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북한이탈대학생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93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북한이탈대학생의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북한이탈대학생의 한국 언어문화에 대한 리터러시는 어떠한가? 둘째,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북한이탈대학생의 현황과 적응 과정의 어려움을 선행연구를 통해 파악하고, 언어문화와 리터러시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이어 북한이탈대학생들의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경험을 비판적 이해, 소통적 참여, 성찰적 실천의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비판적 이해의 관점에서 ‘같은 언어, 다른 언어문화’, 소통적 참여의 관점에서 ‘소통의 장벽이 되는 이중언어문화’, 성찰적 실천의 관점에서 ‘사회 구성원으로서 인정받기 위한 노력’이라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시민교육의 차원에서 다수 한국 대학생들에게 북한의 언어문화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는 상호언어문화 이해교육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북한이탈대학생의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북한이탈대학생의 한국 언어문화에 대한 리터러시는 어...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북한이탈대학생의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북한이탈대학생의 한국 언어문화에 대한 리터러시는 어떠한가? 둘째,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북한이탈대학생의 현황과 적응 과정의 어려움을 선행연구를 통해 파악하고, 언어문화와 리터러시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이어 북한이탈대학생들의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경험을 비판적 이해, 소통적 참여, 성찰적 실천의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비판적 이해의 관점에서 ‘같은 언어, 다른 언어문화’, 소통적 참여의 관점에서 ‘소통의 장벽이 되는 이중언어문화’, 성찰적 실천의 관점에서 ‘사회 구성원으로서 인정받기 위한 노력’이라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시민교육의 차원에서 다수 한국 대학생들에게 북한의 언어문화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는 상호언어문화 이해교육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literacy that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experience. The first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How is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literacy to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nd the second is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literacy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performed by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In solving these research question, previous studies was examined. Through the exam we acknowledge the better grasp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current situation and their difficulties that they face in their assimilation process. The other hand, we reviewed the concept of the literacy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By analyzing the significance of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Korean language and culture literacy, this study give an indication to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mutual language culture and the perspective of educating citizens, that enables the for many Korean university students to understand North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background.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literacy that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experience. The first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How is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literacy to the Ko...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literacy that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experience. The first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How is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literacy to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nd the second is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literacy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performed by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In solving these research question, previous studies was examined. Through the exam we acknowledge the better grasp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current situation and their difficulties that they face in their assimilation process. The other hand, we reviewed the concept of the literacy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By analyzing the significance of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Korean language and culture literacy, this study give an indication to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mutual language culture and the perspective of educating citizens, that enables the for many Korean university students to understand North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backgrou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북한이탈대학생과 언어문화 리터러시
      • 2.1. 북한이탈대학생과 언어문화
      • 2.2. 리터러시와 언어문화 리터러시
      • Abstract
      • 1. 서론
      • 2. 북한이탈대학생과 언어문화 리터러시
      • 2.1. 북한이탈대학생과 언어문화
      • 2.2. 리터러시와 언어문화 리터러시
      • 3. 연구설계
      • 3.1. 연구개요 및 연구참여자
      • 3.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4.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 경험의 의미
      • 4.1. 같은 언어, 다른 언어문화
      • 4.2. 소통의 장벽이 되는 이중언어문화
      • 4.3. 사회 구성원으로서 인정받기 위한 노력
      • 5.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균, "한의 영토교육과 한민족의 독도 영유권," 9 : 44-73, 2015

      2 민현식, "한국어의 변화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접근"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2 (12): 97-124, 2015

      3 김선영, "한국어 관용표현의 화용적 특징 연구 - 변이 양상을 중심으로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1 (11): 23-46, 2014

      4 "통일부 홈페이지"

      5 김명선, "탈북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과정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6 최명희, "탈북대학생의 남한대학생 교우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39-260, 2014

      7 오원환, "탈북 청년의 정체성 연구 : 탈북에서 탈남까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8 Michel Serres, "정체성 나는누구인가" 알마 2013

      9 이기일, "영어・한국어 이중언어자와 한국어 단일어 사용자 청소년들의 언어, 사회/문화정체성에 대한 연구" 교려대학교 2014

      10 신혜진, "어휘 학습 전략이 북한이탈주민의 외래어 습득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의미학회 43 : 33-57, 2014

      1 이상균, "한의 영토교육과 한민족의 독도 영유권," 9 : 44-73, 2015

      2 민현식, "한국어의 변화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접근"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2 (12): 97-124, 2015

      3 김선영, "한국어 관용표현의 화용적 특징 연구 - 변이 양상을 중심으로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1 (11): 23-46, 2014

      4 "통일부 홈페이지"

      5 김명선, "탈북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과정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6 최명희, "탈북대학생의 남한대학생 교우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39-260, 2014

      7 오원환, "탈북 청년의 정체성 연구 : 탈북에서 탈남까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8 Michel Serres, "정체성 나는누구인가" 알마 2013

      9 이기일, "영어・한국어 이중언어자와 한국어 단일어 사용자 청소년들의 언어, 사회/문화정체성에 대한 연구" 교려대학교 2014

      10 신혜진, "어휘 학습 전략이 북한이탈주민의 외래어 습득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의미학회 43 : 33-57, 2014

      11 이준영, "상호문화성에 기반 한 문학 독서교육"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2 (12): 183-220, 2015

      12 서경원, "분단 70년 문화・생활 이질화심화 南사전에 있는 말 52%는北에 없어"

      13 임수경, "북한이탈청소년 정착지원을 위한 정책 제언"

      14 권순희,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와 교육 지원 방향" 34 : 91-123, 2014

      15 이현나, "북한이탈 청소년의 의사소통을 위한 유행어 사용실태 및 사용특성 연구- 유행어 사용을 통해 본 북한이탈 청소년의 언어 적응 양상 -" 한국언어치료학회 22 (22): 271-302, 2013

      16 고강섭, "북한이탈 대학생의 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 : 수도권지역 북한이탈 대학생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17 박서연, "북한 이주 청년들의 진로 모색 과정을 통해 본 생애 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18 박인기, "문화와 문식성의 관계 맺기" 한국문화사 2008

      19 김정민, "대전지역 북한이탈주민들의 대학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14

      20 서혁, "다문화 시대의 국어교육과 다문화 문식성 교육"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8) : 1-20, 2011

      21 Banks, J. A., "Teaching for Multicultual Literacy" 2003

      22 Van Manen, "Researching Lived Experiences.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The Althouse Press 1990

      23 Erikson, E. H., "Identity : Youth in crisis" Norton 1968

      24 Lambert, W., "Education of immigrant children"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1975

      25 교육부, "2015년 탈북학생 교육지원 계획발표" 교육부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07 1.737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