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인지하는 메타인지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211명의 T광역시의 예비유 아교사가 참여했으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161190
2011
-
373
KCI등재
학술저널
205-223(19쪽)
1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인지하는 메타인지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211명의 T광역시의 예비유 아교사가 참여했으며,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인지하는 메타인지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211명의 T광역시의 예비유 아교사가 참여했으며, 메타인지 검사도구로는 Schraw와 Dennison(1994)이 제작한 Meta-cognitive Skill 측정도구를,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은 D\ zurilla 와 Nezu(1990)가 제작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척도(SPSI: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를 취하 여 본 연구에 부합되게 여러 차례 전문가 검토와 수정 및 보완 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메타인지가 높은 집단은 메타인지가 낮은 집단에 비해 사회적 문제 해결기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인지의 하위요인인 계획하기, 정보관리하 기, 모니터링하기, 수정하기, 평가하기 모두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을 유의하게 예측하 는 요소로 나타났으며, 그 중 모니터링이 가장 유의한 핵심요소로 분석되었다. 메타 인지의 하위요소가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하위요소인 문제규정, 대안산출, 의사결 정, 실행확인을 예측하는 설명력을 알아본 결과 제규정을 예측하는 핵심요소는 정보 관리하기였고, 대안산출과 의사결정 및 실행확인을 예측하는 핵심요소는 모니터링 하기였다. 따라서, 메타인지의 5가지 하위요소 중 모니터링하기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에서 가장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에서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는 프로그램과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실천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meta-cognition and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The research subjects were 211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T-city. For the measurement of meta-...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meta-cognition and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The research subjects were 211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T-city. For the measurement of meta-cognition, the Meta-cognitive Skill inventory developed by Scharaw and Dennison(1994), for the measurement of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SPSI(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 developed by D zurilla and Nezu(1990) were used after expert reviews and several revisions to meet the research goal.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groups with higher meta-cognition solved the social problems better than those with lower meta-cognition. Among the sub-components of meta-cognition, planning, information-managing, monitoring, debugging, and evaluating, all of them appeared to be significant factors. Particularly, monitoring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prediction power of sub-components of meta-cognition, information management was the core predictor for problem definition. Also, monitoring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for solution generation, decision-making, and performance confirmation. Accordingly, meta-cognition, particularly monitoring among five sub-components of meta-cognition, i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for social problem-solving. The current research suggests useful advices in planning and practicing educational programs and curriculum for kindergarten teacher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진, "탈북청소년의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이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8
2 김민환, "컴퓨터 보조 협동학습(CACL)에서 집단구성과 메타인지 수준의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 125-149, 2005
3 김선영,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과의 상관관계" 연세대학교 2004
4 박경, "청소년의 부정적인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 자존감, 무망감의 중재효과 및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2 (12): 96-106, 2004
5 박경환, "조직적응 관점에서 사회적 문제해결이 직무소진, 조직몰입, 이직성향, 그리고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2 (22): 2109-2137, 2009
6 김희숙, "정서조절 양식,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 및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2006
7 이지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메타인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몰입과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학회 48 (48): 67-92, 2010
8 김신자, "인지전략영역 교수를 위한 교육" 9 (9): 5-18, 2005
9 최미숙, "유아교사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관계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25-250, 2010
10 윤수정, "웹기반 사례중심학습환경에서 사례제시방식, 메타인지가 개념이해, 문제해결에 주는 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18 (18): 201-219, 2006
1 김현진, "탈북청소년의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이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8
2 김민환, "컴퓨터 보조 협동학습(CACL)에서 집단구성과 메타인지 수준의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 125-149, 2005
3 김선영,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과의 상관관계" 연세대학교 2004
4 박경, "청소년의 부정적인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 자존감, 무망감의 중재효과 및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2 (12): 96-106, 2004
5 박경환, "조직적응 관점에서 사회적 문제해결이 직무소진, 조직몰입, 이직성향, 그리고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2 (22): 2109-2137, 2009
6 김희숙, "정서조절 양식,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 및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2006
7 이지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메타인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몰입과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학회 48 (48): 67-92, 2010
8 김신자, "인지전략영역 교수를 위한 교육" 9 (9): 5-18, 2005
9 최미숙, "유아교사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관계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25-250, 2010
10 윤수정, "웹기반 사례중심학습환경에서 사례제시방식, 메타인지가 개념이해, 문제해결에 주는 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18 (18): 201-219, 2006
11 강명희,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메타인지, 몰입, 상호작용과 문제해결력의 관계" 교과교육연구소 12 (12): 293-316, 2008
12 이혜주, "예비유아교사의 인지전략과 자기결정성 동기와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7 (27): 55-69, 2006
13 조경자,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좋은 유아교사의 특성"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560-586, 2007
14 이재신, "영재들의 메타인지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중등교육연구소 57 (57): 89-114, 2009
15 오인숙, "아동이 지각한 부모와의 애착유형과 사회적 문제해결력과의 관계" 충북대학교 2010
16 정유림, "스퀵 e-toy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한 메타인지 및 GALT 논리 사고력 향상 효과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14 (14): 199-207, 2010
17 김정환, "메타인지자기 효능감 및 실제적 지능과성취도 간 인과관계의 경험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 (7): 73-94, 2007
18 박혜진, "메타인지, 몰입과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학교수학회 13 (13): 205-224, 2010
19 김애경, "메타인지 훈련이 귀인양식, 자기효능감 및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1996
20 김성숙, "도덕적 갈등상황에 대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메타인지(metacognition)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5-25, 2007
21 이혜진,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에 따른 사회적 문제 해결능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2
22 오영은, "대학생의 자존감과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2009
23 정현숙,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학업성취도 및 온라인 노트작성 전략 사용과의 관계" 인문과학연구소 46 (46): 317-343, 2010
24 이재신, "고등학생의 메타인지와 학습몰입과의 관계 :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매개효과"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77-295, 2009
25 장수정, "고등학생의 다면적 자아개념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관계" 연세대학교 2001
26 조규락, "개인 문제해결 상황에서 인지양식과 메타인지가 비구조 문제해결 및 논증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5-32, 2006
27 설재풍, "가치명료화 학습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적용이 중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의사결정 유형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2003
28 설재풍, "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565-582, 2005
29 Hang, N. S, "The relationship between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in multimedia simul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98
30 D'zurilla, T. J, "Social problem-solving in adults, In Advances in cognitive-behavioral research and therapy, 1" Academic Press 201-274, 1982
31 D'zurilla, T. J, "Social problem solving and behavior modification" 78 : 107-126, 1971
32 박정환, "PBL이 학습자의 메타인지 수준에 따라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15 (15): 55-81, 1999
33 장경원, "PBL로 수업하기" 학지사 2010
34 Pelham, B. W, "On the highly positive thoughts of highly depressed, In Self-esteem: The puzzle of low self-regard" Plenum Press 183-199, 1991
35 Flavell, J. H, "Metacognitive aspects of problem solving, In The nature of Intelligence" Erlbaum 231-235, 1976
36 D'zurilla, T. J, "Manual for the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revised" Multi_Health Systems 1999
37 조미옥, "LOGO 프로그래밍의 안내적 교수법을 통한 인지적 모니터링 전략" 7 (7): 161-180, 1991
38 D'zurilla, T. J, "Development and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Psychological assessment" 2 : 156-163, 1990
39 이성주, "CMC 활용 학습에서 면대면 수업, 교사관여 및 메타인지가 학업성취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95-128, 2003
40 Schraw, G, "Assessing metacognitive awareness" 19 : 460-475, 1994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에서 학습자 참여 수행평가 준거 설정 활동의 교육적 효과
위키 기반 협력적 성찰일기를 통해 본 예비교사들의 성찰적 사고 탐구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을 통한 학교자치 실현 가능성 탐색
청소년의 학교적응, 자기통제력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