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과 한국 소비자의 광고수용 비교연구 ― 불확실성과 감정소구 요인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Uncertainty and Emotional appeal in Advertisement :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South Korea and Chinese consum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16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the cultural theories provided by Hofstede, Trompenaars and Hampden–Turner,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were shown in uncertainty avoidance and affective category.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s of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caused by uncertainty avoidance and affective, and then explore the most effective international advertising strategies for China Marketing.
      It was provided by previous studies that the advertising attitud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ustom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due to the differences of uncertainty avoidance, but made no mention of the theories of affective. As a matter of fact, except for uncertainty avoidance tendency, the affective may also have some impacts on advertising attitudes.
      Expect for validating the impact of uncertainty factors on the performance of advertisement, this research also observe the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korean customers at high degree of uncertainty. In addition, the validation results show that the best advertising performance can be obtained by maximizing the high degree of emotional appeal elements and uncertain factors in Chinese aspect. In contrast, the best advertisement performance can be obtained by minimizing the low degree of emotional appeal elements.
      Based on above validation results, this research has some reference value for making and designing more effective international advertisements and it also has some reference value for korean enterprises to develop Chinese market.
      번역하기

      According to the cultural theories provided by Hofstede, Trompenaars and Hampden–Turner,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were shown in uncertainty avoidance and affective category.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understand...

      According to the cultural theories provided by Hofstede, Trompenaars and Hampden–Turner,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were shown in uncertainty avoidance and affective category.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s of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caused by uncertainty avoidance and affective, and then explore the most effective international advertising strategies for China Marketing.
      It was provided by previous studies that the advertising attitud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ustom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due to the differences of uncertainty avoidance, but made no mention of the theories of affective. As a matter of fact, except for uncertainty avoidance tendency, the affective may also have some impacts on advertising attitudes.
      Expect for validating the impact of uncertainty factors on the performance of advertisement, this research also observe the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korean customers at high degree of uncertainty. In addition, the validation results show that the best advertising performance can be obtained by maximizing the high degree of emotional appeal elements and uncertain factors in Chinese aspect. In contrast, the best advertisement performance can be obtained by minimizing the low degree of emotional appeal elements.
      Based on above validation results, this research has some reference value for making and designing more effective international advertisements and it also has some reference value for korean enterprises to develop Chinese marke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제광고 맥락에서 한국과 중국의 현지화 혹은 표준화 논의의 중심으로 사용되는 문화적 불확실성 회피성향의 광고 수용에 대한 영향력을 정교화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주효과로써 불확실성 회피성향에 감정소구라는 다른 주효과를 설정하여 두 변인 사이의 중재(moderating)효과 살펴보았다. 측정한 결과, 기존의 연구들과 유사하게 불확실성 요소는 광고효과에 유의미한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문화차원과 감정소구 변인을 동시에 측정하였을 때, 중국 소비자의 경우 감정적 소구와 불확실성 요소를 최대한으로 사용하는 경우 가장 높은 광고효과를 보인 반면, 한국의 소비자들은 감정적 소구 요소와 불확실성 수준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는 경우 최대의 광고효과를 보였다. 즉, 두 주효과 변인은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상세한 이론적 논의와 현업에 대한 시사점은 본문에서 다루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제광고 맥락에서 한국과 중국의 현지화 혹은 표준화 논의의 중심으로 사용되는 문화적 불확실성 회피성향의 광고 수용에 대한 영향력을 정교화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

      본 연구는 국제광고 맥락에서 한국과 중국의 현지화 혹은 표준화 논의의 중심으로 사용되는 문화적 불확실성 회피성향의 광고 수용에 대한 영향력을 정교화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주효과로써 불확실성 회피성향에 감정소구라는 다른 주효과를 설정하여 두 변인 사이의 중재(moderating)효과 살펴보았다. 측정한 결과, 기존의 연구들과 유사하게 불확실성 요소는 광고효과에 유의미한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문화차원과 감정소구 변인을 동시에 측정하였을 때, 중국 소비자의 경우 감정적 소구와 불확실성 요소를 최대한으로 사용하는 경우 가장 높은 광고효과를 보인 반면, 한국의 소비자들은 감정적 소구 요소와 불확실성 수준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는 경우 최대의 광고효과를 보였다. 즉, 두 주효과 변인은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상세한 이론적 논의와 현업에 대한 시사점은 본문에서 다루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유경, "호프스테드의 문화차원(5-D)에 나타난 광고거리에 관한연구: 크리에이티브 전략을 중심으로" 43 (43): 1999

      2 송용섭, "현대광고론" 무역경영사 1985

      3 전종우, "한국인과 중국인이 인식하는 문화 차원의 차이와 양국 소비자 문화에서의 역할"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8 (18): 105-125, 2010

      4 徐정, "한국과 중국의 문화적 차이에 따른 TV광고 크리에이티브 비교"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0

      5 동 준, "한국과 중국 잡지광고에 나타난 문화가치의 차이에 관한 연구 : 화장품 광고를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2015

      6 고월선,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불확실성 회피성향에 따른 애매모호한 광고 메시지에 대한 광고효과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2

      7 유종혜, "한국, 중국, 홍콩 TV공익광고의 비교연구 : Hall, Hofstede의 문화차원 및 크리에이티브 전략분석" 부산대학교 2015

      8 전동매, "한·중 양국 소비문화 비교연구 - 대학생들의 소비 관련 생활방식 특성을 중심으로" 27 : 2006

      9 김한진, "한·미 광고에 나타난 문화차원에 관한연구 : Trompenaars-Turner의 문화차원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행정언론대학원 2010

      10 孫德勝, "중국 신중간계층의 소비관념에 관한 연구 --青島와 大連을 중심으로--" 대한중국학회 (35) : 279-300, 2010

      1 김유경, "호프스테드의 문화차원(5-D)에 나타난 광고거리에 관한연구: 크리에이티브 전략을 중심으로" 43 (43): 1999

      2 송용섭, "현대광고론" 무역경영사 1985

      3 전종우, "한국인과 중국인이 인식하는 문화 차원의 차이와 양국 소비자 문화에서의 역할"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8 (18): 105-125, 2010

      4 徐정, "한국과 중국의 문화적 차이에 따른 TV광고 크리에이티브 비교"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0

      5 동 준, "한국과 중국 잡지광고에 나타난 문화가치의 차이에 관한 연구 : 화장품 광고를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2015

      6 고월선,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불확실성 회피성향에 따른 애매모호한 광고 메시지에 대한 광고효과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2

      7 유종혜, "한국, 중국, 홍콩 TV공익광고의 비교연구 : Hall, Hofstede의 문화차원 및 크리에이티브 전략분석" 부산대학교 2015

      8 전동매, "한·중 양국 소비문화 비교연구 - 대학생들의 소비 관련 생활방식 특성을 중심으로" 27 : 2006

      9 김한진, "한·미 광고에 나타난 문화차원에 관한연구 : Trompenaars-Turner의 문화차원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행정언론대학원 2010

      10 孫德勝, "중국 신중간계층의 소비관념에 관한 연구 --青島와 大連을 중심으로--" 대한중국학회 (35) : 279-300, 2010

      11 김봉형, "웰빙광고의 소구유형이 소비자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 기능성화장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6

      12 린핑, "온라인 구전정보의 방향성과 제품관여도가 온라인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중국소비자의 불확실성 회피성향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4

      13 조백혜, "여성용 화장품 광고에서 모델특성과 광고소구유형의 상호작용 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2

      14 유동구, "소비자의 시간적 거리감에 따른 광고메시지 유형의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13

      15 남 샘, "불확실성 회피성향과 비교광고 메시지 패션제품유형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광고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하교 2016

      16 전송월, "불확실성 회피성향과 메시지 프레이밍 및 준거가격수준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17 채명수, "벤처기업의 전략유형에 따른 성과에 관한 연구" 19 (19): 2000

      18 박기순, "문화적 차이에 따른 광고 크리에이티브 표현 방식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러시아의 인쇄광고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19 까오윈멍, "문화적 가치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3

      20 장우빈, "문화 차원이 색채별 주류광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2

      21 김경진, "메시지 프레임과 메시지 불확실성인식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후변화 이슈중심" 이화여자대학교 2016

      22 이정행, "메시지 소구 방식에 따른 광고모델 유형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관여도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5

      23 단소염, "맥주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의 문화차이 : 한국과 중국의 인쇄광고 비교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24 김현정, "김현정의 전자음향과 클라리넷을 위한 '새벽' 분석 및 고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25 박장원, "기부 관여도, 메시지 소구방식, 자아효능감의 기부 의사 제고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PR학회 11 (11): 107-140, 2007

      26 이 철, "글로벌시대의 국제마케팅" 학현사 1998

      27 이상훈, "국제광고의 메시지 인식 비교를 통한 표현전략 연구 : 한국ㆍ중국ㆍ미국 현지 대학생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8 (18): 195-222, 2010

      28 이상훈, "국제광고 전략의 적용과 시행방법의 적합성에 대한 연구: 한,중,미 현지인 광고 실무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5 (15): 2004

      29 이재수, "국내 내기업의 국제광고 발전전략에 대한 연구" 5 : 2002

      30 정대영, "國際廣告의 標準化와 適應化戰略에 관한 硏究" 14 : 1993

      31 Fan, "The National Image of Global Brands" 29 (29): 2002

      32 Levitt, "The Globalization of Markets. International Business. 3. Strategic management of multination als" McGuire-Hall 2002

      33 Harris, "The Globalization of Advertising" 3 (3): 1984

      34 Jain, "Standardization of International Marketing Strategy: Some Research Hypotheses" 53 (53): 1989

      35 Onkvisit, "Self-Concept And Image Congruence: Some Research And Managerial Implications" 4 (4): 1987

      36 McQuarrie, M, "On resonance: a critical pluralistic inquiry into advertising rhetoric" 119 : 1992

      37 Mueller. B, "Multinational Advertising: Factors Influencing the Standardized vs Specialized Approach" 8 (8): 1991

      38 deMooij, "Masculinity and femininity: The taboo dimension of national cultures" Lawain-Guire 1998

      39 Lenormand, J.M, "Is Europe Ripe for the Integration of Advertising?" The International Advertising 1964

      40 Hofstede, "Culture’s conse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 in work-related values" Sage Publications 1980

      41 Hofstede, "Culture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Wind" Sage 1995

      42 Peebles, "Coordinating International Advertising" 42 (42): 1978

      43 Hornik, J, "Comparative Evaluation of International vs National Advertising Strategies" 15 (15): 1980

      44 De Mooij, "Advertising worldwide" Prentice Hall International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7 0.439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