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적 지원이 영아기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521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 자녀를 둔 가정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회적 지원 관련 변인으로 정서적 지원, 도구적 지원, 정보적 지원, 사교적 지원 변인을 선정하고,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관련 변인으로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우울, 양육스트레스를 선정하여, 각 변인들의 관계를 살펴보고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여 각 변인들 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31개월 미만의 영아와 그의 부모 1,802가구를 연구대상으로 한 한국아동패널 조사사료 3차(2010)년
      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지원인 관련 변인으로 정서적, 도구적, 정보적, 사교적 지원은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인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우울,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가족 외의 친척이나 친구, 사회복지단체 등으로 받는 정서적인 도움과 양육에 대한 정보, 경제적인 지원들은 어머니의 심리적인 건강과 함께 어머니의 양육행동, 나아가서는 영아의 건강 및 복지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과 함께 사회적 지원망을 확대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 자녀를 둔 가정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회적 지원 관련 변인으로 정서적 지원, 도구적 지원, 정보적 지원, ...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 자녀를 둔 가정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회적 지원 관련 변인으로 정서적 지원, 도구적 지원, 정보적 지원, 사교적 지원 변인을 선정하고,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관련 변인으로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우울, 양육스트레스를 선정하여, 각 변인들의 관계를 살펴보고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여 각 변인들 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31개월 미만의 영아와 그의 부모 1,802가구를 연구대상으로 한 한국아동패널 조사사료 3차(2010)년
      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지원인 관련 변인으로 정서적, 도구적, 정보적, 사교적 지원은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인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우울,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가족 외의 친척이나 친구, 사회복지단체 등으로 받는 정서적인 도움과 양육에 대한 정보, 경제적인 지원들은 어머니의 심리적인 건강과 함께 어머니의 양육행동, 나아가서는 영아의 건강 및 복지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과 함께 사회적 지원망을 확대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study, I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nin, comparing the relative influence, analyze, and verified the effect on the variable factors between. For this reason, I"ve used the data of the (2010) year of the third-order panel survey data of Korea children. Results of the study, social support, had an effect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
      In the study, information on parenting support and emotional to receive relatives and friends, 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outside the family, financial support, it was confirmed that a positive impact on psychological health of the mother.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policy measures that can be expanded to support social network, together with the fact that it can affect nursing performance mother, health of infants and welfare.
      번역하기

      In the study, I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nin, comparing the relative influence, analyze, and verified the effect on the variable factors bet...

      In the study, I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nin, comparing the relative influence, analyze, and verified the effect on the variable factors between. For this reason, I"ve used the data of the (2010) year of the third-order panel survey data of Korea children. Results of the study, social support, had an effect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
      In the study, information on parenting support and emotional to receive relatives and friends, 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outside the family, financial support, it was confirmed that a positive impact on psychological health of the mother.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policy measures that can be expanded to support social network, together with the fact that it can affect nursing performance mother, health of infants and welfa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천희영, "한국 영아어머니의 산후우울 변화와 양육 관련 체계변인간의 관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29 (29): 153-167, 2011

      2 조병은, "편모가족의 어머니와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미치는 자원의 영향" 36 (36): 13-21, 1998

      3 임현주, "친지의 사회적지원, 부부특성, 어머니의 양육특성이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3 (33): 91-109, 2012

      4 이재림, "저소득층 여성가장의 가족생활사건, 사회적 지원, 자녀의 지원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 39 (39): 49-63, 2001

      5 김송이, "자녀의 정서성과 남편의 부모역할 지지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대한가정학회 45 (45): 1-11, 2007

      6 최현미,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외적변인에 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7 오정순, "영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양육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2 (2): 51-65, 2012

      8 손수민,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331-357, 2012

      9 김한나,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착과 영아 발달간의 관계 연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매개효과 검증"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307-329, 2012

      10 정미라,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경험하는양육지원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63-189, 2013

      1 천희영, "한국 영아어머니의 산후우울 변화와 양육 관련 체계변인간의 관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29 (29): 153-167, 2011

      2 조병은, "편모가족의 어머니와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미치는 자원의 영향" 36 (36): 13-21, 1998

      3 임현주, "친지의 사회적지원, 부부특성, 어머니의 양육특성이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3 (33): 91-109, 2012

      4 이재림, "저소득층 여성가장의 가족생활사건, 사회적 지원, 자녀의 지원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 39 (39): 49-63, 2001

      5 김송이, "자녀의 정서성과 남편의 부모역할 지지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대한가정학회 45 (45): 1-11, 2007

      6 최현미,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외적변인에 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7 오정순, "영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양육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2 (2): 51-65, 2012

      8 손수민,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331-357, 2012

      9 김한나,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착과 영아 발달간의 관계 연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매개효과 검증"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307-329, 2012

      10 정미라,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경험하는양육지원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63-189, 2013

      11 남도향, "영아 놀이성과 아버지-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2 이유진, "어머니의 우울,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행동문제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2006

      13 김헤라, "어머니 특성과 어머니의 자아인식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263-278, 2010

      14 김기현,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35 (35): 141-150, 1997

      15 임현주, "아버지의 양육참여, 부부특성, 어머니 심리적 특성이 어머니 양육특성에 미치는 변인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83-106, 2012

      16 김숙령, "아동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대한 애착의 임상적 의미"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7 (37): 171-194, 2004

      17 이제영, "산후 우울 성향 어머니와 6-8개월 영아의 상호작용 분석" 한국아동학회 32 (32): 203-220, 2011

      18 장혜림,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0 (40): 33-61, 2013

      19 박성연, "부모-자녀관계: 생태학적 접근" 학지사 1996

      20 김의철, "건강과 삶의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원 및 질병관리를 중신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1 (11): 143-181, 2005

      21 이정은, "가정에서의 어머니-유아간 상호작용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2 金璟媛, "親族關係網 紐帶特性에 관한 硏究: 서울市 主婦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9

      23 신기영, "中年期主婦의 危機感과 社會關係網支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1

      24 Pearlin, L. I., "The stress process" 22 : 337-356, 1981

      25 Belsky, J.,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55 : 83-96, 1981

      26 Abidin, R. R.,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21 (21): 407-412, 1992

      27 Mainieri, T., "The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 Child Development Supplement: User guide supplement for CDS-I"

      28 Cochran, M. M.,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98 : 310-357, 1979

      29 House, J. S., "Social and Health" Acadenic press 1985

      30 Kessler, R. C.,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e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32 (32): 959-976, 2002

      31 Dorsey, S., "Parenting selfefficacy of HIV-infected mothers: Therole of social support" 61 : 295-305, 1999

      32 Respler-Herm an, M., "Parenting beliefs, parental stress, and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21 (21): 190-198, 2012

      33 Baker, P. C., "NLSY child handbook" Center for Human Resource Research. The Ohio State University 1993

      34 Thoits, P. A., "Multiple Ident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Reformation and Test of the Social Isolation Hypothesis" 48 : 174-187, 1983

      35 Leahy-Warren, P, "Maternal parental self-efficacy in the postpartum period" 27 (27): 802-810, 2012

      36 Leahy-W arren, P., "First-time mothers: social support, maternal parental self-efficacy and postnatal depression" 21 (21): 388-397, 2012

      37 Olweus., "Familial and temperamental determinants of aggressive behavior in adolescent boys: A causal analysis" 16 : 664-660, 1980

      38 DSM-Ⅳ.,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Ⅳ"

      39 Thoits, P. A, "Conceptual,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Problems in Studying Social Support as a Buffer against Life Stress" 23 : 145-159, 1982

      40 Rosenberg, M., "Conceiving the self" Basic Books 1986

      41 Hofferth, S. L., "Child Development Supplement to the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1997: User guide"

      42 Goldberg. L. R., "An alternative, description of personality: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59 (59): 1216-1229,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4 2.04 2.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2 1.95 2.428 0.7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