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조기영어교육에 관한 인식을 다룬 국내 연구들의 내용을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00년 이후부터 2010년 까지 쓰여진 유아기 자녀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52623
2011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15-134(20쪽)
1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조기영어교육에 관한 인식을 다룬 국내 연구들의 내용을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00년 이후부터 2010년 까지 쓰여진 유아기 자녀를...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조기영어교육에 관한 인식을 다룬 국내 연구들의 내용을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00년 이후부터 2010년 까지 쓰여진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 인식과 관련된 논문 총 31편을 유아영어교육의 필요성, 교사, 교육방법, 효과, 현실적 문제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들은 유아기 영어교육 필요성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들은 외국인 교사를 가장 선호하였고, 부모가 인식한 교육 목표는 영어에 대한 흥미, 발음과 어휘, 동기유발, 의사소통, 간단한 말하기, 듣기였으며, 교육내용은 간단한 말하기와 듣기, 회화, 발음 지도, 단어읽기라고 인식하였다. 교육방법으로는 이야기나누기, 노래, 손유희, 게임 등을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적절한 영어교육 시작 시기는 유아기로 인식하고 있었다. 조기 영어교육이 영어에 대한 흥미와 동기 유발의 효과가 있다고 보았으며, 부모가 인식한 가장 큰 현실적인 문제점은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경제적인 문제였다. 이러한 결론은 조기 영어교육의 현실을 바로 보게 하고, 유아교육과 영어교육 전문가와 행정담당자들과의 의견조율과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노력이 더해져야 할 것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search results on parents perception i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For that purpose, 31copies of research papers and Master thesis presented from 2000 to 2010, were analyzed by the necessity, te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search results on parents perception i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For that purpose, 31copies of research papers and Master thesis presented from 2000 to 2010, were analyzed by the necessity, teacher, method of education, effect and problem o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Most of parents approved of the necessity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hey prefer to the foreigner as the English teacher. Parents perceived the interest on English, pronunciation and vocabulary, motivation, speaking and listening simple sentences as the objects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hey had recognition of simple speaking, listening, communication, phonics, and reading words as the educational contents. They appreciated circle time for topic, song, finger play, chant and game as a kind of desirable method. They thought early childhood before 5 years was the appropriate beginning time for English education. They perceived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as interest on English and motivation for learning. They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problem was the cost of education. These conclusions signified the current practical problem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cooperation between educational specialists and an administrator and development of teacher"s special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정, "한국영어유치원에서 조기영어교육과 영어유치원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조사" 우송대학교 TESOL-MALL 대학원 2007
2 양옥승, "한국 사립유치원 영어교육의 실태" 22 (22): 299-313, 2001
3 김향숙, "학부모의 자녀 영어학습에 대한 기대가 자녀의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 곽혜린 조기영어교육의 실태 및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 반경하, "취학 전 자녀를 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및 성취기대에 따른 조기영어교육 인식 및 실태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14 (14): 121-148, 2009
6 김은희, "취학 전 아동의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실태에 관한연구" 금오공과대학교 2007
7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영어교육 10년. 효과있었다"
8 이홍로, "조기영어교육의 발전방향과 부모들의 인식 조사연구" 5 : 2000
9 신동주,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현황분석 및 교사,학부모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0 안영애,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비교 연구-예비교사,현직교사,학부모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5
1 김현정, "한국영어유치원에서 조기영어교육과 영어유치원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조사" 우송대학교 TESOL-MALL 대학원 2007
2 양옥승, "한국 사립유치원 영어교육의 실태" 22 (22): 299-313, 2001
3 김향숙, "학부모의 자녀 영어학습에 대한 기대가 자녀의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 곽혜린 조기영어교육의 실태 및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 반경하, "취학 전 자녀를 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및 성취기대에 따른 조기영어교육 인식 및 실태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14 (14): 121-148, 2009
6 김은희, "취학 전 아동의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실태에 관한연구" 금오공과대학교 2007
7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영어교육 10년. 효과있었다"
8 이홍로, "조기영어교육의 발전방향과 부모들의 인식 조사연구" 5 : 2000
9 신동주,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현황분석 및 교사,학부모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0 안영애,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비교 연구-예비교사,현직교사,학부모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5
11 노승희,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유아 부모의 인식 및 실태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2 김명선,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실태조사"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3 차지인,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유치원과 사설영어학원 비교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4 윤세영,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연구" 서울교육대학 2008
15 박양임, "조기영어교육 및 특기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 인식 조사 분석"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6 박명희, "조기 유아 영어교육의 효과 및 학부모 인식에 대한 연구"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7 유주영,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2007
18 이정란,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만족도 조사연구"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9 김순환, "유치원에서의 영어담당교사별 수업특성과 영어어휘에 대한 유아 이해도"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353-385, 2010
20 노혜경, "유치원 방문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비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21 이수영, "유아의 한글과 영어교육에 관한 학부모 인식 및 실태 비교연구" 배재대 대학원 2001
22 곽향림, "유아영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4
23 이대균, "유아영어교육의 연구 동향 및 내용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95-120, 2006
24 김미나,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원장,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25 양수경,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나사렛대 교육대학원 2008
26 안성희, "유아영어교육 담임제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2008
27 마송희, "유아교육기관 영어교육의 타당성과 바람직한 실천 방안"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21-245, 2008
28 김순희, "유아 영어학원 유치원 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강사,어머니 인식조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9 김정준, "유아 영어교육 연구의 경향 분석" 1 : 55-74, 2009
30 우남희, "영유아에 대한 조기영어교육의 적절성에 대한 연구" 2002
31 김마리아, "영어학습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기대와 유아 학습태도 및 흥미" 숙명여대원격대학원 2006
32 육수희, "영어노래와 챈트를 이용한 스토리텔링 영어수업의 효과검증 및 부모님의 인식조사" 호서대 대학원 2004
33 김연희, "영어 유치원과 한국어 유치원 7세 유아의 영어 학습 흥미도 분석 및 영어학습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기대연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2009
34 정호진, "어머니의 조기영어교육 인식 및 참여가 어린이 영어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4 (4): 495-506, 2001
35 이현주, "어린이집의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부모,원장,교사의 인식조사" 8 (8): 2004
36 이선미, "사설 유아영어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의 자질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97-127, 2010
37 전홍주,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을 통해서 본 유아 영어교육의 방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191-213, 2009
38 이선주, "부모의 조기영어교육기관 선택요인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2003
39 문윤경,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영어 조기교육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0 우남희, "그림책과 플래시카드를 활용한 유아 영어교육 방법의 비교분석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23-47, 2010
41 문선, "교육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만족 결정 요인 연구:어린이 영어학원을 중심으로" 숙명여대 대학원 2003
42 조선일보, "2008년 10월 24일자"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유아와 가족변인의 영향
명화에 기초한 도형 활동이 유아의 기하개념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4-2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 Journal of Children’s Media & Education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 | 1.6 | 1.9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6 | 1.85 | 2.256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