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 내용의 구성요인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전국의 20개 청각장애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교사 309명의 자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 내용의 구성요인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전국의 20개 청각장애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교사 309명의 자료...
이 연구에서는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 내용의 구성요인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전국의 20개 청각장애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교사 309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의 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요인분석, t/F 검증, 그리고 구조방정식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의 내용은 모두 8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둘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 내용에 대한 인식은 교직경력과 최종학력 등과 같은 배경변인에 영향을 받는다. 셋째,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의 내용에 대한 관계모형은 교육과정에 대한 인지적 지식, 교과내용 지식, 교육과정 적용 지식, 교수.학습 지식, 그리고 교직관 지식의 순으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내용에는 교사개인의 학생관 지식, 교수·학습 환경의 학교역할 지식, 그리고 학교환경 지식 등은 제외되는 모형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실천적 지식의 내용을 구성하는 여러 요인은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업 모형에서 중요성을 달리하고 있음을 또한 시사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of the structural factors to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perception toward the contents of the practical knowledge. The 309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school for the hearing impair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of the structural factors to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perception toward the contents of the practical knowledge. The 309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school for the hearing impairment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ith 57 questions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factor analysis, t/F test and Amo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contents of the practical knowledge which were perceived by the teachers who were teaching at the school for the hearing impairment were constructed with eight factors; (b) the teaching experiences and the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were important variables to perceive the contents of the practical knowledge, however, sex, the level of the private or public, and the level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were not related with the perception to the contents of the practical knowledge; and (c) the model of the relationships in the contents of the practical knowledge were consisted with curriculum knowledge, contents knowledge of subjects, curriculum adaptation knowledge, teaching.learning knowledge, and outlook on teaching, however, the outlook on students, school role to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knowledge were excluded in the model of the contents of the practical knowledg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factors which were structured with the contents of the practical knowledge were revealed differently in the important and role of the teaching model of the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성규, "특수교사 실천적 지식 측정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201-228, 2013
2 전병운, "특수교사 수업 평가 기준 개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53-75, 2011
3 원태연, "통계조사 방법" ㈜데이타솔루션 1998
4 이윤미, "초등학교 특수학급 수업실행 구성요인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5 박경희, "초등학교 통합학급과 특수학급의 수업 구성요인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3
6 소경희, "초등교사의 수업관련 실천적 지식의 작동 및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 48 (48): 133-155, 2010
7 이명희, "초등 교사의 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지식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25 (25): 693-734, 2011
8 최성규,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업설계와 수업실행에 대한 관계 분석" 국립특수교육원 19 (19): 169-191, 2012
9 최성규,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내ㆍ외적 정향 요인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183-204, 2013
10 이윤미, "지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한 교육과정과 수업에서의 실천적 지식의 정향성에 대한 구조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1-20, 2013
1 최성규, "특수교사 실천적 지식 측정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201-228, 2013
2 전병운, "특수교사 수업 평가 기준 개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53-75, 2011
3 원태연, "통계조사 방법" ㈜데이타솔루션 1998
4 이윤미, "초등학교 특수학급 수업실행 구성요인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5 박경희, "초등학교 통합학급과 특수학급의 수업 구성요인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3
6 소경희, "초등교사의 수업관련 실천적 지식의 작동 및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 48 (48): 133-155, 2010
7 이명희, "초등 교사의 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지식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25 (25): 693-734, 2011
8 최성규,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업설계와 수업실행에 대한 관계 분석" 국립특수교육원 19 (19): 169-191, 2012
9 최성규,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내ㆍ외적 정향 요인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183-204, 2013
10 이윤미, "지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한 교육과정과 수업에서의 실천적 지식의 정향성에 대한 구조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1-20, 2013
11 이윤미, "중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구성요인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255-286, 2011
12 정현우, "정신지체 특수학교 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의 구성요소와 구조 탐색"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143-166, 2012
13 홍미화,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론적 논의-사회과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101-124, 2005
14 한광웅, "교사의 실제적 지식의 실천적 성격" 213-244, 2009
15 강현석, "교과교육에서 내러티브를 활용한 교과별 PCK(내용교수지식) 심화 모형 개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9 (59): 643-695, 2011
16 유은정, "과학 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생애사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971-987, 2010
17 Shulman, L. S,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15 (15): 4-14, 1986
18 Shulman, L. S, "Those who understand: A concept of teacher knowledge" 10 (10): 9-15, 1986
19 James, S, "Special education teacher knowledge of literacy: An analysis of two preparation programs' effectiveness in increasing subject-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reading comprehension" University of Kansas 2011
20 Liben, L. S, "Real-world knowledge through real-world maps: A developmental guide for navigating the educational terrain" 22 (22): 267-322, 2002
21 윤석임, "Prospective Teachers' Subjective - 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cept Knowledge of Derivative Concept"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209-231, 2009
22 Zahle, J, "Practical knowledge and participant observation" 55 (55): 50-65, 2012
23 Nordenstam, T, "Practical knowledge and ethics" 28 (28): 377-382, 2013
24 Schwenkler, J, "Perception and practical knowledge" 14 (14): 137-152, 2011
25 Boulton-Lewis, G, "Moral and social development : Teachers' knowledge of children's learning and teaching strategies in the early years" 36 (36): 6-14, 2011
26 Lewis, W, "Knowledge versus “knowledge”: Louis Althusser on the autonomy of science and philosophy from ideology" 17 (17): 455-470, 2005
27 Shinas, V, "Examining domains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using factor analysis" 45 (45): 339-360, 2013
28 Wien, C. A,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real life": Stories of teacher practical knowledge" Teachers College Press 1997
29 Crowther, F, "Developing teacher leaders" Corwin Press 2002
30 Dingle, M, "Developing effective special education reading teachers :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context, and individual qualities" 34 (34): 87-103, 2011
31 Lang, H, "Deaf learners: Developments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Gallaudet University Press 57-66, 2006
32 Ruohotie-Lyhty, M, "Constructing practical knowledge of teaching: Eleven newly qualified language teachers' discursive agency" 39 (39): 365-379, 2011
33 Otto, C, "An instructional strategy to introdu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using Venn diagrams" 24 (24): 391-403, 2013
34 배병렬,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 원리와 실제" 도서출판 청람 2013
35 Hantzidiamantis, P, "A case study examining the collaboration between a general education and a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an inclusive classroom" Hofstra University 2011
36 홍윤경, "'실천적 지식'의 두 가지 유형에 관한 고찰: '테크네'와 '프로네시스'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회 47 (47): 193-215, 2012
통합환경에서의 중도장애학생 평가를 위한 국외 대안평가 연구동향 고찰 및 함의
생태학적 중심 장애아동 부모 역량강화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기효능감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장애학생과의 난타연주활동이 중학교 여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7-03-0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enal of Special Education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07-07-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enal of Special Educ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7-0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특수교육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69 | 0.715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