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발달과 구직효능감, 대학생활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745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재학생이 지각한 진로발달과 구직효능감, 대학생활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가 대학교 유형별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교 재학생이 지각한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이 매개하는가? 둘째, 대학교 재학생이 지각한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매개효과는 대학교 유형(4년제 및 2·3년제)별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는가?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에서 실시하는 청년패널조사 2007(Youth Panel 2007; YP2007)의 14차년도(2020년) 추가표본에 참여한 대학교 재학생 1,118명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주어진 경로에 대한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대학교 유형(4년제 및 2·3년제)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이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는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발달 수준이 그들의 대학생활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동시에 구직효능감을 거쳐서 간접적으로도 대학생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대학교 유형에 따라 구조 경로의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진로발달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이르는 경로에서만 4년제 집단보다 2·3년제 집단이 인식한 정적인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적 개입에 있어서 대학교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진로발달적 요인을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 재학생이 지각한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영향과 함께, 그들이 재학 중인 대학교 유형을 고려한 변인의 관계가 지니는 고등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진로발달 수준이 낮은 대학생이 느끼는 구직효능감을 강화시켜주는 교육적 접근이 매우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육적 개입을 논의하는 데 있어 대학교 유형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고등교육 이수자인 대학생을 미래 인재로 양성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진로발달에 초점을 두어야 하고, 그들이 지각한 대학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고등교육적 차원에서 개입을 논의함에 있어서 대학교 유형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세부 연구결과와 구체적인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서는 본문에 상술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재학생이 지각한 진로발달과 구직효능감, 대학생활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가 대학교 유형별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는 것...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재학생이 지각한 진로발달과 구직효능감, 대학생활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가 대학교 유형별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교 재학생이 지각한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이 매개하는가? 둘째, 대학교 재학생이 지각한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매개효과는 대학교 유형(4년제 및 2·3년제)별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는가?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에서 실시하는 청년패널조사 2007(Youth Panel 2007; YP2007)의 14차년도(2020년) 추가표본에 참여한 대학교 재학생 1,118명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주어진 경로에 대한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대학교 유형(4년제 및 2·3년제)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이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는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발달 수준이 그들의 대학생활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동시에 구직효능감을 거쳐서 간접적으로도 대학생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대학교 유형에 따라 구조 경로의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진로발달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이르는 경로에서만 4년제 집단보다 2·3년제 집단이 인식한 정적인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적 개입에 있어서 대학교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진로발달적 요인을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 재학생이 지각한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영향과 함께, 그들이 재학 중인 대학교 유형을 고려한 변인의 관계가 지니는 고등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진로발달 수준이 낮은 대학생이 느끼는 구직효능감을 강화시켜주는 교육적 접근이 매우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육적 개입을 논의하는 데 있어 대학교 유형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고등교육 이수자인 대학생을 미래 인재로 양성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진로발달에 초점을 두어야 하고, 그들이 지각한 대학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고등교육적 차원에서 개입을 논의함에 있어서 대학교 유형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세부 연구결과와 구체적인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서는 본문에 상술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perceived career development, job-search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these relationships differ between groups by institutional types. To accomplish these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ived career development and collge life satisfaction mediated by job-search self-efficacy?; Second, does the mediating effect of job-search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ived career development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differ between group by institutional types (4-year universities and 2- or 3-year colleges)?
      This study utilized data on 1,118 universities and colleges'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14th wave (2020) supplemental sample of the Youth Panel 2007 (YP2007)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KEIS). It was condu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identify mediating effects on the given pathway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to identify difference between group based on institutional types (4-year and 2- or 3-yea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job-search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level of career developmen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has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their college life satisfaction, but at the same time, it has a positive effect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indirectly through job-search self-efficacy; Second, through multiple group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structural path depending on institutional types. These results imply that differentiated career development factors according to institutional types should be considered in educational intervention to increase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educational approach that strengthens job-search self-efficacy by college students with low career development level is highly effective to improve college students'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that institutional types should be considered in discussing educational intervention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development are college life satisfaction. In the process of cultivating college students who have completed higher education as future talents, the focus should be on their career development,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stitutional types in discussing interventions at the higher education level to increase their perceived college life satisfaction. Detailed research results and specific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etailed in the tex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perceived career development, job-search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these relationships differ between groups by 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perceived career development, job-search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these relationships differ between groups by institutional types. To accomplish these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ived career development and collge life satisfaction mediated by job-search self-efficacy?; Second, does the mediating effect of job-search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ived career development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differ between group by institutional types (4-year universities and 2- or 3-year colleges)?
      This study utilized data on 1,118 universities and colleges'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14th wave (2020) supplemental sample of the Youth Panel 2007 (YP2007)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KEIS). It was condu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identify mediating effects on the given pathway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to identify difference between group based on institutional types (4-year and 2- or 3-yea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job-search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level of career developmen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has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their college life satisfaction, but at the same time, it has a positive effect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indirectly through job-search self-efficacy; Second, through multiple group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structural path depending on institutional types. These results imply that differentiated career development factors according to institutional types should be considered in educational intervention to increase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educational approach that strengthens job-search self-efficacy by college students with low career development level is highly effective to improve college students'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that institutional types should be considered in discussing educational intervention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development are college life satisfaction. In the process of cultivating college students who have completed higher education as future talents, the focus should be on their career development,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stitutional types in discussing interventions at the higher education level to increase their perceived college life satisfaction. Detailed research results and specific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etailed in the tex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5
      • 3. 용어의 정의 6
      • 가. 진로발달 6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5
      • 3. 용어의 정의 6
      • 가. 진로발달 6
      • 나. 구직효능감 7
      • 다. 대학생활 만족도 8
      • Ⅱ. 이론적 배경 10
      • 1. 진로발달 10
      • 가. 진로발달의 이해 10
      • 나. 진로발달의 구성요인 13
      • 다. 진로발달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 18
      • 라. 진로교육 정책 23
      • 2. 구직효능감 29
      • 가. 구직효능감의 이해 29
      • 나. 구직효능감의 구성요인 32
      • 다. 구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6
      • 3. 대학생활 만족도 39
      • 가. 대학생활 만족도의 이해 39
      • 나. 대학생활 만족도의 구성요인 41
      • 다. 대학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7
      • 4.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48
      • 가.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 48
      • 나. 진로발달과 구직효능감의 관계 50
      • 다. 구직효능감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 51
      • 라. 진로발달과 구직효능감,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 52
      • Ⅲ. 연구방법 55
      • 1. 분석자료 55
      • 2. 연구대상 57
      • 3. 연구모형 61
      • 4. 측정도구의 구성 63
      • 가. 독립변수: 진로발달 64
      • 나. 종속변수: 대학생활 만족도 65
      • 다. 매개변수: 구직효능감 67
      • 라. 집단변수: 대학교 유형 68
      • 5.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69
      • 가. 측정도구의 타당도 69
      • 나. 측정도구의 신뢰도 71
      • 6. 자료분석방법 73
      • Ⅳ. 연구결과 78
      • 1. 기술통계량 및 상관관계 78
      • 가. 기술통계량 78
      • 나. 집단 간 평균 차이 검증 80
      • 다. 상관관계 분석 86
      • 2. 구조방정식모형 검증 87
      • 가. 측정모형 분석 87
      • 나. 구조모형 분석 90
      • 다. 구조모형의 매개효과 분석 91
      • 3. 다중집단분석 92
      • 가. 형태동일성 검증 92
      • 나. 측정동일성 검증 93
      • 다. 구조동일성 검증 95
      • 라. 대학교 유형에 따른 다중집단분석 검증 96
      • Ⅴ. 결론 및 제언 100
      • 1. 요약 100
      • 2. 논의 및 결론 103
      • 가. 논의 103
      • 나. 결론 105
      • 3. 제언 111
      • 참고문헌 115
      • 부록 148
      • Abstract 1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