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각자 세계를 이해하는 자신만의 ``프레임`` 혹은 ``패러다임``을 가지고 있다. 사람마다 자신에게 주어지는 삶의 상황, 여건, 처지는 다르며, 일방적 혹은 무작위로 주어진다. 그렇지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117914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79-202(24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은 각자 세계를 이해하는 자신만의 ``프레임`` 혹은 ``패러다임``을 가지고 있다. 사람마다 자신에게 주어지는 삶의 상황, 여건, 처지는 다르며, 일방적 혹은 무작위로 주어진다. 그렇지만...
인간은 각자 세계를 이해하는 자신만의 ``프레임`` 혹은 ``패러다임``을 가지고 있다. 사람마다 자신에게 주어지는 삶의 상황, 여건, 처지는 다르며, 일방적 혹은 무작위로 주어진다. 그렇지만 어떤 프레임을 갖느냐에 따라 같은 삶이라도 달리 보인다. 그렇다면 가능한 최선의 프레임을 선택하고 결정하는 것이 우리에게 주어진 도덕적 의무일 것이다. 즉 가능한 자신의 삶을 풍요롭게, 행복하게 하는 방식의 프레임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초등예비교사들은 삶을 긍정하고 풍성하게 하는 프레임을 갖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그들의 삶의 프레임이 학생들에게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긍정적 프레임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것은 감사하는 마음과 태도이며, 감사의 마음과 태도를 기르는 방법 중에 하나가 감사일기를 쓰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 예비교사들은 감사일기를 쓰면서 자신의 삶에 대한 소중함과 애착, 자기성찰, 긍정적이고 유연한 사고, 나-너-세계의 관계 속에서 생각하기, 삶에 감사하는 마음 등을 경험하였다. 또한 감사일기 쓰기는 초등예비교사들의 감사 성향을 향상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이 장래에 초등교사가 되어 학생들을 가르칠 때 감사일기 쓰기 경험은 소중한 자산이 될 것이다. 긍정적이고 활기 있는 교사들에게 배운 학생들은 긍정적이고 생기 넘치는 학생들이 될 가능성이 그만큼 높다는 측면에서 감사일기 쓰기는 교육적 의미가 더욱 크다고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is to offer the implication of writing gratitude journal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or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Question 1. D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ve any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is to offer the implication of writing gratitude journal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or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Question 1. D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ve any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writing gratitude journal? Research Question 2. What does writing gratitude journal mean t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Research Question 3. Will writing gratitude journal promote effectively the tendency of gratitud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d experienc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 and you, me and the world in the process of writing gratitude journal. Writing gratitude journal gave the sense and the gratitude of life, self-reflection, positive thinking to preservice teachers. Writing gratitude journal promoted significantly the tendency of gratitude. In conclusion, writing gratitude journal improve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ositive propertie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연수, "초등학생용 자기성찰 척도(SRS) 개발 및 타당화"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5) : 157-188, 2011
2 이연수, "초등학교 도덕교육 방법으로서 대화적 서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3 Frankl, Viktor E., "죽음의 수용소에서" 청아출판사 2005
4 Covey, Stephen R.,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김영사 2002
5 Michio Kaku, "마음의 미래" 김영사 2015
6 최인철,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프레임" 21세기북스 2011
7 Seligman, Martin. E. P., "긍정 심리학" 물푸레 2006
8 채중민, "감사하기가 행복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지은, "감사일지 작성이 우울 성향이 있는 여대생의 우울, 주관적 웰빙, 낙관성 및 인지적 정서 조절전략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0 양진희, "감사일기 쓰기활동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자아존중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59-280, 2013
1 이연수, "초등학생용 자기성찰 척도(SRS) 개발 및 타당화"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5) : 157-188, 2011
2 이연수, "초등학교 도덕교육 방법으로서 대화적 서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3 Frankl, Viktor E., "죽음의 수용소에서" 청아출판사 2005
4 Covey, Stephen R.,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김영사 2002
5 Michio Kaku, "마음의 미래" 김영사 2015
6 최인철,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프레임" 21세기북스 2011
7 Seligman, Martin. E. P., "긍정 심리학" 물푸레 2006
8 채중민, "감사하기가 행복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지은, "감사일지 작성이 우울 성향이 있는 여대생의 우울, 주관적 웰빙, 낙관성 및 인지적 정서 조절전략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0 양진희, "감사일기 쓰기활동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자아존중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59-280, 2013
11 이향숙, "감사와 자기애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12 임경희, "감사성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1 (11): 1-17, 2010
13 김동희, "감사 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8
14 Emmons, R. A., "Thanks! Now the new science of gratitude can make you happier" New York 2004
15 Berk, E. L., "Relationship of caregiver education to child-oriented attitudes, job satisfaction and behavior toward children" 14 : 103-129, 1985
16 Kahsdan, T. B., "Passion and reason : Making sense of our emo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7 Rosenberg, E. L., "Levels of analysis and the organization of affect" 2 : 247-270, 1998
18 McCullough, M. E., "Gratitude in intermediate affective terrain: Links of grateful moods to individual differneces and daily emotional experience" 86 (86): 295-309, 2004
19 Monica, Y. B., "Gratitude and prosocial behavior helping when it costs you" 17 (17): 319-325, 2006
20 Watkins, P. C., "Counting your blessings: Positive memories among grateful person" 23 (23): 52-67, 2004
21 Froh, J. J., "Counting blessing in early adolescents : An experimental study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 being" 46 : 213-233, 200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8 | 1.08 | 1.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89 | 1.393 | 0.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