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양진희,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수행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11-342, 2011
2 허희선, "학급차원의 또래도우미 활동 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과의 친구관계와 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0 (10): 155-186, 2011
3 이인숙,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발당장애학생의 행동 및 또래의 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국립특수교육원 14 (14): 193-214, 2007
4 박미혜, "학급 차원의 또래 지원망 프로그램이 일반아동의 장애아동과의 친구관계와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7 (7): 51-71, 2008
5 진의남, "학교 교육에서 인성교육의 인식과 개선 요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8 (18): 145-169, 2012
6 문현정, "특별친구 프로그램이 일반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7 이상호, "통합학급에서 또래도우미 활동이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김희남, "통합학급에서 또래 도우미 활동이 일반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9
9 김지영, "통합교육환경에서 특수교육보조원과 또래도우미 지원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통합교육학회 3 (3): 1-23, 2008
10 박문순, "통합교육의 효과에 대한 장애학생 및 비장애학생 부모의 인식 비교"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5
1 양진희,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수행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11-342, 2011
2 허희선, "학급차원의 또래도우미 활동 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과의 친구관계와 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0 (10): 155-186, 2011
3 이인숙,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발당장애학생의 행동 및 또래의 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국립특수교육원 14 (14): 193-214, 2007
4 박미혜, "학급 차원의 또래 지원망 프로그램이 일반아동의 장애아동과의 친구관계와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7 (7): 51-71, 2008
5 진의남, "학교 교육에서 인성교육의 인식과 개선 요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8 (18): 145-169, 2012
6 문현정, "특별친구 프로그램이 일반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7 이상호, "통합학급에서 또래도우미 활동이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김희남, "통합학급에서 또래 도우미 활동이 일반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9
9 김지영, "통합교육환경에서 특수교육보조원과 또래도우미 지원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통합교육학회 3 (3): 1-23, 2008
10 박문순, "통합교육의 효과에 대한 장애학생 및 비장애학생 부모의 인식 비교"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5
11 김동현, "통합교육을 위한 고등학교 ‘좋은 친구’ 활동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통합교육학회 10 (10): 1-34, 2015
12 조태곤, "통합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5 (15): 79-98, 2014
13 최미점, "통합교육에 대한 장애학생 어머니의 인식과 지원요구" 한국발달장애학회 18 (18): 1-19, 2014
14 허은지,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학생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조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5 주은희, "청소년의 친구관계 형성과 가족 지원에 관한 연구" 13 (13): 96-123, 2000
16 최정미, "청소년의 친구관계 특성과 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0 (10): 373-394, 2003
17 김태성, "청소년의 장애인 인식에 관한 연구 : 전북 익산시를 중심으로"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2005
18 양지은, "청소년을 위한 정신장애인식개선프로그램의 효과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19 유경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언어장애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0 이준상,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의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8 (18): 57-82, 2008
21 권우상, "지적장애 아동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사례 연구 : 수 제닝스의 과제 중심접근법을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대학원 2016
22 차정옥, "중학교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3 이숙향, "중등 통합교육의 현실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장애학생과 부모의 통합교육 경험 및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203-235, 2011
24 정선화, "정신지체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개선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25 김혜선, "장애학생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다층적 하모니 프로그램’이 초등 통합학급학생들의 친사회성, 또래 수용도와 학급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26 이옥순, "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학생 부모의 인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7 강선경,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태도, 스트레스 대처 및 사회적 지원이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14) : 7-35, 2002
28 박승진, "장애인이 주인공이 된 문화 체험활동이 청소년의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9 김은경,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에 관한 비 장애아 부모의 인식"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08
30 박지연, "장애아동 부모의 낙관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121-144, 2014
31 원종례, "장애대학생의 지원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8 : 47-70, 2001
32 강성구, "장애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친구관계 : 친구의 지원, 갈등해결전략 및 만족감" 국립특수교육원 13 (13): 209-230, 2006
33 강혜경, "장애대학생 도우미 활동에 참여한 비장애대학생의 장애 인식, 경험 및 요구 분석" 한국통합교육학회 6 (6): 265-294, 2011
34 윤현숙, "장애 대학생과 친구되기(Buddy)에 대한 비장애대학생 태도에 관한 연구 : A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133-148, 2013
35 심은지, "자폐장애 아동의 사회적 행동과 자기표현을 위한 비지시적 미술치료 사례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36 김창호, "자기점검표를 활용한 또래 도우미 지원이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583-604, 2011
37 이신령, "일반중학교 정신지체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필요한 사회성 기술에 대한 일반교사와 또래학생의 중요도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38 강소희, "일반유아 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일반유아들의 장애유아 이해 비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9 김홍도, "일반 또래 아동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정신지체아동의 언어 유형 분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1
40 양은희, "일반 고등학교에서의 '좋은 친구 프로그램'이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1 양은희, "일반 고등학교에서 실시된 ‘굿 프렌드 프로그램’이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사이의 친구관계에 미친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1 (21): 131-157, 2005
42 황복선, "여가활동에서의 또래-친구 프로그램이 장애대학생의 사회적응 능력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1 (11): 147-169, 2012
43 이승구, "수학과 학급차원 또래교수가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수학 학습태도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297-324, 2011
44 강성구, "생활도우미 활동이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국립특수교육원 12 (12): 133-160, 2005
45 차민하, "사회적응훈련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지역사회적응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3
46 이경은, "사회적 기술이 부족한 지적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또래협동미술치료 사례연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4
47 김두환, "부모⋅친구⋅교사와의 사회적 관계와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한국사회학회 45 (45): 128-168, 2011
48 오선영, "또래지원망 프로그램이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49 이성현, "또래지도 전략 독해학습장애아의 독해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한국발달장애학회 3 : 147-166, 1999
50 권한나, "또래도우미 활동의 자발성이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5 (15): 111-136, 2014
51 박유정, "또래간 상호작용기반 중재 연구 동향 및 효과분석: 장애아동의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28 (28): 21-43, 2015
52 이미우, "또래 협력 학습이 학습장애아의 읽기·쓰기 능력과 자아 개념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1
53 김정효, "기능적 읽기 중심의 상급학생 또래교수가 장애 중등학생의 기능적 읽기 능력 및 사회성과 실업계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 및 사회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54 권택환, "국내 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 및 지원요구" 국립특수교육원 15 (15): 55-72, 2008
55 김유희, "고등학생의 가정의 가치지향성 및 장애접촉 경험유형과 장애인식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56 Bronfenbrenner, U., "Toward an experimental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32 : 513-531, 1977
57 Esposoto, B. G., "The effects of contact with handicapped persons on young children's attitudes" 53 : 224-229, 1986
58 Bailey, Jr. D. B., "Stability and change in parents' expectations about mainstreaming" 7 (7): 73-88, 1987
59 Auebach, C. F., "Qualitative data : An introduction to coding and analysis" Merrill Prentice Hall 2003
60 Custer, J. D., "Improving socialacceptance by training handicapped students to tutor their non handicapped peers" 50 : 175-178, 1983
61 Voltz, L. M., "Children's attitudes toward handicapper peers" 84 : 454-464,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