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평생학습동아리 활동의 참여요인 및 참여효과로 나타나는 ‘자기개발’과 ‘자아실현’에 대해서 학습자 관점에서 그 의미를 구체적이며 심층적으로 밝혀보고, 학습동아리 활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361235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 평생교육학과 , 2010.8
2010
한국어
학습동아리 ; 평생학습 ; 자기개발 학습 ; 학습공동체 ; 학습봉사 ; 자기개발 ; 자기실현 ; Study Circle ; Lifelong Learning ; Self-Development ; self-fulfillment ; self-realization' ; local community ; volunteer
378.1 판사항(5)
서울
An Ethnographic Study on Self-Development through Lifelong Learning Study Circle Activities
122p. ; 26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평생학습동아리 활동의 참여요인 및 참여효과로 나타나는 ‘자기개발’과 ‘자아실현’에 대해서 학습자 관점에서 그 의미를 구체적이며 심층적으로 밝혀보고, 학습동아리 활동...
본 연구는 평생학습동아리 활동의 참여요인 및 참여효과로 나타나는 ‘자기개발’과 ‘자아실현’에 대해서 학습자 관점에서 그 의미를 구체적이며 심층적으로 밝혀보고, 학습동아리 활동에서 이루어지는 ‘학습’과 ‘자기개발’이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평생학습관점에서 탐색해 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동아리 참여자에게 있어 학습동아리와 자기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는 무엇이며, ‘자기개발’과 ‘자아실현’은 어떻게 인지되고 설명되는가? 또 ‘학습’은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가? 둘째, 평생학습동아리의 자기개발 학습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가? 셋째, 학습동아리에서 자기개발 활동은 개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학습동아리에서 자기개발 활동은 지역사회에 어떤 형태로 참여하며 지역평생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본 연구는 경북 칠곡군에 소재한 학습동아리에서 활동하고 있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연구문제를 접근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동아리 참여자는 학습동아리의 필요성을 ‘변화’와 ‘활력’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자기개발의 필요성을 ‘현재 생활의 불만족’, ‘노후 생활의 대비’, ‘자아성찰을 통한 나를 찾는 과정’에서 인식하고 있었다. 또 지금까지 통상적으로 하나의 연속된 의미로 사용되어 왔던 자기개발과 자아실현의 개념을 학습자들은 명확히 구분지어 인지하고 있었다. 자기개발은 ‘학습’이라는 매개를 통해 ‘변화’를 체득하는 과정이며, 그 변화를 생활에 적용, 실천함으로써 자신의 능력을 키우는 것으로 생각하는 반면, 자아실현은 대외적인 ‘발표의 장(場)’을 통해 자신의 능력을 펼치거나,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면서 사회나 가정에서 존재가치를 인정받고 생활에 스스로 만족감이 들 때 인지하는 개념으로 현재가 아닌, 앞으로 이루어 나갈 미래형의 모습으로 생각한다.
학습동아리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은 반성과 성찰을 바탕으로 지식, 정보, 경험들이 전이되고 공유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계획적, 비계획적인 모든 활동으로 나타났다. 즉 토론과 심화학습 같은 계획적인 활동뿐만 아니라 친목, 만남 같은 비계획적 활동도 그 안에서 학습이 일어나도록 하는 요소들이 작용한다는 점에서 학습이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학습된 결과는 삶의 변화로 나타난다.
둘째, 학습동아리에서 자기개발 학습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는 목표가 있는 자발적 참여, 리더와 리더십, 학습동아리 회원 규모(모임인원), 회원 간의 관계형성 및 인적 교류, 학습의 실천 활동 등이 있으며 이것은 학습결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 학습동아리에서의 자기개발 활동은 생각과 행동에 변화를 가져와서 평생 즐기면서 ‘할 수 있는 일’, ‘할 일’을 찾도록 해주며, 가치 있고 의미 있는 노후의 삶에 해답을 찾도록 한다. 또 회원들 간의 만남, 배움, 나눔, 소통은 자신감과 성취감을 갖게 하여 삶의 활력소로 작용하며, 학습목표를 달성한 결과는 또 다른 자기개발의 새로운 학습목표와 비전을 갖게 해서 지속적인 학습을 유도하여 평생학습자로 성장하게 한다.
넷째, 학습동아리에서의 자기개발 활동은 평생학습축제 및 자체 행사를 통해 학습의 전문성과 다양성, 활동성을 선보임으로써 학습자에게는 자신감과 성취감을 고취시키고 비학습자들에게는 ‘배움’의 호기심을 자극해서 평생학습을 활성화 시킨다. 또 각 동아리가 다루는 심층학습을 통해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을 배출하여 지역의 인적자원으로 활동하게 한다. 그리고 ‘더불어’ ‘함께’라는 ‘우리 의식’이 생겨나 ‘배움의 노블레스 오블리제’를 실천함으로써 일체감, 봉사, 참여의식이 발현되는 건강한 학습공동체를 지향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학습동아리는 지역 평생학습 활성화의 동력원이 될 수 있으므로 학습동아리의 기반 형성과 각 기관의 지원정책이 중요하고도 필요하다. 이는 학습자의 자기개발 활동의 근거지를 결정짓는 요인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기획 단계부터 학습동아리와 연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학습동아리 운영을 이끌고 있는 리더는 회원들이 자기개발을 잘 할 수 있도록 촉진자, 조력자 역할을 하고 때로는 동아리 학습을 이끌어가는 전문가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학습동아리가 단순 취미집단에서 벗어나 살아있는 학습을 실천하는 전문가 집단으로 지역사회의 평생학습을 이끌고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사회 각계각층에서 활약하고 있는 다양한 직업군의 리더들이 적극적으로 학습동아리 구성에 참여하여 자기개발활동이 좀 더 전문성을 갖고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지금까지의 학습동아리 정책은 학습자들을 평생학습현장에 끌어들이기 위해 학습동아리 수를 늘리는 양적접근에 치중했다면, 이제는 각 학습동아리가 전문성을 가지고 체계적인 학습과 운영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질적 접근의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 학습동아리가 자칫 ‘동아리 이기주의’로 빠져서 처음 시작한 사람들만의, ‘그들만의 모임’이 되지 않도록 학습에서 소외된 사람들을 수용할 수 있는 정책적 배려도 필요하다.
넷째, 학습동아리 회원들의 자기개발은 배운 것을 봉사나 직업을 통해 실제 현장에 적용하고 실천할 때 더 큰 가치와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평생학습기관이나 지역사회는 학습동아리를 통해서 배출된 인적자원들이 봉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시스템 마련과 아울러 학습자들의 전문성이 지역사회 곳곳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필요로 하는 곳과 연결하는 중재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thorough and in-depth investigation for the meanings of 'self-development' and 'self-realization' based on the participation factors and effects of lifelong study circle activities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thorough and in-depth investigation for the meanings of 'self-development' and 'self-realization' based on the participation factors and effects of lifelong study circle activities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It was also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study' and 'self-development' occurring in study circle activities.
To achieve such goal of the study, research tasks were designed as follows: how is lifelong study circle learners' perception on 'study circle', 'self-development' and 'self-realization'?; how the learners understand 'study activities'?; what factors do have influence on self-development study process?; how self-development activity from study circle affects their individual life?; what types of self-development activities are applied by the learners at local community, and how the activities affect local lifelong stud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 members of the 4 study circle in Chilgok-gun for an in-depth interview and a participatory observation. An ethnographic method was used to process the dat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articipants in a study circle felt the necessity for self-development from 'dis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life,' 'preparation for the life as a senior citizen,' and 'discovering oneself by self-reflection.' They knew the distinction between the meanings of self-development and self-realization clearly. They perceived self-development to be the process of making efforts to live the life as one desires and the process of experiencing 'changes' in which one's ability is enhanced. On the other hand, they perceived self-realization to be the exhibition of one's ability through presentations and competitions and to be recognized by the society and their family, for example, by acquiring certificates for self-fulfillment. They understood self-realization not as a present term, but as a future term.
Second, study activities in a study circle included transferring and sharing reflection, experience, knowledge and information among the group members. Planned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 and in-depth exploration as well as spontaneous activities such as friendly gathering and casual meeting occurred in the group. The fruits of such study appeared as a positive change in one's life. Regarding study activities for self-development, the study results were affected by the variables such as voluntary participation with a certain goal in mind, a leader and the leadership, the number of members in a group, interpersonal relation and interaction among members and the implementation of study.
Third, self-development activities in a study circle brought changes into one's thought and action, and helped to find a life's calling that one can do and one wants to do. Through such activities, one can find an answer how to spend one's life as a senior citizen meaningfully. Moreover, meeting, learning, sharing and communicating with other members enabled one to achieve self-confidence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hence vitalizing the daily life. Furthermore, the accomplished results from the study encouraged one to draw up new study goals and vision for self-development so that one can grow as a lifelong learner through continuous study.
Fourth, self-development activities in a study circle displayed professionality, diversity and active nature of the learning via lifelong learning festivals and self-organized events so that the learners' confidence and a sense of achievement increased. Such public event encouraged non-group members to join in a study circle and vitalized the lifelong learning in general. Subsequently, it produced more experts in each field as the human resources for a local community. A sense of solidarity occurred and the members exercised 'noblesse oblige' regarding learning. Consequently, the study circle activities played a major role to lead a healthy study community exercising solidarity, voluntary service and participa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irst, a study circle can be the motivating force for active lifelong learning for the local community, thus, it is important to build a foundation for study groups and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by the relevant institutions. In this regard, a study group should participate early in the planning phase of such lifelong learning program.
Second, a leader in charge of the study circle is a manager as well as an assistant who helps the members to enhance their self-development. Sometimes a leader is an expert leading the study in a group. Accordingly, various leaders from all walks of life should be encouraged to actively join in a study group for an expertise in self-development in order to lead and support the study circle in a local community as an expert group for practical learning instead of a mere hobby group.
Third, the current study circle policy focused on a quantity increase for increasing the numbers of study circle to attract more learners for the lifelong learning. However, a new policy for a qualitative increase should be employed to promote a systemic learning and a sustainable management with expertise for each study group. In addition, a policy for supporting and integrating ignored members within a group by the selected few driven by egoism who tend to exclude others with lesser study performance.
Finally, the members of a study circle are rewarded emotionally by their voluntary service to the community and at work utilizing and practicing what they have learned from the lifelong study. Thus,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and local community need to devise a support system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manpower educated in a study circle to volunteer for their own community. They also need to take up a role as a moderator to connect the demand and supply for the expertise of the learners in each area of the communit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