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3⋅4세 유치원교육과정, 5세 누리과정, 초등 1학년 교육과정 언어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 Analysis on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in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a for Young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26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in Korean National Language Curricula for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language curricula i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Nuri Curriculum, and the First Grade Curriculum. The degree and the form of the continuity and sequence in each area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grammar and literature were analyzed. As a whole, the degree of the continuity in educational contents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Nuri curriculum was higher than that between the Nuri and the First Grade curriculum. In the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the curricula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Nuri were relatively good but the proportion of the retrogression was quite high, while the sequence of the curricula between Nuri and the first grade was distorted. In the reading and writing areas, there were a lot of repetitions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Nuri, while there were a drastic increase in the level of content between the Nuri and the First grade curriculum.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in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a for young children, the current curricula do not reflect young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al process and the necessity for provision of the content standards for language curriculum for each age level was rai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in Korean National Language Curricula for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language curricula in the Nat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in Korean National Language Curricula for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language curricula i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Nuri Curriculum, and the First Grade Curriculum. The degree and the form of the continuity and sequence in each area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grammar and literature were analyzed. As a whole, the degree of the continuity in educational contents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Nuri curriculum was higher than that between the Nuri and the First Grade curriculum. In the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the curricula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Nuri were relatively good but the proportion of the retrogression was quite high, while the sequence of the curricula between Nuri and the first grade was distorted. In the reading and writing areas, there were a lot of repetitions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Nuri, while there were a drastic increase in the level of content between the Nuri and the First grade curriculum.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in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a for young children, the current curricula do not reflect young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al process and the necessity for provision of the content standards for language curriculum for each age level was rai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 현재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국가교육과정의 언어 교육내용의 연계성이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유치원교육과정 언어생활영역의 수준별 내용 44개 항목과 누리과정 의사소통영역의 세부내용 25개 항목 및 초등교육과정 1학년 국어과의 성취기준 22개 항목을 대상으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및 문학 영역에서의 연계 정도와 연계 형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교육내용 연계의 정도는 5세와 6세 간에 비하여 3‧4세와 5세 간에 더 높았으며, 연계의 형태는 각 영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듣기와 말하기 영역에서는 3‧4세와 5세 간에 자료와 행위 모두 계속성과 계열성이 비교적 양호한 반면 역행으로 계열성이 위배되는 비율도 상당부분 나타났다. 5세와 6세 간에는 자료와 행위에 있어 계속성은 양호하였으나 확대나 심화에 비하여 역행이 훨씬 더 많이 나타나 계열성의 문제가 심각함을 지적할 수 있다. 읽기와 쓰기 영역에서 3·4세와 5세 간에는 연령수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동일 수준의 반복이 강조되는, 반면 5세와 6세 간에는 동일 요소의 반복 없이 내용수준의 변화가 급격하게 나타났다. 문법과 문학영역에서는 전반적으로 연계의 정도가 미미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유초 언어교육내용의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현행 교육과정은 유아들의 언어발달 과정을 제대로 반영한다고 볼 수 없으며 연령별 언어교육내용의 기준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 현재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국가교육과정의 언어 교육내용의 연계성이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유치원교육과정 언어생활영역...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 현재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국가교육과정의 언어 교육내용의 연계성이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유치원교육과정 언어생활영역의 수준별 내용 44개 항목과 누리과정 의사소통영역의 세부내용 25개 항목 및 초등교육과정 1학년 국어과의 성취기준 22개 항목을 대상으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및 문학 영역에서의 연계 정도와 연계 형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교육내용 연계의 정도는 5세와 6세 간에 비하여 3‧4세와 5세 간에 더 높았으며, 연계의 형태는 각 영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듣기와 말하기 영역에서는 3‧4세와 5세 간에 자료와 행위 모두 계속성과 계열성이 비교적 양호한 반면 역행으로 계열성이 위배되는 비율도 상당부분 나타났다. 5세와 6세 간에는 자료와 행위에 있어 계속성은 양호하였으나 확대나 심화에 비하여 역행이 훨씬 더 많이 나타나 계열성의 문제가 심각함을 지적할 수 있다. 읽기와 쓰기 영역에서 3·4세와 5세 간에는 연령수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동일 수준의 반복이 강조되는, 반면 5세와 6세 간에는 동일 요소의 반복 없이 내용수준의 변화가 급격하게 나타났다. 문법과 문학영역에서는 전반적으로 연계의 정도가 미미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유초 언어교육내용의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현행 교육과정은 유아들의 언어발달 과정을 제대로 반영한다고 볼 수 없으며 연령별 언어교육내용의 기준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미, "초등학교 1학년과 유치원의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59-90, 2010

      2 황규호, "초․중등 교육과정의 연계성 증진을 위한 검토 과제" 17 (17): 167-192, 1999

      3 이차숙, "제7차 유치원 언어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 (1): 351-372, 2007

      4 지성애,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의 연구 동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207-222, 2007

      5 김창복, "유치원에서의 읽쓰기 지도 내용의 실태와 선정 요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79-304, 2006

      6 백운미,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읽기·쓰기지도 실태와 연계성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7 원순련,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언어교육과정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지도서1 총론" 두산동아(주) 2009

      9 차진선, "유치원 언어생활과 초등학교 1학년 국어과 연계성검토"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0 주영희, "유치원 언어교육과 초등학교 1학년 국어교육의 연계를 위한 교육과정 비교" 20 : 33-58, 2002

      1 이승미, "초등학교 1학년과 유치원의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59-90, 2010

      2 황규호, "초․중등 교육과정의 연계성 증진을 위한 검토 과제" 17 (17): 167-192, 1999

      3 이차숙, "제7차 유치원 언어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 (1): 351-372, 2007

      4 지성애,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의 연구 동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207-222, 2007

      5 김창복, "유치원에서의 읽쓰기 지도 내용의 실태와 선정 요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79-304, 2006

      6 백운미,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읽기·쓰기지도 실태와 연계성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7 원순련,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언어교육과정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지도서1 총론" 두산동아(주) 2009

      9 차진선, "유치원 언어생활과 초등학교 1학년 국어과 연계성검토"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0 주영희, "유치원 언어교육과 초등학교 1학년 국어교육의 연계를 위한 교육과정 비교" 20 : 33-58, 2002

      11 도선미, "유치원 교육과정에서의 언어생활과 초등학교 1학년 국어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탐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2 최은영, "유아의 초기 문해 기술이 단어읽기에 미치는 영향: 연령 및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별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235-260, 2010

      13 최은영, "유아의 초기 문해 기술이 단어읽기에 미치는 영향: 연령 및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별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235-260, 2010

      14 이혜진,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5 배상연, "유아교육과정의 언어영역과 초등 1학년 교육과정 국어과에 관한 연계성 논의"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1

      16 전지형, "유아 문자언어교육에 대한 유치원 학부모의 인식조사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151-167, 2005

      17 박순경, "유․초․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쟁점과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18 최희진, "연계성 측면에서 본 한국과 미국의 유치원과 초등학교 사회교육 비 교 연구" 7 (7): 107-135, 1997

      19 박은혜, "어린이의 삶의 관점에서 본 유아교육 보육과 초등교육의 연계" 113-130, 2006

      20 홍후조, "알기 쉬운 교육과정" 학지사 2011

      21 홍후조, "알기 쉬운 교육과정" 학지사 2011

      22 송순희, "수학 및 과학 교과내용의 연계성 분석을 위한 준거모형 설정과 예시적 분석" 11 (11): 119-131, 1991

      23 교육과학기술부, "만5세 어린이 교육․보육, 국가가 책임진다"

      24 교육인적자원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2007

      25 김진숙, "교육과정의 연계성 탐구: 유치원-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83-108, 2006

      26 Tyler, R. W, "교육과정과 학습지도의 기본원리" 교육과학사 1987

      27 박도순, "교육과정과 교육평가(제3판)" 문음사 2006

      28 Rupley, W., "Vocabulary instruction in a balanced reading program. In Evidence-based reading instruction" 2002

      29 Winters, R., "Vocabulary anchors: Building conceptual connections with young readers, In Evidence-based reading instruction"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2002

      30 Hart, B.,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everyday experience of young American children" Paul Brookes 1995

      31 Forgarty, R., "How to Integrate the Curricula" Skylight 1991

      32 Short, E., "Forms of curriculum inquir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1

      33 Reiner, K., "Developing a kindergarten phonemic awareness program. In Evidence-based reading instruction" 2002

      34 Adams, M. J., "Beginning to read : Thinking and learning about print. Cambridge" MIT Press 1990

      35 Posner, G. J., "A categorization scheme for principles of sequencing content" 46 (46): 665-690, 1976

      36 성지현, "5세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37 이지현, "4, 5세 유아의 말과 글의 관계 인식을 증진시키는 언어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43-375,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유아교육학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영문명 : Chung-Ang Society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2 2.42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7 2.56 2.707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