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출산 및 핵가족화,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인해 가정에서 부모, 형제와의 상호작용 기회를 충분히 제공받지 못하고 어린이집이나 유치원과 같은 구조화된 또래집단과 더 많은 시간들을 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959292
경산 : 대구대학교, 2010
학위논문(석사)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2010. 2
2010
한국어
379
경상북도
The Effect of the classroom helper role for peer-interaction of children showing
51p ; 26cm
대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성애
참고문헌 : p.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저 출산 및 핵가족화,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인해 가정에서 부모, 형제와의 상호작용 기회를 충분히 제공받지 못하고 어린이집이나 유치원과 같은 구조화된 또래집단과 더 많은 시간들을 보...
저 출산 및 핵가족화,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인해 가정에서 부모, 형제와의 상호작용 기회를 충분히 제공받지 못하고 어린이집이나 유치원과 같은 구조화된 또래집단과 더 많은 시간들을 보내고 있는 사회적 상황 속에서 또래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하거나 사회적 기술과 의사소통 기술의 부족으로 또래들로부터 거부, 무시, 고립, 소외되거나 위축되어 일상적인 놀이와 활동에 참여하지 못하는 위축행동유아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위축행동유아는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매우 수줍어하고 수동적이며, 타인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활동이나 놀이를 회피하거나 거부한다. 그러나 교사와 부모는 그들의 위축행동을 단순히 발달속도상의 문제라고만 여길 뿐, 이후 성장과정에서 나타날 정서·행동 상의 추가적인 문제점에 대해 깊이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축행동유아에게 학급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학급 도우미 역할을 부여하여 위축행동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평소 위축행동을 보이는 유아들 중 Bower, Clarke, Quay의 정서행동장애 A, B형 선별지를 통해 불안, 위축항목 중 A형은 1개 이상, B형은 2개 이상에 해당되는 유아들을 1차 선정하였고 K-CBCL의 위축척도가 70T점 이상에 해당하는 유아 3명을 최종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위축행동유아들에게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3가지의 학급 도우미 역할(간식, 편지, 치약)을 매일 수행하도록 하였고 자유선택활동 10분 동안 부분간격기록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급 도우미 역할부여는 위축행동유아의 대화하기를 증가시켰다.
둘째, 학급 도우미 역할부여는 위축행동유아의 활동공유하기를 증가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급 도우미 역할 부여는 위축행동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을 증가시켰고 위축행동유아에게 자연스럽게 또래와 상호작용 할 기회를 제공하였고 교사에게도 프로그램 개발 및 실험환경의 조작을 위한 수고나 부담 없이 유치원 현장에서 쉽게 제공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se days, children tend to spend more time with their peers at nursery schools or children’s care centers and as a result they lack the opportunity to have sufficient interaction with the parents and siblings. this is largely due to the low birt...
These days, children tend to spend more time with their peers at nursery schools or children’s care centers and as a result they lack the opportunity to have sufficient interaction with the parents and siblings. this is largely due to the low birth rate, increasing number of nuclear families,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families where both the husband and wife work. Amidst this social situation, the number of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who are neglected, alienated, rejected and belittled by their peers is increasing due to the lack of social and communication skills. Likewise, they are unable to participate in every day games and activities.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tend to be very shy in diverse social situations. They tend to be passive and tend to dodge from activities and games and struggle along with others. However, teachers and parents consider their withdrawal behavior as merely a stage that they will grow out of with time. They fail to be aware of the additional problems such as emotional and behavior related problems that will surface later on during the formative process. In this research,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were assigned to the role of class helper to study the effect of peer interaction on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Among the children showing withdrawal syndrome, Bower, Clarke, Quay’s method for discerning Type A or type B of the emotional disorder was leveraged to measure anxiety levels. Among the withdrawal categories, Type A selected children correspond to at least one, while type B selected children who correspond to at least two. Three children who correspond to at least 70T points on the K-CBCL withdrawal measure were selected for the final research. Single Subject Design was used to study the selected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and the children were asked to perform three roles as the class helper (snack, letter, toothpaste) every da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using the partial-interval recoding method during 10 minutes of free time.
First, assignment of the role as the class helper helped the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to hold conversations more with the peers.
Second, assignment of the role as the class helper helped the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Whe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signment of the role as the class helper increased interaction with the peers, and provided the childr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 the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their peers naturally.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the teachers can apply this method easily without having to develop a special program or to alter change the testing environment.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