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축제와 귀농 · 귀촌의사증가 관계성에 대한 연구 : 평창군 지역축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local festival and intention of Returning to farm - Case of Festival in Pyeongchang-gu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816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역축제는 지역의 이미지를 높이고 지역특산물의 판매를 확대할 뿐만 아니라 외부 방문객을 해당 지역에 끌어들여 문화산업을 활성화시키고 인지도가 높은 지역이미지를 활용하여 관련 산업을 발전시키는 등 지역의 전반적인 사회문화, 환경, 경제, 균형적 발전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 또한 농촌관광 체험은 여가문화생활 기대를 위한 귀농귀촌 요인으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귀농귀촌에 있어서 지역 축제는 중요한 유인 요인의 하나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 목적은 지역축제를 귀농귀촌 홍보의 장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실증분석 결과는 축제 참가로 인하여 귀촌·귀농의사가 일부 증가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고려사항요인은 축제만족과 상관관계가 있고 귀농·귀촌의사증가요인은 축제만족요인, 제반환경요인과 교통요인에 대하여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점은 첫째, 축제참자가에게 먼저 축제의 만족을 높혀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귀농·귀촌을 주관하는 단체나 기관은 지역축제장이나 축제참가자가 접근하기 쉬운 장소에서 지역 제반 환경, 지역 교통, 지역 편의시설등에 대한 홍보를 적극적으로 하여, 축제가 귀농·귀촌자들의 유입을 촉진하는 통로로 활용되어야 한다. 잠재적인 귀농.귀촌자인 축제참가자들에게 지역축제를 통해 귀농·귀촌 정보와 지역 정보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홍보하면 지역 귀농·귀촌은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번역하기

      지역축제는 지역의 이미지를 높이고 지역특산물의 판매를 확대할 뿐만 아니라 외부 방문객을 해당 지역에 끌어들여 문화산업을 활성화시키고 인지도가 높은 지역이미지를 활용하여 관련 ...

      지역축제는 지역의 이미지를 높이고 지역특산물의 판매를 확대할 뿐만 아니라 외부 방문객을 해당 지역에 끌어들여 문화산업을 활성화시키고 인지도가 높은 지역이미지를 활용하여 관련 산업을 발전시키는 등 지역의 전반적인 사회문화, 환경, 경제, 균형적 발전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 또한 농촌관광 체험은 여가문화생활 기대를 위한 귀농귀촌 요인으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귀농귀촌에 있어서 지역 축제는 중요한 유인 요인의 하나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 목적은 지역축제를 귀농귀촌 홍보의 장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실증분석 결과는 축제 참가로 인하여 귀촌·귀농의사가 일부 증가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고려사항요인은 축제만족과 상관관계가 있고 귀농·귀촌의사증가요인은 축제만족요인, 제반환경요인과 교통요인에 대하여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점은 첫째, 축제참자가에게 먼저 축제의 만족을 높혀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귀농·귀촌을 주관하는 단체나 기관은 지역축제장이나 축제참가자가 접근하기 쉬운 장소에서 지역 제반 환경, 지역 교통, 지역 편의시설등에 대한 홍보를 적극적으로 하여, 축제가 귀농·귀촌자들의 유입을 촉진하는 통로로 활용되어야 한다. 잠재적인 귀농.귀촌자인 축제참가자들에게 지역축제를 통해 귀농·귀촌 정보와 지역 정보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홍보하면 지역 귀농·귀촌은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Local festivals can promote the overall social, cultural, environmental, economic and balanced development of the region by enhancing the regional image and expanding the sales of local specialties by attracting outside visitors.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rural tourism is influenced as the factors of returning to rural areas for leisure and cultural life expectations. Local festivals ar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important attractions for returning to farm.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ether the local festival is likely to be used as a venue for promoting returning to villages.The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intention of return to rural has increased partly thanks to their participation in the festival. First, the factors of intention on return to farming is related to the cognitive factors of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 Pyeongchang. Second, the factors of importance on return to farming are related to the factors of festival satisfaction and facility awareness in Pyeongchang. What these findings suggest is that first, more consideration is need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festival participants. Second, an organization or institution in charge of return to rural shall actively publicize the local environment, local transportation, and local convenience facilities in places easily accessible to festival participants. The intention of Returning to farm villages are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if local information are more specifically promoted to festival participants who are potential returnees through local festivals.Third, the central government s economic support policy for festival-related events and publicity will also be needed.
      번역하기

      This Local festivals can promote the overall social, cultural, environmental, economic and balanced development of the region by enhancing the regional image and expanding the sales of local specialties by attracting outside visitors. In addition, the...

      This Local festivals can promote the overall social, cultural, environmental, economic and balanced development of the region by enhancing the regional image and expanding the sales of local specialties by attracting outside visitors.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rural tourism is influenced as the factors of returning to rural areas for leisure and cultural life expectations. Local festivals ar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important attractions for returning to farm.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ether the local festival is likely to be used as a venue for promoting returning to villages.The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intention of return to rural has increased partly thanks to their participation in the festival. First, the factors of intention on return to farming is related to the cognitive factors of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 Pyeongchang. Second, the factors of importance on return to farming are related to the factors of festival satisfaction and facility awareness in Pyeongchang. What these findings suggest is that first, more consideration is need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festival participants. Second, an organization or institution in charge of return to rural shall actively publicize the local environment, local transportation, and local convenience facilities in places easily accessible to festival participants. The intention of Returning to farm villages are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if local information are more specifically promoted to festival participants who are potential returnees through local festivals.Third, the central government s economic support policy for festival-related events and publicity will also be nee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은경, "한국의 지역축제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4

      2 이상호, "한국의 지방소멸에 관한 7가지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2016

      3 이상호, "한국의 지방소멸 018:2013-2018년까지의 추이와 비수도권 인구이동을 중심으로" 한국고용정보원 2018

      4 이태희, "축제 러브마크화 전략론" 한올 2011

      5 김정섭, "최근 귀농・귀촌 실태와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51) : 2017

      6 이원형, "지역축제의 평가속성이 만족도및 행동의도, 도시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17

      7 서철현, "지역축제의 서비스요인이 방문객의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2008동화나라상주, 이야기축제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23 (23): 833-852, 2010

      8 박미수, "지역축제와 지역문화의 일치성이 축제브랜드문화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9

      9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지역축제 조사평가및 개선방안 연구 총괄보고서" 2006

      10 이동수, "지역축제 성공의 우선순위 결정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1 (11): 91-109, 2007

      1 신은경, "한국의 지역축제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4

      2 이상호, "한국의 지방소멸에 관한 7가지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2016

      3 이상호, "한국의 지방소멸 018:2013-2018년까지의 추이와 비수도권 인구이동을 중심으로" 한국고용정보원 2018

      4 이태희, "축제 러브마크화 전략론" 한올 2011

      5 김정섭, "최근 귀농・귀촌 실태와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51) : 2017

      6 이원형, "지역축제의 평가속성이 만족도및 행동의도, 도시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17

      7 서철현, "지역축제의 서비스요인이 방문객의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2008동화나라상주, 이야기축제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23 (23): 833-852, 2010

      8 박미수, "지역축제와 지역문화의 일치성이 축제브랜드문화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9

      9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지역축제 조사평가및 개선방안 연구 총괄보고서" 2006

      10 이동수, "지역축제 성공의 우선순위 결정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1 (11): 91-109, 2007

      11 김성혁, "지역축제 관광객의시장세분화와 선택속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10대 지역축제를 중심으로" 24 (24): 259-280, 2000

      12 이재철, "지역밀착형 귀농인력개발 및 활용방안" 대구경북연구원 2006

      13 진명숙, "젊은 도시민의 농촌 이주의 양상과 성격 : 전라북도 진안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학회 16 (16): 105-131, 2008

      14 박공주, "은퇴후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농촌계획학회 12 (12): 63-76, 2006

      15 박공주, "은퇴 후 귀농인의 농촌 이주준비 및 적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16 최태진, "숲길 자원을 활용한 귀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향복지학회 2013 (2013): 678-680, 2013

      17 송인하, "생태가치 귀농인의 농촌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 경제목적 귀농인과의 비교"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3

      18 엄은희, "변화하는 농촌성과 지역 귀농운동 직의대응" 2 (2): 133-172, 2012

      19 김창현,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농촌활 성화 전략연구(2011:43)" 국토연구원 2011

      20 오수호, "도시민의 농촌지향 인구이동에 관한 연구동향: 1996~2010년의 국내문헌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 14 (14): 77-90, 2011

      21 이호길, "도시민의 농촌관광 체험이 귀농귀촌 기대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산업학회" 40 (40): 103-112, 2015

      22 남인현, "도시근로자의 귀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창업의지 연구방법론의 응용"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2

      23 윤순덕, "도시 장년층의 은퇴 후 농촌이주의사 결정요인" 한국노년학회 25 (25): 139-153, 2005

      24 이해진, "대안가치지향 귀농귀촌인의 사회적 특성과 역할" 한국농촌사회학회 23 (23): 49-90, 2013

      25 "네이버 국어사전"

      26 "귀농・귀촌인구수 처음으로 50만명 돌파"

      27 강대구, "귀농자의 귀농유형별 농정착과정" 8 (8): 48-49, 2006

      28 이재민, "귀농인의 산촌지역 적응양상 : 김천시 부항면 해인동의 사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29 유정규, "귀농의 현황과 정책과제" 34 : 23-41, 1998

      30 국가통계포털, "귀농어・귀촌인통계: 농가구원의시도별・이동유형별현황, 각연도별 인구총조사, 국내인구이동통계, 농림어업총조사 지역조사, 주택총조사, 인구총조사사회통합 실태조사" 2018

      31 강대구, "귀농ㆍ귀촌의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농촌지도학회 17 (17): 743-771, 2010

      32 우성호, "귀농⋅귀촌의 의사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6개 시⋅군을 대상으로 -" 한국농촌지도학회 22 (22): 101-116, 2015

      33 김정섭,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한 농촌 지방자치단체의 과제" 한국농촌지도학회 16 (16): 533-557, 2009

      34 김철규, "귀농·귀촌인의 성공적 정착과 농촌사회 발전방안연구" 한국사회학회 2011

      35 윤상호, "귀농 촉진의 필요성과 귀농귀촌 활성화 방안" 2018

      36 손능수, "경상북도 귀농인구 증가에 따른 복지욕구와 정책 방안" 경북행복재단 2012

      37 李章柱, "地域祝祭의 이미지 測定尺度 開發과 適用에 관한 硏究 : 珍島 靈登祝祭를 中心으로" 京畿大學校 大學院 1998

      38 Grimsrud, G. Marit, "How Well Does the ‘Counter Urbanisation Story’Travel to Other Coun-tries? The Case of Norway" 17 : 642-655, 2011

      39 Getz, D., "Festival Management and Event Tourism"

      40 Emmanuel, D. W, "Dictionaire des p.olitques cultureles" Larouse 283-289, 2001

      41 Halfacree, Keith, "Back-To-The-Land in the Twenty-first Century―Making Connections with Rurality" 8 : 3-8, 2007

      42 "2019년 귀농・귀촌지원제도 개편, 2018.12.27.일자,2018a, 귀농・귀촌인구수 처음으로 50만명 돌파, 2018.6.28. 일자"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6 0.86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