently, Bebq2-layer's holeblocking effect was fairly successful so that more EL improvement was observed as we expected. EL of the B-4 EML device with a Bebq2 layer was as high as ~1670 cd/m2 at ~12 V: not only about 250 times improvement than the device without a Bebq2 layer but also ~10⁴ times from the test device with only poly-Alq₃ EML layer, keeping similar current density and rather lower turn-on voltage.

      • 역사과 수업에서 구술사 활용 방안 연구

        김용석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A history class relies on the lecture-type teaching around the textbook. The lecture-type teaching is advantageous in that such teaching method can deliver historic information effectively to a number of students. However as the lecture-type teaching has certain limits in promoting students’ creativity and developing their self-leading learning ability, so many history teachers applies various teaching models like the learning about historic materials, the dramatization learning, and the ICT learning to their history class. While seeking for a new suitable teaching method for history, the author focused on the oral history getting much interest socially and academically. In broad sense, the oral history is a concept contrasting the literature history, and it can be expressed as a field of historic research setting the ‘contents orally reminding the memories of past’ as the research subject. The research method of oral history can b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ing steps: setting the research theme-> selecting oral persons and interviewing them-> proving the spoken data. The author judged that if high school-level students could clea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oral history and they could suitably select a historic theme for them to access, then they could do enough activities of oral history even though the level of such activities would be low. This study researched a way utilizing the oral history to a history class. First of all, a class model suitable for the oral history was devised, and the class model was composed of total 5 sessions: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oral history-> organizing the learning groups and selecting themes for each group-> doing group’s activities for oral history project and checking up the activities-> each group’s presentation-> evaluation.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did the activities for oral history project by individual or by group through the format of performance assessment. Finally the author made the students have the experience writing a simple history by themselves based on the outcomes of their activities for oral history project, and the author termed the experience as ‘writing a history’. Writing a history was the step which students aggregated, analyzed and summarized the outcomes of their researches. As the results of survey targeting the students, it is considered that this experience positively influenced on advancing the students’ historic thinking power. But, this study did not precisely prove the influence of activities for oral history project on the students’ historic thinking power with the control group as the comparing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rvey, the students’ satisfaction degree and participation degree in the activities for oral history project were apt to be generally high. As the oral history activities are the activities which are rarely experienced in other subjects, so many students had some curiosity about such activities. And it is considered that students’ relatively easy access to the oral history activities because the importance of literature data was relatively low might be a cause for the students’ high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activities for oral history project. But the oral history was a new, strange field to the students, so a group understood it as a kind of opinion poll or simply a survey with not establishing its concept clearly. Also in the activity of writing history, there were some writing cases staying at the level only summarizing the historic data. Although there were not a few difficulties in doing the activities for oral history project, they had a certain of meanings in aspect of diversification of history class. The author thinks that the oral history can be a mediator to covert from the existing teaching way only memorizing tremendous facts of past to the learning for students to feel and think the history during a history class. Incidentally, while the students collected the oral data, the sense of mutual closeness between oral person & interviewer with the students was increased, and the friendship was solidified through the group activity. Like that, the teaching method of oral history had some positive aspect in the personality education. Summarizing the above outcomes of research, it is judged that the oral history can be suitably utilized in a history class, and through the activities for oral history project, the oral history can stimulate the students in developing their students’ historic thinking power. 역사과 수업은 대개 교과서를 중심으로 강의식 수업에 의존하고 있다. 강의식 수업은 많은 수의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창의성을 신장하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계발하는 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어서 많은 역사 교사들은 사료 학습, 극화 학습, ICT 학습 등 다양한 수업 모형을 개발, 적용하고 있다. 필자는 새로운 역사과 수업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최근 사회적, 학문적 관심이 크게 높아진 구술사(Oral History)에 주목하였다. 구술사란 넓은 의미에서 문헌사와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과거의 기억을 말로 회상하는 것’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 역사 연구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연구 방법은 간략하게 주제 선정, 구술자 확보 및 인터뷰 실시, 구술 자료 검증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고등학생 수준의 학생들도 구술사의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자신들이 접근 가능한 주제만 적절하게 선정한다면 낮은 수준이지만 구술사 활동을 충분히 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본고는 구술사를 역사과 수업에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먼저, 수업 모형을 구안하였는데, 수업 모형은 구술사의 개념 이해, 모둠 구성 및 주제 선정, 구술사 프로젝트 활동 실시 및 점검, 발표 및 평가의 총 5차시로 구성하였다. 학생들은 개인 혹은 모둠별로 수행평가의 형식을 빌어 구술사 프로젝트 활동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자신들의 활동 결과물을 바탕으로 소박하지만 스스로 역사를 써보는 경험을 갖도록 하였는데, 필자는 이를 ‘역사쓰기’로 명명하였다. 역사쓰기는 학생들이 자신들의 연구 결과물을 종합, 분석, 정리하는 단계로서, 설문 조사 결과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구술사 프로젝트 활동이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에 미친 영향을 비교 집단을 통해 정밀하게 검증하지는 못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구술사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참여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구술사는 다른 교과에서 접하기 어려운 활동이라서 많은 학생들이 호기심을 갖고 있었다. 문헌 자료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아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었던 것도 한 원인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생소한 분야인만큼 명확하게 개념을 정립하지 못하여 일종의 여론 조사, 단순한 설문 조사 등으로 이해한 모둠도 있었다. 역사쓰기에서도 단순하게 자료를 정리하는 수준에 머무른 경우도 있었다. 구술사 프로젝트 활동은 실행 과정에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역사과 수업의 다양화라는 측면에서 일정한 의의가 있었다. 단순히 과거의 수많은 사실을 암기하는 수업에서 역사를 느끼고 생각하는 학습으로 전환할 수 있는 매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부수적으로 학생들이 구술 자료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구술자와 면담자 간의 상호 친밀감이 높아졌으며, 모둠 활동을 통해 교우 관계가 돈독해지는 등 인성교육에서도 긍정적인 측면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구술사는 역사과 수업에서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 신장에 유의미한 자극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 술폰기가 도입된 메조세공 코어쉘 구조에 정전기적 인력으로 담지된 고활성 키랄 코발트 살렌의 합성

        김용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 route of synthesize hollow silica with mesopore system has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Polystyrene with micrometer size was used as a template in the synthesis. The surface of polymer templates was treated by polyvinyl pyrrolidone and porous polymer/silica composite having core-shell structure was synthesized by using SBA-16 sol. After heating to remove the polymer template and produce hollow silica shells. We report the synthesis of chiral Co(III)salen catalysts supported on the mesoporous hollow silica. The greatly enhanced optical activity product in ring opening reaction offered valuable chiral intermediates. The heterogeneous chiral Co(III)salen catalysts exhibited almost same optical activity as homogeneous one. The polymeric chiral salen on hollow silica could be reused without loss of catalytic activity and asymmetric selectivity.

      • 회전효과에 의한 다결정 Y1Ba2Cu3O7-δ 초전도체 내의 vortex flux의 거동

        김용석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기장이 인가된 상태에서(field cooled state) 4.2 K까지 냉각한 다결정 시료에 대한 회전 자화 벡터 측정실험 (Rotational Magnetization Vector Measuremen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용돌이 꽂음 토크(vortex pinning torque)의 강도에 대한 분포의 개념과 시료가 갖는 기하학적인 구조에 의해 발생하는 최근접 토크의 척력을 사용하여 결과치들에 대한 설명을 하였다. 실험결과는 소용돌이 다발의 밀도(vortex flux density ; B)가 다음과 같은 세 개의 그룹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였다 : (1) 자기장(H)에 대하여 고정된 각도에 머무르고 있는 약한 꽂음 영역(weak pinning part : Bw), (2) 시료에 고정되어 회전하고, 시료의 회전에 대하여 동일한 크기를 갖는 강한 꽂음 영역(strong pinning part ; Bs) 그리고 (3) 시료에 고정되어 회전하지만 시료의 회전에 대하여 그 크기가 변화하는 중간부분(intermediate pinning part ; Bi). 이와 같은 결과는 소용돌이 다발의 밀도가 특정한 영역에서는 기존 이론에서 제안되었던 두 개의 그룹 외에 단지 이 두 개의 부분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또 다른 추가적인 영역이 존재하고 있음을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추가적인 영역으로서 앞에서 설명한 중간부분(intermediate pinning part)을 새로이 제안하였고 이를 도입함으로써 실험결과를 보다 잘 설명할 수 있었다.

      • CVD법에 의한 silicon tetra-acetate로부터 SiO_(2) 박막의 합성

        김용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존의 MOCVD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으로 SiO₂박막 합성에 있어서 나타난 높은 증착온도, 제어성과 균일성의 결함, 부산물의 환경오염 등과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취급이 용이한 Si(OCOCH₃)₄를 원료로 선택하여 유통형 수평 반응기를 이용하여 상압 열 CVD법으로 SiO₂박막을 합성하였다. 이 방법은 상압하에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우수한 층덮힘을 보여 주었다. SiO₂박막형성은 150℃에서 시작하여 미세한 박막이 270℃ 이상에서 형성되었다. 반응 온도가 증가할수록 적충속도는 증가하였다. 증착속도와 기판의 위치에 따른 증착온도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공정변수들이 조사되었다. 공정변수는 반응온도, Carrier gas유속, 반응시간, 첨가된 O₂이다. Carrier gas의 유속이 80 cc/min까지는 최고 적층속도는 증가하였고, 80cc/min 이상에서는 감소하였다. 균일한 증착분포는 비교적 높은 Carrier gas유속에서 보여 주었다. 또 전달가스의 유속의 증대에 따라 그 최적 적층위치는 기판의 뒤쪽으로 이동하였다. 합성된 박막의 결정구조는 대부분 비결정으로 나타났으며, 반응관의 중앙위치에 놓여진 비교적 일정한 온도분포 영역에서만 균일한 박막이 형성되었다. O₂의 첨가에 따른 적층속도의 영향은 O₂를 주입함으로써 박막 적층속도가 증가하여 첨가된 O₂가 반응에 참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합성된 막의 평가는 SEM, XRD, FTIR, ESCA 등의 분석기기를 이용하여 조사 하였다. 합성된 막은 순수한 이산화규소로 형성이 되었으며 불순물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ESCA를 통해서 적층된 막에 Si와 O원자들로 이루어진 화학적인 조성과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반응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박막입자의 크기는 작아짐으로써 보다 균일한 막을 형성할 수가 있었다.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problems arisen from the conventional MOCVD methods, such as the high deposition temperature, the defects and control and uniformity, environmental contamination of by-products, silicon tetra-acetate which is easy to handle was used in the synthesis of SiO₂thin films by thermal CVD method using horizontal reactor. This method gave a good step-coverage even at atmospheric pressure and relatively low temperature. The formation of SiO₂film starts from 150℃ and the fine thin film is formed at higher than 270℃. The deposition rate increases, as reaction temperature increases. The processing variables affecting the deposition rate and the distribution of deposition temperature on the position of substrate were investigated. These variables are reaction temperature, flow rate of carrier gas, reaction time and the additional O₂feed. The deposition rate increases with the flow rate of carrier gas up to 80cc/min and decreases with more than 80cc/min. The uniform distribution of deposition was shown at comparatively higher flow rates of carrier gas. The optimum position of deposition moved back of the substrate, as the flow rate of carrier gas increases. The crystal structure of synthesized thin film showed mostly amorphous and the uniform thin film was synthesized in the constant temperature distribution region where the position of substrate lay center of reactor. The additional O₂feed gave the increase of the deposition rate. With this, it might be concluded that O₂feed takes part in the reaction of synthesis of thin film. The estimation of thin film was performed by using various analyzers, such as XRD, SEM, FTIR and ESCA. The pure silicon dioxide thin film was identified by FTIR.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bond states of Si and O atoms on thin film was identified by ESCA. As reaction temperature increased, the particle size got smaller and the uniform film was obtained.

      • 흉부 고해상도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만성폐쇄성폐질환 진단의 지표자 개발

        김용석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은 초기에 는 증상이 뚜렷하지 않으며 폐기능 검사 소견이 잘 나타나지 않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COPD 환자를 대상으로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법(computed tomography; CT)을 이용하여 기존의 폐기능 검사에서 확인하지 못한 해부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질환의 형태에 따른 세분화 된 표현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 진단 지표자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2011년 1월부터 2014년 4월까지 전남대병원에서 진행된 흡연자 조사연구에 참가한 참가자 127명을 대상으로 진행 하였다. 참가자 모두 흉부 CT를 시행하였으며, 폐기종과 기도변화에 대하여 CT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존에 수행된 자동화 분석프로그램을 통한 연구에서는 질병의 진행에 따라서 변형 된 기도를 인식하는데 제한점이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강직경 간의 차이를 이용한 DDiff라는 새로운 지표자를 활용하여 극복하였으며, 분석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임상분야에 활용한다면 COPD환자의 기도 변형과 폐 실질 손상정도를 영상의학적 방법을 통해서, 조기진단하고 치료효과를 정량적 지표로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nd Corporate Investment Around the World

        김용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Using a recently developed news-based index of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 23 countries, I show that corporate investments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ch uncertainty in a global context. 14 out of 23 countries show a nega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in country-by-country analyses. Such relationship is not affected by differences in legal origins, cultures, or the level of government spending. More importantly, I find that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 the US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investment of firms in non-US countries especially when those countries exhibit more economic ties with the US. My findings suggest that economic policy uncertainty can affect corporate investment around the world, both locally and even across borders. 이 논문은 신문 기사를 바탕으로 한 23 개국의 ,제정책 불확실성 지표를 활용해 기업투자와 ,제정책 불확실성이 국제적으로 음의 관계를 가짐을 보였다. 국가별 분석에서도 23 개국 중 14 개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국가별 관계의 크기는 법 계통, 문화, 또는 정부지출액의 크기에 영향 받지 않았다. 또한 나는 미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미국과 경제적으로 깊게 연관된 국가의 기업 투자를 저해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기업투자에 국제적으로 영향을 끼치며, 이것은 국경 내 뿐만 아니라 국경 너머에도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