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대학생과 산업체 관계자의 직업기초능력 필요도 차이 비교 = Comparing Differences in the Necessity for Key Competencies Between Disabled College Students and the Industr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이 연구는 장애대학생과 산업체 관계자가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직업기초능력을 알아보고 집단 간 필요도 차이를 비교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NCS 10가지 직업기초능력과 하위능력을 중심으로 필요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경기도 전문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장애학생 135명과 수도권 산업체 관계자 117명이 대상자로 참여하였다. 집단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대학생은 가장 필요한 직업기초능력으로 의사소통능력과 정보능력이라고 하였고, 산업체 관계자는 의사소통능력과 자기개발능력이라고 응답하였다. 장애대학생과 산업체 관계자는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필요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영역은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 직업윤리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장애대학생이 졸업 후 직업을 선택하고 만족한 직장생활을 할 수 있도록 산업체 관계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교육과정에 관련 직업기초능력을 포함하는 개편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이 연구는 장애대학생과 산업체 관계자가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직업기초능력을 알아보고 집단 간 필요도 차이를 비교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NCS 10가지 직업기초능력과 하위...

      연구목적: 이 연구는 장애대학생과 산업체 관계자가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직업기초능력을 알아보고 집단 간 필요도 차이를 비교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NCS 10가지 직업기초능력과 하위능력을 중심으로 필요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경기도 전문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장애학생 135명과 수도권 산업체 관계자 117명이 대상자로 참여하였다. 집단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대학생은 가장 필요한 직업기초능력으로 의사소통능력과 정보능력이라고 하였고, 산업체 관계자는 의사소통능력과 자기개발능력이라고 응답하였다. 장애대학생과 산업체 관계자는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필요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영역은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 직업윤리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장애대학생이 졸업 후 직업을 선택하고 만족한 직장생활을 할 수 있도록 산업체 관계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교육과정에 관련 직업기초능력을 포함하는 개편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s: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types of key competencies which disabled college students and industry deem most necessary,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ir needs for those competencies. To do so, the study focused on the ten key competencies outlined in the NCS to compare the degree of perceived necessities. Method: 135 disabled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and 117 employees from businesse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for each group and a t-test was carried out for independent samples. Results: Disabled college students identified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as the most necessary core competency while industry insiders chose communication and the ability for self-development as the most necessary factors. The necessity for key competencies between disabled college students and industry insiders did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sub-categories, competencies in problem-solving, self-develop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formation processing, technical capabilities, organization comprehension, and professional ethics all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This research proposes the need to analyze industry needs and to reform curriculums in order to incorporate required key competencies in the education process to help disabled college students choose jobs upon graduation and lead fulfilling professional careers.
      번역하기

      Purposes: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types of key competencies which disabled college students and industry deem most necessary,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ir needs for those competencies. To do so, the study focused on the ten key c...

      Purposes: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types of key competencies which disabled college students and industry deem most necessary,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ir needs for those competencies. To do so, the study focused on the ten key competencies outlined in the NCS to compare the degree of perceived necessities. Method: 135 disabled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and 117 employees from businesse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for each group and a t-test was carried out for independent samples. Results: Disabled college students identified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as the most necessary core competency while industry insiders chose communication and the ability for self-development as the most necessary factors. The necessity for key competencies between disabled college students and industry insiders did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sub-categories, competencies in problem-solving, self-develop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formation processing, technical capabilities, organization comprehension, and professional ethics all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This research proposes the need to analyze industry needs and to reform curriculums in order to incorporate required key competencies in the education process to help disabled college students choose jobs upon graduation and lead fulfilling professional care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주호, "한국폴리텍대학 졸업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산업체의 교육 요구도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83-105, 2013

      2 박원경, "청각장애학생의 전환교육 관련 요인 및 특성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3 옥정달, "청각장애인의 직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367-382, 2007

      4 조주현, "직업재활전문가와 고용주의 장애인고용 인식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5 유애란, "지적장애 학생의 사서보조 직무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연구"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8 (8): 97-125, 2015

      6 김선연, "지방 대학생 직업기초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인력개발학회 15 (15): 71-100, 2013

      7 김호진, "제2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09)"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0

      8 박은영, "정신지체인 고용 준거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Ⅰ: 문헌고찰"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215-241, 2006

      9 이병화, "전문대학 졸업생 역량 분석을 통한 전문대학 교육과정 방향성 제고"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5448-5454, 2013

      10 김선희, "전문대학 재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증진을 위한 운영 방안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19 (19): 57-77, 2012

      1 박주호, "한국폴리텍대학 졸업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산업체의 교육 요구도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83-105, 2013

      2 박원경, "청각장애학생의 전환교육 관련 요인 및 특성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3 옥정달, "청각장애인의 직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367-382, 2007

      4 조주현, "직업재활전문가와 고용주의 장애인고용 인식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5 유애란, "지적장애 학생의 사서보조 직무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연구"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8 (8): 97-125, 2015

      6 김선연, "지방 대학생 직업기초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인력개발학회 15 (15): 71-100, 2013

      7 김호진, "제2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09)"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0

      8 박은영, "정신지체인 고용 준거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Ⅰ: 문헌고찰"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215-241, 2006

      9 이병화, "전문대학 졸업생 역량 분석을 통한 전문대학 교육과정 방향성 제고"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5448-5454, 2013

      10 김선희, "전문대학 재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증진을 위한 운영 방안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19 (19): 57-77, 2012

      11 이숙향, "장애학생을 위한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의 효과 및 적용방안 고찰" 특수교육연구소 12 (12): 153-178, 2013

      12 양종국, "장애전문대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분석에 따른 증진방안 모색 - 한국재활복지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4 (24): 41-57, 2011

      13 김삼섭, "장애인의 직업적 성공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3 : 133-151, 1997

      14 이운식, "장애인근로자의 고용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21 (21): 1-22, 2011

      15 황수경, "장애인-비장애인의 취업률 격차와 장애효과" 3 (3): 141-169, 2003

      16 하윤영, "장애인 고용유지에 대한 산업체 구성원과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5 (25): 105-129, 2015

      17 나승일, "우리나라 산업체 종사자에게 요구되는 기초직업능력 영역 설정"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6 (36): 139-158, 2004

      18 내일신문, "신입사원 영어보다 협동심 중요. 2007년 5월 7일자"

      19 박동열, "수원여자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개발 및 표준화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20 백종남, "발달장애학생 기초작업기술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직업기초능력의 도출, 우선순위 및 미래유용성-준비도 매트릭스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125-146, 2015

      21 박동열,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직업기초능력 모형 개발"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349-385, 2010

      22 박동열,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유형 진단 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225-245, 2006

      23 진미석,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461-486, 2011

      24 진미석,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25 홍아정, "대학생 NCS 직업기초능력 특성 및 유형 탐색" 한국교육학회 53 (53): 389-417, 2015

      26 이석열, "대학 행정직원의 직업기초능력 요인에 관한 연구" 교육종합연구소 7 (7): 73-96, 2009

      27 한국산업인력공단, "기초직업능력프로그램 교수자용 매뉴얼"

      28 나승일, "기초직업능력표준 제도화 방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161-188, 2008

      29 류지은, "국내 직업기초능력 연구동향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8 (48): 53-81, 2016

      30 조정윤,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사업 Ⅳ"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31 고용노동부․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매뉴얼"

      32 "국가직무능력표준"

      33 한국복지대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개편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보고서" 2016

      34 이윤우, "고용변인에 따른 지적장애학생의 기초직업능력 구성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 한국직업재활학회 24 (24): 109-136, 2014

      35 이상로, "계층 분석적 의사결정(AHP) 기법을 활용한 발달장애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상대적 중요도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51 (51): 137-159, 2016

      36 양영근, "‌NCS 직업기초능력에 기반한 교양교과목 개편방향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45-68, 2014

      37 Heaton, E. M., "Outcomes in assistive technology" 19 : 233-240, 1995

      38 Rothschild, N., "Outcome measures-tools and processes in AAC: What’s driving use?" 19 (19): 257-267, 1995

      39 이진욱, "NCS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4년제 대학생들의 요구: IPA를 통한 사례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75-96, 2016

      40 이화진, "NCS 기반 비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직업기초능력 중요도 분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9 (89): 119-154, 2015

      41 교육부, "NCS 기반 교육과정 가이드라인: 개발, 운영 및 평가, 질관리" 2015

      42 Sheftel, A., "Motivation enhancement in career intervention for youth with disabilities" 7 (7): 208-224, 2014

      43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44 Gribride, D., "Identif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work environments and employers open to hiring and accommodating people with disabilities" 46 (46): 130-137, 2003

      45 Sears, S. H., "Examining career readiness and positive affect in a group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A pilot study" 27 (27): 227-244, 2014

      46 Bryen, N. D., "Augmentative communication and empowerment support: A look at outcomes" 11 : 79-88, 1995

      47 박두진, "AHP 기법을 활용한 항만물류기업의 직업기초능력 우선순위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 30 (30): 159-173, 2014

      48 진미석, "2009년도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 체제 구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영문명 :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8-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Disability & employment -> Disability & Employment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장애인고용 -> 장애와 고용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7 1.77 1.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3 1.85 2.252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