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으로 발전할 소비 집단인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소비형태를 예측하고 소비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생활양식 유형에 따라 저가 브랜드 화장품의 구매형태와 뷰티관리 행동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26470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09-323(15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적으로 발전할 소비 집단인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소비형태를 예측하고 소비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생활양식 유형에 따라 저가 브랜드 화장품의 구매형태와 뷰티관리 행동을 ...
사회적으로 발전할 소비 집단인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소비형태를 예측하고 소비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생활양식 유형에 따라 저가 브랜드 화장품의 구매형태와 뷰티관리 행동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화장품 마케팅 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소비자 행동유형과 미래 뷰티산업을 예측 할 수 있는 실증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각 변인에 대해 5점 Likert Scale을 사용한 각 측정 문항 전체 신뢰도 계수는 0.800 이상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성실한 응답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측정문항의 요인 분석 및 유형에 따른 구매행동 및 뷰티관리 행동들의 각 차원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 교차분석 및 χ²-test하였다.
결과 정리하면 고등학생들의 저가 브랜드 화장품 구매행동 분석결과 저가 화장품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인지되었고, 이는 저가 화장품의 성장 지속성을 시사하였다. 생활양식 집단 유형은 ‘계획적/자기관리형’, ‘외모무관심형’ 및 ‘비합리적/외모관심형’으로 나눠지고 각 집단 유형에 따라 구매유형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났다(p<.05). 생활양식 유형에 따른 뷰티관리 행동 요인은 ‘계획적/자기관리형’은 헤어관리와 손관리, ‘비합리적/외모관심형’은 네일관리에서 정(+)의 관계가 나타났지만 ‘외모무관심형’은 측정된 모든 뷰티관리 행동 요인에서 부(-)의 관계가 나타난다(p<.001). 결론적으로 생활양식 유형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이 저가 화장품 브랜드의 인지와 구매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자기관리가 철저하고 외모에 관심이 높을수록 뷰티관리행동에 대한 인식이 높음을 시사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earch made a study for the buying behavior on cosmetics of low-price brand and the beauty care behavior aimed at high school students who develop to be the members of consumer group in a society according to the type of lifestyle generally affe...
The research made a study for the buying behavior on cosmetics of low-price brand and the beauty care behavior aimed at high school students who develop to be the members of consumer group in a society according to the type of lifestyle generally affecting consumption patterns. This study has the objective to provide an empirical basis that can predict future consumer behaviors and beauty cosmetics industry needed to establish a marketing plan.
It was studied using a questionnaire of reliability coefficients 0.800 or higher for each measurement items used a five point Likert Scale factors for each gender targets in high school students.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variance analysis, cross correlation analysis, and χ² -test were conducted for the research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incere responding subjects, the analysis of factor and to examine those factors through the buying behavior and the beauty care behavior.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low-cost cosmetics br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the brand image was recognized as be positive, suggesting that growth persistence of low-cost cosmetics.
Types of lifestyle groups were divided into "planned/self-managed", "appearance indifference", "appearance interest" and the purchase typ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each group(p <.05). The type of "planned/self-managed" indicated the positive(+) in hair-care and hand care, and "appearance interest" indicated the positive(+) in nail-care, however the type of "appearance indifference" showed the negative(-) in all measured factors for beauty care(p <.001).
In conclusion, the personalized marketing according to the type of lifestyle is considered to be able to increase the awareness and purchasing power of low-cost cosmetics brands. In addition, it would be suggested that the higher interest in appearance and self management, the higher awareness of the beauty self-car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금주, "초저가화장품의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한화장품학회 31 (31): 2005
2 신규희, "초저가 화장품의 브랜드 친숙도와 광고모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6 (6): 2005
3 신경선, "초저가 화장품에 대한 여고생의 사용실태 및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 대구지역 실업계 여고생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2006
4 이유선, "초저가 화장품 브랜드의 지각된 가격과 매장이미지, 지각된 품질이 가치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5
5 오은영, "초저가 브랜드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2006
6 설현진,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따른 외모만족도와 뷰티행동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2010
7 김은경, "청소년의 생활양식, 주거만족도, 주거선호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2009
8 문숙재, "청소년의 생활양식 유형분석 : 서울의고교생들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22 (22): 1984
9 이명진, "청소년의 대중매체 뷰티정보이용과 외모관심 및 뷰티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2014
10 김희정, "청소년 소비자의 생활양식과 합리적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 의류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001
1 최금주, "초저가화장품의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한화장품학회 31 (31): 2005
2 신규희, "초저가 화장품의 브랜드 친숙도와 광고모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6 (6): 2005
3 신경선, "초저가 화장품에 대한 여고생의 사용실태 및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 대구지역 실업계 여고생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2006
4 이유선, "초저가 화장품 브랜드의 지각된 가격과 매장이미지, 지각된 품질이 가치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5
5 오은영, "초저가 브랜드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2006
6 설현진,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따른 외모만족도와 뷰티행동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2010
7 김은경, "청소년의 생활양식, 주거만족도, 주거선호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2009
8 문숙재, "청소년의 생활양식 유형분석 : 서울의고교생들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22 (22): 1984
9 이명진, "청소년의 대중매체 뷰티정보이용과 외모관심 및 뷰티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2014
10 김희정, "청소년 소비자의 생활양식과 합리적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 의류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001
11 김은영, "여대생의 해외 유명브랜드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패션 소품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12 오경희, "여대생의 중저가 브랜드 화장품의 재구매 의사결정 요인" 고신대학교 2013
13 하주연, "여고생의 감각추구성향과 신체이미지에 따른 의복행동 및 헤어스타일 태도" 한국의류학회 29 (29): 715-726, 2005
14 김현희, "여고생 화장행동과 화장품 구매불안간의 관계" 대구카톨릭대학교 2001
15 류세자, "소비지 유형별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와 충성도와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저가 화장품 시장을 중심으로" 복식문화학회 16 (16): 2008
16 김민정, "생활양식과 구매유형에 관한 연구" 8 (8): 2001
17 송지성, "브랜드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위한 화장품 브랜드 라벨의 정보시각화 디자인연구 -국내 중견사화장품브랜드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 (17): 342-355, 2011
18 홍수남, "미혼남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이 뷰티행동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439-447, 2013
19 강남순, "대학생의 신체만족도가 외모관리행동 및 미용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주식회사 한국피부임상과학연구소 9 (9): 1-18, 2011
20 한정아,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선호 스타일 선택과 패션 브랜드 수용의 관련성"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4) : 381-391, 2012
21 이은희, "고등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외모에 대한 태도가 의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2 (12): 237-251, 2003
22 Berndt, Thoma, "Friendship Quality and Social Development" 11 : 2002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 디자인 관점에서 바라본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한 연구
국가기술자격증 관심도가 활용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5 | 0.732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