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삶의 질 관계 연구 -학교생활만족도와 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Mediating effects of school Life satisfaction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s on the 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university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413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기를 벗어나 성인기로 향하는 출발점에서 심리적·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대학생들의 생활적응에 도움을 주고자,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만족도와 관계만족도�...

      본 연구는 청소년기를 벗어나 성인기로 향하는 출발점에서 심리적·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대학생들의 생활적응에 도움을 주고자,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만족도와 관계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대학생 6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PASW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생활만족도는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줌에 있어 매개적 역할을 한다. 둘째, 관계만족도는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줌에 있어서 매개적 역할을 한다. 따라서 대학생의 주관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 그리고 관계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self-efficacy, school life satisfaction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s of university student as important predictors of 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self-efficacy, school life satisfaction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s of university student as important predictors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examined the dynamics of the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ere 697 university students: 314 males and 383 females. All respondents submitted their answers on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s that used PASW 18.0, and AMOS 18.0, a statistical program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o estimate the hypothes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School life satisfactions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2) Relationship satisfactions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self-efficacy, school life satisfaction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subjective quality of lif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행복: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과 학업성취의 영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399-429, 2009

      2 박영신, "한국 성인 남녀가 행복에 이르는 길: 직업 성취, 자녀 성공, 정서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의 영향" 14 (14): 467-495, 2009

      3 김의철,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28, 2006

      4 이보람, "학령기 아동의 주관적인 삶의 질 양상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4 (24): 129-152, 2011

      5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11 (11): 1-19, 1997

      6 서현숙, "축제가 지역주민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연천전곡리 구석기축제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7 추미애,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5 (15): 271-288, 2006

      8 박영신, "초등학생의 생활만족도 형성요인에 대한 구조적 관계분석: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5 (5): 57-76, 1999

      9 김미숙, "초등학생의 발표불안과 자기 효능감 및 학교생활 적응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0 박영신, "초 중 고등학생의 생활만족도 차이와 형성 및 영향" 5 (5): 94-118, 2000

      1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행복: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과 학업성취의 영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399-429, 2009

      2 박영신, "한국 성인 남녀가 행복에 이르는 길: 직업 성취, 자녀 성공, 정서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의 영향" 14 (14): 467-495, 2009

      3 김의철,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28, 2006

      4 이보람, "학령기 아동의 주관적인 삶의 질 양상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4 (24): 129-152, 2011

      5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11 (11): 1-19, 1997

      6 서현숙, "축제가 지역주민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연천전곡리 구석기축제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7 추미애,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5 (15): 271-288, 2006

      8 박영신, "초등학생의 생활만족도 형성요인에 대한 구조적 관계분석: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5 (5): 57-76, 1999

      9 김미숙, "초등학생의 발표불안과 자기 효능감 및 학교생활 적응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0 박영신, "초 중 고등학생의 생활만족도 차이와 형성 및 영향" 5 (5): 94-118, 2000

      11 조명한, "청소년의 삶의 질" 16 (16): 51-94, 1994

      12 홍성례, "청년기 남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9 (29): 71-87, 2011

      13 이명신, "주관적 삶의 질에 나타난 성차의 원인" 2 (2): 89-101, 1997

      14 홍성례, "자아존중감과 성역할태도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청년기 남녀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37-52, 2006

      15 김아영, "자기효능감의 측정" 51-64, 1996

      16 장우귀,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대학생을 중심으로" 502-503, 2007

      17 김성천, "역할과부하 및 일-가정 갈등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시간 통제감을 매개변인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5 (15): 35-49, 2010

      18 정태연, "아동과 어른 그리고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표상: 성격적, 관계적 및 과업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8 (8): 4-76, 2002

      19 윤가현,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12

      20 박영신, "세대 차이와 갈등은 삶의 질을 낮추는가? 자기효능감의 영향" 한국심리학회 29 (29): 533-559, 2010

      21 한혜영,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부부 조망수용과 갈등해결 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25 (25): 935-952, 2006

      22 한성열, "삶의 질과 내재적 동기의 실현" 2 (2): 95-111, 1995

      23 이은우,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5

      24 이시은, "대학생의 부모-자녀 결합 형태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또래애착의 차이"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481-500, 2009

      25 김효정, "대학생의 가족기능과 자기효능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16 (16): 43-50, 2010

      26 이명신, "근로자의 주관적 삶의 질과 그 영향요인"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8

      27 Campbell. A., "The sense of well-being" 31 : 117-124, 1981

      28 Curran,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 to non-normall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 : 16-29, 1996

      29 Szalai, A., "The meaning of comparative research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quality of life: Comparative studies" SAGE Publication 7-21, 1980

      30 SeanPTinker, "Teachers' Work Hours, Work-Family Conflict and Health: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Control and Organisational Support" 한국건강심리학회 8 (8): 663-678, 2003

      31 Campbell, A.,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31 : 117-124, 1976

      32 Silverthom, N. A., "Social desirability effects on measures of adjustment to university, independence from parents, self-efficacy" 51 : 356-363, 1995

      33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34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W. H. Freeman & Company 1997

      35 Litt, M. D., "Self-efficacy and perceived control: Cognitive mediators of pain tolerance" 54 (54): 149-160, 1988

      36 Chartrand, J. M., "Predicting academic adjustment and career indecision: A comparison of self-efficacy interest congruence and commitment" 33 : 293-300, 1992

      37 Berndt, T. J., "Obtaining support from friends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In Children's social net works and social support" John Wiley 308-331, 1989

      38 Lecci, L., "Life regrets and current goals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66 : 731-741, 1994

      39 Near, J. P., "Job satisfaction and nonwork satisfaction as components of life satisfaction" 13 (13): 126-144, 1983

      40 Turner, S., "Enhancing resiliency in girls and boys: A case for gender specific adolescent prevention programming" 16 (16): 25-38, 1995

      41 Hirose, E. I., "Effects of self-efficacy on adjustment to college" 41 (41): 163-172, 1999

      42 김기옥, "ESM을 통해 본 대학생의 주관적 삶의 질 - 정서, 인지적 효율성, 만족도의 측면에서 -" 대한가정학회 43 (43): 203-229, 2005

      43 Youniss, J., "Adolescent relations with mother, father, and friend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5

      44 배병렬,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원리와 실제-" 도서출판 청람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51 2.51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4 2.89 3.162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