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집단 과학실험활동에서의 또래들 간 의사소통 과정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중인 실험집단 14명, 비교집단 14...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31797
2010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61-185(25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소집단 과학실험활동에서의 또래들 간 의사소통 과정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중인 실험집단 14명, 비교집단 14...
본 연구는 소집단 과학실험활동에서의 또래들 간 의사소통 과정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중인 실험집단 14명, 비교집단 14명의 총 28명이었으며 평균 월령은 61.37개월이었다. 실험집단은 7명씩 2개의 소집단으로 구성되어 10주 동안 1주에 1회씩 총 10회에 걸쳐 과학실험활동을 처치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생활중심 대집단 과학활동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언어능력은 ‘언어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ANCOVA를 통해 소집단 과학실험활동에서의 의사소통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의 언어표현력 중 단어 수, 문장 수, 내용일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들의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어이해력의 이야기 듣고 질문에 답하기(Ⅰ-Ⅱ), 이야기 듣고 적절한 그림그리기, 이야기 듣고 그림 순서대로 놓기에서도 실험집단 유아들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들의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소집단 과학실험활동에서의 의사소통은 유아의 언어 표현력과 이해력 발달 즉 언어능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임이 밝혀졌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Communication in Small Group Scientific Experiment activity on Young Children's Linguistic Abil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8 of five-year-old young children(experimental group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Communication in Small Group Scientific Experiment activity on Young Children's Linguistic Abil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8 of five-year-old young children(experimental group 14, control group 14) on kindergarten located in D City in two groups of six each. This study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10 weeks.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was engaged in 10 Scientific Experiment activity, the control group was engaged in Scientific activity around life. The Young children's Linguistic Ability test(Jang,1961) consists of vocabulary, linguistic understanding and linguistic expressiveness, but we used linguistic expressiveness and linguistic understanding except vocabul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Communication in Small Group Scientific have a positive effect on linguistic expressiveness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Linguistic Ability. Second, Social Communication in Small Group Scientific Experiment activ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linguistic understanding development. In conclusion, Social Communication in Small Group Scientific Experiment activ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Linguistic Ability.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미, "현장중심 과학교육" 창지사 2002
2 허 형, "한국 아동의 종단적 연구-4" 한국행동과학연구소 1978
3 전용신, "한국 아동용 개인 지능 검사" 2 (2): 1971
4 송용의, "토의학습의 이론적 기초" 115-121, 1991
5 권낙원, "토의수업의 특징과 지도과정" 116 : 123-128, 1991
6 정현주, "총체적 언어교육 접근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7 이원영, "주거공간에 대한 상상적 질문이 유아들의 그림표현에 미치는 영향" 10 : 1995
8 유승연, "유치원 유아문학활동 현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2
9 이연섭, "유치원 아동의 학습준비도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0
10 한국행동과학연구소, "유아지능검사" 한국행동과학연구소 1973
1 김경미, "현장중심 과학교육" 창지사 2002
2 허 형, "한국 아동의 종단적 연구-4" 한국행동과학연구소 1978
3 전용신, "한국 아동용 개인 지능 검사" 2 (2): 1971
4 송용의, "토의학습의 이론적 기초" 115-121, 1991
5 권낙원, "토의수업의 특징과 지도과정" 116 : 123-128, 1991
6 정현주, "총체적 언어교육 접근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7 이원영, "주거공간에 대한 상상적 질문이 유아들의 그림표현에 미치는 영향" 10 : 1995
8 유승연, "유치원 유아문학활동 현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2
9 이연섭, "유치원 아동의 학습준비도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0
10 한국행동과학연구소, "유아지능검사" 한국행동과학연구소 1973
11 주영희, "유아언어발달과 교육" 교문사 2001
12 신은수, "유아교육의 교수방법으로 협동학습 활동이 유아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 13 : 1993
13 김은심, "유아교사를 위한 교수매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9
14 한미라, "유아과학교육 교과목의 교수.학습 방법을 위한 연구" 7 (7): 83-111, 1997
15 이경민, "유아과학교육" 정민사 2004
16 이영우, "유아과학교육" 양서원 1999
17 정명숙, "유아 과학 교수·학습과정에서 비계설정에 따른 유아의 과학적 개념과 태도의 변화과정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315-348, 2010
18 이혜영, "소집단 활동을 통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이 말하기 활동에 미치는 영향" 민족어문학회 62 (62): 169-199, 2010
19 신은수, "소집단 교수법의 전개 유형이 유아의 과학적 능력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14 (14): 79-96, 1994
20 김효진, "소집단 과학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2005
21 김효진, "소집단 과학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113-136, 2007
22 신은수, "생활과 환경중심의 유아과학교육" 양서원 1994
23 이경민,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탐구능력,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24 한순미, "비고츠키와 교육" 교육과학사 1999
25 이효정, "동화책을 통한 소집단 토의가 형식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26 김해경, "동화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 표현력 및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27 조형숙, "과학교수능력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방법의 고찰" 1 (1): 85-106, 1998
28 강석진, "과학 개념에서 협동적 소집단 토론의 효과" 22 (22): 93-101, 2002
29 장영애, "가정환경 변인과 4-6세 아동의 언어능력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81
30 권석희, "가정문해활동과 언어이해력 및 수학적 소양간의 상관관계" 11 (11): 117-128, 2002
31 Piaget, L., "The Psycholgy of the child" Basic book 1969
32 Brown, H. D., "Teaching by Principles: An Interactive Approach to Language Pedagogy(3rd Ed.)" Pearson Education, Inc. 2007
33 Howe, A. C., "Sc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Handbook of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Macmillan Publshing Company 225-235, 1996
34 Berk, L. E., "Scaffolding children's learning: Vygotsky and early children childhood education"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995
35 Naeyc, "Reaching potentials: Appropriate curriculum and assessment for young chidren" Naeyc 1992
36 Howe, C. J., "Physics in the primary school: Peer interaction and the under standing of floating and sinking" 5 : 59-76, 1990
37 Williams, D. L., "On science for young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Science" NAEYC 1985
38 Vygotsky, L. 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39 Richmond, G., "Making meaning in classrooms: Social processes in small-group discourse and scientific knowledge building" 33 (33): 839-858, 1996
40 Project Zero, "Making learning visible: children as individual and group learners" Harvard College 2001
41 Laminack, L., "M.T leads the class: The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and science" 24 (24): 41-42, 1987
42 Goldberg, "Learning how to learn science and children. Apr"
43 Lee, D., "L2 Development Through Collaborative Interaction" 12 (12): 181-198, 2001
44 Johnson, D. W., "I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1987
45 Liu, K. C., "Early experience of cooperative learning in preschool classroom" 63 (63): 195-200, 1992
46 Katz. L. G., "Disposi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18 : 1-3, 1985
47 Nctm, "Curriculum and eval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ctm 1998
48 Driver, R., "Constructing scientific knowledge in the classroom" 23 (23): 5-12, 1994
49 Lekin, R., "Connecting research with practice: cooperative learning in mathematics" 92 : 240-246, 1999
50 Lichtenberg, P,, "Cognitive and Mental Development in the first Five Years of Life. A Review of recent research"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70
51 오지영, "7차 교육과정 과학과 물리 영역의 이해 및 내용분석을 위한 개념도 작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52 Duckworth. E., ""The having or wonderful iders" and other essays on teaching learing" Teaching Collgepress 1987
유아놀이 유형과 유아의 언어 · 사회적 · 정서능력과의 관계 분석
경제적 해체 가족과 일반가족의 가족 간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자녀양육스트레스및 아동의 또래 놀이 상호작용
중학교 영어교과서의 시각자료를 통한 문화적 묘사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4-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 Korean Education Inquiry | ![]() |
2013-04-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Education Inquiry -> The Research Institue of Korean Education | ![]() |
2013-04-1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Education Inquiry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6 | 1.26 | 1.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7 | 1.22 | 1.339 | 0.26 |
Communication: Early Language
Teachers TV Teachers TVDeveloping Communication for Language and Thinking
Teachers TV Teachers TVContextual and Cultural Communication (CCC)
K-MOOC 인하대학교 Grace BaeContextual and Cultural Communication (CCC)
K-MOOC 인하대학교 Grace BaeLanguage Support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