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거주 탈북배경청소년의 다양성에 따른지원정책의 분석과 함의 = Diversity of Youths with a Background of Defection from North Korea: Assistance Policy Analysis and Implic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022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diversity of youths that have defected from North Korea (NK) and analyzes current settlement assistance policies and programs available to them. The youth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children born in NK, unaccompanied children born in NK, children born in the 3rd countries such as China, and children born in South Korea. Legal protections are differently applied for the children according to their place of birth. The four types of youths are entitled as ‘youths with a background of defection from North Korea(NK)’ and analyzes settlement assistance policies and programs in order to suggest more effective assistance for them. This study analyzed their entrance routes, official paths of entrance to the resettlement process, related laws and policies to their resettlement assistance,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of civil and social assistance by implementing several research designs such as in-depth interviews, focused-group interviews (FGI), and need assessment with the youths, their parent(s), and professional practitioners. Based on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policy and research implication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diversity of youths that have defected from North Korea (NK) and analyzes current settlement assistance policies and programs available to them. The youth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children born in NK, unaccompanied ...

      This study examines the diversity of youths that have defected from North Korea (NK) and analyzes current settlement assistance policies and programs available to them. The youth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children born in NK, unaccompanied children born in NK, children born in the 3rd countries such as China, and children born in South Korea. Legal protections are differently applied for the children according to their place of birth. The four types of youths are entitled as ‘youths with a background of defection from North Korea(NK)’ and analyzes settlement assistance policies and programs in order to suggest more effective assistance for them. This study analyzed their entrance routes, official paths of entrance to the resettlement process, related laws and policies to their resettlement assistance,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of civil and social assistance by implementing several research designs such as in-depth interviews, focused-group interviews (FGI), and need assessment with the youths, their parent(s), and professional practitioners. Based on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policy and research implica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태주, "학교 밖 탈북청소년 이야기 : 학교 밖 탈북청소년 심층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2 통일부, "통일백서 2014" 2014

      3 통일부, "통일백서 2013" 2013

      4 교육부 학생복지정책과, "탈북학생통계"

      5 이기영,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 부적응 문제에 관한 유형분석" 한국청소년개발원 2001

      6 한만길, "탈북청소년의 교육실태 분석 및 지원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9

      7 남북하나재단, "탈북청소년 실태조사 2012" 2012

      8 맹영임, "탈북청소년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9 정진경, "탈북 청소년의 남한학교 적응" 평화문제연구소 42 (42): 209-239, 2004

      10 정향진, "탈북 청소년들의 감정성과 남북한의 문화심리적 차이" 비교문화연구소 11 (11): 81-111, 2005

      1 이태주, "학교 밖 탈북청소년 이야기 : 학교 밖 탈북청소년 심층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2 통일부, "통일백서 2014" 2014

      3 통일부, "통일백서 2013" 2013

      4 교육부 학생복지정책과, "탈북학생통계"

      5 이기영,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 부적응 문제에 관한 유형분석" 한국청소년개발원 2001

      6 한만길, "탈북청소년의 교육실태 분석 및 지원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9

      7 남북하나재단, "탈북청소년 실태조사 2012" 2012

      8 맹영임, "탈북청소년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9 정진경, "탈북 청소년의 남한학교 적응" 평화문제연구소 42 (42): 209-239, 2004

      10 정향진, "탈북 청소년들의 감정성과 남북한의 문화심리적 차이" 비교문화연구소 11 (11): 81-111, 2005

      11 박정서, "탈북 청소년과 남한 청소년의 정치적 태도 비교 연구 : 정치효능감과 정치신뢰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12 이정우, "탈북 청소년과 남한 청소년의 사회의식 비교 연구 : 분배정의와 평등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3 최경자,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와 무연고 탈북청소년의 학교적응 실태"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1

      14 신현옥,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기초조사 연구" 여성가족부 무지개청소년센터 2011

      15 김윤나, "시민청소년관점에서의 북한이탈청소년 지원정책 및 서비스 방향" 한국청소년학회 17 (17): 27-46, 2010

      16 최연주, "새터민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적응 실태 : 한겨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북한대학원대학교 2009

      17 심원, "새터민 청소년들의 정체성 교섭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8 김미숙, "북한이탈학생의 학교적응 실태 및 지원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5

      19 김연희, "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191-215, 2009

      20 박윤숙,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특성과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1 조명숙,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 학력인가 후 학생의 변화 연구 : A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2 "북한이탈주민정책- 입국현황-연령별 현황"

      23 김윤나, "북한이탈주민의 자녀교육 지원에 대한 요구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6 (6): 1-21, 2013

      24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북한이탈주민 실태조사 2012" 2012

      25 변미희, "북한이탈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북한이탈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2 (12): 127-150, 2005

      26 오명도, "북한이탈 청소년들을 위한 도시형 대안학교 설립방안에 대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8

      27 백혜정, "북한이탈 청소년 종합대책 연구Ⅰ: 남한사회적응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개발원 2006

      28 신현옥, "무연고 탈북청소년 현황과 지원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6-30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북아연구소 ->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2009-06-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통일문제연구소 -> 동북아연구소
      영문명 : The Institute of National Unification -> The Institute for Northeast Asia Research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5 0.60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