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운가> 연구 -『소현성록』과의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572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운가>(紫雲歌)는 국문장편소설인 『소현성록』(蘇賢聖錄)의 인기에 힘입어 창작되어 조선후기에 널리 유행한 가사이다. 그런데 <자운가>에 대해서는 아직 별다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본고에서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우선 <자운가>의 전개 방식을 살펴보면 전반부에서 ‘자운산’을 묘사하고 후반부에서 소부의 사적과 그 전승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전개 방식은 『소현성록』과 동일한 것이다. 또한 <자운가>는 『소현성록』의 말미에 붙어 있는 <자운산몽유록>과 비교해 볼 때, 그 제명을 비롯하여 내용과 구조면에서 상당히 유사하다. 그렇다면 <자운산몽유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자운가>는『소현성록』을 기반으로 생성된 작품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자운가>는 『소현성록』의 방대한 소설 내용 가운데 자운산(소부) 구성원과 관련된 사건들을 중심적으로 다루는 동시에 소설에서 구현하는 동일한 주제의식을 드러낸다. 그렇다면 <자운가>는 『소현성록』의 영향을 받은 파생 텍스트로써 기본적으로 소설의 서술시각을 견지하는 작품일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대본 <자운가> 계열은『소현성록』의 서술시각과 상이한 인식을 드러내는 몇몇 시행들을 가지고 있다. 반면 성대본 <자운가> 계열과 시기적으로 떨어져 있는 이본인 연대본 <자운가>는 그러한 시행들이 존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소현성록』의 서술시각과 상당히 부합하는 시행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이들의 차이는 <자운가>의 전승 및 유통 가운데 『소현성록』의 서술시각에서 벗어나는 향유자들의 새로운 인식이 반영된 결과이다. 그리고 향유자들의 새로운 인식이 생성된 데에는 『소현성록』이후에 출현한 여러 국문소설의 독서 경험으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정리하여 연대본 <자운가>와 같은 이본이 전승 및 유통되는 가운데 여러 국문소설의 독서 경험으로 말미암아 생성된 향유자들의 새로운 인식이 반영된 결과로써 성대본 <자운가> 계열에서처럼 일부 시행들이 변이 혹은 탈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자운가>(紫雲歌)는 국문장편소설인 『소현성록』(蘇賢聖錄)의 인기에 힘입어 창작되어 조선후기에 널리 유행한 가사이다. 그런데 <자운가>에 대해서는 아직 별다른 논의가 이루어...

      <자운가>(紫雲歌)는 국문장편소설인 『소현성록』(蘇賢聖錄)의 인기에 힘입어 창작되어 조선후기에 널리 유행한 가사이다. 그런데 <자운가>에 대해서는 아직 별다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본고에서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우선 <자운가>의 전개 방식을 살펴보면 전반부에서 ‘자운산’을 묘사하고 후반부에서 소부의 사적과 그 전승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전개 방식은 『소현성록』과 동일한 것이다. 또한 <자운가>는 『소현성록』의 말미에 붙어 있는 <자운산몽유록>과 비교해 볼 때, 그 제명을 비롯하여 내용과 구조면에서 상당히 유사하다. 그렇다면 <자운산몽유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자운가>는『소현성록』을 기반으로 생성된 작품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자운가>는 『소현성록』의 방대한 소설 내용 가운데 자운산(소부) 구성원과 관련된 사건들을 중심적으로 다루는 동시에 소설에서 구현하는 동일한 주제의식을 드러낸다. 그렇다면 <자운가>는 『소현성록』의 영향을 받은 파생 텍스트로써 기본적으로 소설의 서술시각을 견지하는 작품일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대본 <자운가> 계열은『소현성록』의 서술시각과 상이한 인식을 드러내는 몇몇 시행들을 가지고 있다. 반면 성대본 <자운가> 계열과 시기적으로 떨어져 있는 이본인 연대본 <자운가>는 그러한 시행들이 존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소현성록』의 서술시각과 상당히 부합하는 시행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이들의 차이는 <자운가>의 전승 및 유통 가운데 『소현성록』의 서술시각에서 벗어나는 향유자들의 새로운 인식이 반영된 결과이다. 그리고 향유자들의 새로운 인식이 생성된 데에는 『소현성록』이후에 출현한 여러 국문소설의 독서 경험으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정리하여 연대본 <자운가>와 같은 이본이 전승 및 유통되는 가운데 여러 국문소설의 독서 경험으로 말미암아 생성된 향유자들의 새로운 인식이 반영된 결과로써 성대본 <자운가> 계열에서처럼 일부 시행들이 변이 혹은 탈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awunga> is a famous Kasa heavily influenced by 『Sohyonseong-rok』, a popular novel written in Korean, in late Chosun Dynasty era. Since there has been no further study on <Jawunga> up until now, this study here focuses on the subject. First, regarding the way <Jawunga> unfolds its story, we see description of ‘Jawun-mountain’ in the first part. In the latter half, it mentions episodes of Sohyonseong’s family and how those have been passed on to others over the years. The same method can be found 『Sohyonseong-rok』. Moreover, <Jawunga> shows much similarity in contents and plot, as well as titles, compared to <Jawunsan-mongyurok> in the『Sohyonseong-rok』.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Jawunga> is close to <Jawunsan-mongyurok> in many aspects and shares 『Sohyonseong-rok』as its origin. <Jawunga> shows the common theme reflected on the entire episodes by selectively dealing with the events of Sohyonseong's family among the vast contents of 『Sohyonseong-rok』. Meanwhile, Sungkyunkwan universtiy version of <Jawunga> is the most similar to others, except Yonsei university version of <Jawunga>. The other versions in Sungkyunkwan-uni version of <Jawunga> category have lines with different narrative perspective of 『Sohyonseong-rok』. On the other hand, Yonsei-uni version of <Jawunga>, the oldest, does not have such lines. This means Yonsei-uni version of <Jawunga> reflects 『Sohyonseong-rok』's narrative perspective most thoroughly. These differences in versions resulted from the readers' attempt to project different views in 『Sohyonseong-rok』's narrative perspective. These different views were attributed to the appearance of various novels written in Korean after 『Sohyonseong- rok』. With all considered hitherto, the different views from the reading experience have led versions in Sungkyunkwan-uni version of <Jawunga> category to have omitted and transformed lines throughout the distribution of Yonsei-uni version of <Jawunga>.
      번역하기

      <Jawunga> is a famous Kasa heavily influenced by 『Sohyonseong-rok』, a popular novel written in Korean, in late Chosun Dynasty era. Since there has been no further study on <Jawunga> up until now, this study here focuses on the subject....

      <Jawunga> is a famous Kasa heavily influenced by 『Sohyonseong-rok』, a popular novel written in Korean, in late Chosun Dynasty era. Since there has been no further study on <Jawunga> up until now, this study here focuses on the subject. First, regarding the way <Jawunga> unfolds its story, we see description of ‘Jawun-mountain’ in the first part. In the latter half, it mentions episodes of Sohyonseong’s family and how those have been passed on to others over the years. The same method can be found 『Sohyonseong-rok』. Moreover, <Jawunga> shows much similarity in contents and plot, as well as titles, compared to <Jawunsan-mongyurok> in the『Sohyonseong-rok』.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Jawunga> is close to <Jawunsan-mongyurok> in many aspects and shares 『Sohyonseong-rok』as its origin. <Jawunga> shows the common theme reflected on the entire episodes by selectively dealing with the events of Sohyonseong's family among the vast contents of 『Sohyonseong-rok』. Meanwhile, Sungkyunkwan universtiy version of <Jawunga> is the most similar to others, except Yonsei university version of <Jawunga>. The other versions in Sungkyunkwan-uni version of <Jawunga> category have lines with different narrative perspective of 『Sohyonseong-rok』. On the other hand, Yonsei-uni version of <Jawunga>, the oldest, does not have such lines. This means Yonsei-uni version of <Jawunga> reflects 『Sohyonseong-rok』's narrative perspective most thoroughly. These differences in versions resulted from the readers' attempt to project different views in 『Sohyonseong-rok』's narrative perspective. These different views were attributed to the appearance of various novels written in Korean after 『Sohyonseong- rok』. With all considered hitherto, the different views from the reading experience have led versions in Sungkyunkwan-uni version of <Jawunga> category to have omitted and transformed lines throughout the distribution of Yonsei-uni version of <Jawung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작품의 전문 및 전개 방식
      • 3. 작품의 형식적 구조와 그 의의
      • 4. <자운가>와 『소현성록』의 거리
      • 국문초록
      • 1. 서론
      • 2. 작품의 전문 및 전개 방식
      • 3. 작품의 형식적 구조와 그 의의
      • 4. <자운가>와 『소현성록』의 거리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후별전"

      2 "황릉묘요얼탕평전"

      3 "화씨팔대충의록소셜"

      4 "한국잡가전집(1-4)"

      5 서영숙, "여성가사에 투영된 작가와 독자의 관계 - <화전가>를 중심으로 -, 질의" 한국고전문학회 6 : 395-396, 1991

      6 "악양누긔"

      7 백순철, "소현성록의 여성들" 한국여성문학회 (창간) : 149-151, 1999

      8 "소현성록"

      9 "소현성록"

      10 "소현성록"

      1 "황후별전"

      2 "황릉묘요얼탕평전"

      3 "화씨팔대충의록소셜"

      4 "한국잡가전집(1-4)"

      5 서영숙, "여성가사에 투영된 작가와 독자의 관계 - <화전가>를 중심으로 -, 질의" 한국고전문학회 6 : 395-396, 1991

      6 "악양누긔"

      7 백순철, "소현성록의 여성들" 한국여성문학회 (창간) : 149-151, 1999

      8 "소현성록"

      9 "소현성록"

      10 "소현성록"

      11 변진한, "고전소설의 탈유기성에 대한 연구: <소현성록>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3

      12 차충환, "고전 국문장편소설 향유자들의 작품 수용의식 연구" 국어국문학회 (149) : 473-501, 2008

      13 조혜란, "고소설에 나타난 남성 섹슈얼리티의 재현 양상" 한국고소설학회 (20) : 381-411, 2005

      14 최길용, "고소설에 나타나는 앵혈화소의 서사실상과 의미" 한국고소설학회 (29) : 41-84, 2010

      15 "歌集 一"

      16 "歌詞集"

      17 "樂府"

      18 정대혁, "『소현성록』 연작의 수신서적 성격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19 박재연, "「전등여화」와 낙선재본 「빙빙뎐」 연구" 한국중국소설학회 4 : 386-387, 1995

      20 노정은, "《소현성록》의 인물 형상화 변이 양상 : 이대본과 서울대 21권본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21 허순우, "<현몽쌍룡기> 연작의 <소현성록> 연작 수용 양상과 서술시각"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319-354, 2008

      22 지연숙, "<여와전> 연작의 소설 비평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1

      23 최현성, "<손천사영이록>에 나타난 <소현성록>에 대한 시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24 지연숙, "<소현성록>의 주변과 그 자장"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4) : 29-63, 2003

      25 지연숙, "<소현성록>의 공간 구성과 역사 인식"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49-89, 2006

      26 서경희, "<소현성록>의 ‘석파’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12 : 79-90, 2005

      27 양승민, "<十二峰轉環記> 한문본 원작과 그 한글번역본" 한국고소설학회 (32) : 255-280, 2011

      28 정선희, "17세기 후반 국문장편소설의 딸 형상화와 의미 <소현성록>연작을 중심으로" 배달말학회 (45) : 425-460,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8 0.97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