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 커뮤니티연극연구 : 경기도 5개 도시의 예술가주도형 커뮤니티연극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86725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경기대학교 대학원 , 공연예술학과 , 2019. 8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 Study on Local Community Theatre - Focusing on Artist: Driven Community Theatre in 5 Cities of Gyeonggi Province

      • 형태사항

        vii, 129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손정우
        참고문헌 : p. 111-119

      • UCI식별코드

        I804:41002-000000054550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시대 연극의 사회적 역할과 흐름에 있어 지역 커뮤니티연극은 주요한 기점에 위치하고 있다. 후기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를 지나 새로운 극 장르의 가열한 실험과 변화 속에 과연 연극은 ...

      동시대 연극의 사회적 역할과 흐름에 있어 지역 커뮤니티연극은 주요한 기점에 위치하고 있다. 후기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를 지나 새로운 극 장르의 가열한 실험과 변화 속에 과연 연극은 어떻게 우리의 삶 속에서 기능하는가? 무대 표현양식에 있어 재현과 비재현의 혼합, 영상과 무대의 일치, 춤과 연극의 혼합 등 동시대 극예술은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며 장르 간 혼합과 융합의 흐름 속에 있다. 그러한 과정에서 예술가들이 예술의 공공성에 관하여 고민하게 되고 공공성과 예술성의 조화와 균형을 위한 시도들이 있어 왔다. 그 중에서도 포스트드라마적 요소로서 뉴다큐멘터리 연극, 버바텀 연극, 장소특정형 연극등은 그 표현에 있어 ‘자기이야기 하기’, ‘자기 표현’, ‘수행자로서의 배우’등의 요소로 다양한 장르의 세분화와 전문성이 두드러지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예술의 생활화, 생활의 예술화라는 모토 아래 예술가는 보다 현실적이고 사회기능적인 역할을 제안 받고 있다. 이러한 흐름과 경향에 따라 지역 커뮤니티연극은 발아하고 생성하고 성장하고 있다. 그러한 조건에는 연극성, 공간성, 지속적인 기업의 후원, 지역민 예술가, 그리고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등의 조건이 필수적이다.
      지역커뮤니티연극에 대한 탐색과 발전방향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연구자는 경기도의 5개 지역을 중심으로 예술가주도형의 지역 커뮤니티연극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경기도내 위치하고 있는 가평군, 안산시, 광주시, 화성시, 의정부시의 각 도시들은 주요 예술가 중심으로 작게는 커뮤니티연극으로 시작, 주도적으로 연극기반도시를 형성하거나 새로운 연극공간을 창출하고 여전히 지역민들과 함께 커뮤니티연극의 지속성을 위해 고민하고 실험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커뮤니티연극의 배경과 개념을 고찰함에 앞서 커뮤니티아트, 커뮤니티미술, 공공미술의 형성배경과 개념에 관하여 알아보고 국내와 국외의 커뮤니티연극 선행사례를 살펴보았다. 국내의 경우, 국민대학교와 성북동 북정마을에서 이루어졌던 <월월(越축-Wall)축제>, 영등포구 문래동의 예술가와 주민들과의 협업으로 이루어졌던 <경계없는예술프로젝트>, 그리고 마포문화재단의 <꿈의 연극>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마을사람들과 지역사회의 학교 및 관단체가 서로 협업하여 연극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예술가, 지역민, 수행자들 모두 서로의 삶에 영향을 주고 더불어 마을의 정체성을 탐색하는 사례로 의미있다 하겠다.
      해외 사례의 경우 스코틀랜드의 7:84극단, 일본의 토가산방, 그리고 미국 콜롬비아대학 부설연구소 커뮤니티예술 파트너쉽센터의 지역 커뮤니티연극관련 프로젝트를 살펴보았다. 7:84극단의 경우, 주류 연극 밖에서 대안문화가 형성될 수 있는 적합한 장소를 찾아 노동자들의 공간, 마을회관 등에서 특정 사회주의 메시지를 담아 순회 공연하였다. 즉 노동계급의 문화를 하나의 대안 문화로 형성하기 위해서였다. 이전 사회주의가 겪었던 실패, 조직화되지 않은 혁명의 실패를 극복, 사회 변혁을 이끌어 내고자 하는 일관된 흐름이 있었다. 일본의 토가산방의 경우, 스즈끼 타다시라는 연출가가 지역의 오지로 들어가 예술가 고유의 예술세계를 형성하고 초반의 지역민들과의 마찰을 극복, 지속적인 창작활동을 통하여 세계적인 연극 예술촌으로 자리 잡았다.
      콜롬비아대학 부설연구소 CCAP의 경우, 대학의 커뮤니티연극관련 교과목을 개설하여 해당 대학생들이 지역으로 파견실습을 나가는 프로그램이 있다. 지역의 특정 청소년들과 커뮤니티연극을 진행하는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단체와의 협업 아래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대학교와 대상자 청소년들 사이에는 다양한 매개자들의 관계가 형성되고 자원봉사활동, 멘토·멘티의 역할이 형성되어 지역 내 문제를 순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내 대학과의 연계가 커뮤니티연극에서는 하나의 롤모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대학관계자, 지역의 청소년들, 티칭아티스트로서 참여한 대학생들 모두에게 의미있고 가치있는 커뮤니티 연극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국내및 국외의 선행사례를 통하여 지역 커뮤니티연극의 다양한 형태와 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기존의 국내에서 이루어졌던 커뮤니티연극에서는 관주도, 혹은 예술가주도의 기획된 커뮤니티아트가 마을사람들에게 침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관과 예술가가 주도권을 갖고 미리 기획된 과정 중심의 프로젝트였음을 알 수 있다. 관과 예술가주도형의 프로젝트는 지역에서는 한계를 가지기 마련이라고 본다. 자생적으로 이루어지고 스스로 동기를 가지고 커뮤니티연극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지속적인 활동이 가능할 것이나 지역민 스스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프로그램을 주도하고 발전해 가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러한 시점에서 바로 그 지역에 상주하는 예술가의 존재가 매우 중요한 지역 커뮤니티연극의 요소이다. 지역에 상주하는 지역민으로서의 예술가는 보다 지속 가능한 커뮤니티연극을 이끌어 가는데 유리한 지점에 있고 커뮤니티연극발전에 많은 잠재력과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예술가는 지역의 물리적, 역사적, 지리적 공간을 탐색하고 동시대의 주요 현안들, 현재의 시사점들과 접목하여 새로운 문제의식과 스토리텔링을 유추해 낼 수 있다. 그러한 시사점에 대하여 지역민들과 주기적으로 협의하고 논의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인 문제해결점을 찾고 동일한 주제로 커뮤니티연극을 공연함으로써 지역의 현안을 이슈화 하고 새로운 주제를 도출하며 지역의 정체성을 드러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대표적 사례로는 경기도 화성시의 민들레연극마을 송인현대표를 들 수 있다. 그는 송씨 집성촌으로 들어가 마을의 지리적, 역사적 공간을 탐색하고 지역민들과 함께 다양한 프로그램을 유치, 수행하면서 마을의 주요 현안들을 오랜 시간동안 탐색, 동시대의 문제의식을 드러내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해왔다. 그리고 경기도 광주시의 이기복 대표 또한 ‘청석에듀씨어터’라는 교육연극 기반시설을 설립하고 지역 내 계층별, 세대별 연극동아리및 교육프로그램을 연중 운영하면서 지역을 대표할 만한 작품인 <달을 태우다(조두현작/이기복연출)>를 매년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또한 연구자 역시 의정부 지역내에서 ‘학교에연극을심는사람들’, ‘마을씨어터골드’, ‘씨어터홀릭’등의 커뮤니티연극 단체및 동아리를 구성하고 <뉴다큐멘터리극 백삼동쓰리GO!>, <버바텀연극 홍당무>, <사회적경제뮤지컬 함께 살 길>등의 작품을 꾸준히 창작, 공연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예술가와 지역민이 함께 소통하고 지역의 문제에 관하여 협의하고 작품으로 목소리를 냄으로 참가자들 모두의 삶에 영향을 주고 스스로 성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관련 관 단체의 공무원이 매개자로서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다. 지역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수행하는 과정에서 지역민, 예술가, 매개자로서의 공무원, 매개자로서의 예술가들은 서로의 관계들이 확장되고 지역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지리적, 역사적 공간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가하는 것이다. 하나의 국가사회 안에 작은 구성원들이 모여서 예술적 성취를 이루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들을 만들기 위해 서로의 환경과 관계에 대하여 고민하고 조율하면서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경기도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취임과 더불어 ‘사회적 경제’, ‘공동체 활성화’라는 주제와 함께 지역 발전의 기반을 쌓아가고 있다. 이러한 대 주제 아래에서 과연 커뮤니티연극은 어떻게 발아하고 성장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과정에서 경기도 교육청의 <경기 꿈의 학교>, <꿈이음아트프로젝트>, 경기문화재단의 <토요꿈다락문화학교>, <지역특성화사업>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경기도내 1,568 2018년 6월 30일 경기도 작은도서관 현황기준.
      군데에 달하는 작은도서관을 다양한 문화예술동아리, 지역 커뮤니티연극의 안착지로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단체들의 지원사업과 프로젝트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참여자, 대상자들은 연극을 체험하고 연극의 예술성을 향유하며 삶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공연을 관람하는 가족, 동료, 친지 등 모두 미래의 잠재된 연극관객이 되는 것이며 그러한 지속적인 연극활동을 통해 연극 전문인력의 확대, 지역현안에 대한 탐구와 관심의 확대, 우수레퍼토리의 형성에 따른 예술촌의 형성, 그리고 그에 따른 관광과 경제적 발전까지 기대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번 논문은 경기도라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도 5개 지역에 관한 연구에 그쳤지만 향후 경기도의 여타 시군 및 전국의 주요 지역에서의 두드러지는 커뮤니티연극에 대한 연구, 그리고 각 지역간 커뮤니티연극의 연계와 공유, 참여자와 예술가의 협업 및 연계를 통하여 드러나는 극적 다양성, 공무원 매개자와 예술가 매개자간의 역할 분담의 전문성등 순화하는 지역 커뮤니티연극연구를 과제로 더욱 연구에 정진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ocal community theater holds a critical position in the role and stream of contemporary theatre. Following the post-modernism era of heated experiments and transformation, how does drama function in our lives? Contemporary drama is in the flow of mix...

      Local community theater holds a critical position in the role and stream of contemporary theatre. Following the post-modernism era of heated experiments and transformation, how does drama function in our lives? Contemporary drama is in the flow of mixture and fusion and is changing in various forms regarding theatrical expression style, such as the blend of presentational and representational performance, the unity of video and stage, the combination of dance and theatre and so on. In the process, artists have been concerned about the publicness of art and there have been attempts to balance and harmonize publicity and artistry. Among them, as post-dramatic factors, new documentary plays, verbatim plays and site-specific plays use elements of 'self-narrative', 'self-expression' and 'actor as performer' for the expression, leading us to an era where the segmentation and expertise of various genres are prominent. Under the motto of practicing ‘life in art and art in life’, artists are offered a more realistic and socially functional role. In this tendency, local community theatre is sprouting, generating and growing. For such conditions, theatricality, space, sustained corporate sponsorship, local artists, and manpower training are essential.
      In order to present the exploration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y theater, this paper examines artist-driven local community theaters focusing on five regions of Gyeonggi province;  Gapyeong, Ansan, Gwangju, Hwaseong, and Uijeongbu. Centered on leading local artists, the respective cities have initiated community plays, formed a theater-based city, created a new theater space, and all are still contemplating and experimenting on the continuity of community drama with the locals.
      Before examining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community theater, this article searches on the concepts and the formation background of community art, community fine art and public art, and examines the domestic and foreign precedents of community theater. Domestic cases include; <Wallwall(越-wall) Festival> held at Kookmin University at Seongbuk-dong, <Borderless Art Project> realized by the collaboration of artists and residents of Mullae-dong, Yeongdeungpo-gu, and the Mapo Cultural Foundation's <Dream Theater>. These are meaningful examples of villagers, schools and organization groups collaborating to stage a play, and artists, local residents and performers all influencing each other and exploring the identity of the village as a result.
      For foreign cases, projects related to local community theater at the 7: 84 Theater group in Scotland, the Suzuki Company of Toga in Japan, the Center of Community Arts Partnerships(CCAP) of Columbia College in the United States have been the subjects of study. In the case of 7: 84, the group found suitable places where alternative cultures could be formed outside the mainstream theater, such as workers' spaces and town halls, and toured with specific socialist messages. This was to develop the working class culture as an alternative culture. A consistent flow of attempts were made to overcome the failure of previous socialism- the failure of an unorganized revolution- and to bring social transformation. In the case of the Suzuki Company of Toga in Japan, director Suzuki Tadashi entered a wilder region of the country, formed his own artistic world, overcame the initial hostility of the local residents, and built a global theater village through constant creative activities. In the case of CCAP, the Colombia college practically conducts community plays with local youths by dispatching students from the community theater-related courses to the region. Various relationships of intermediaries are formed between the college and the target youth in this process, and volunteer activities, mentor and mentee roles are formed, playing a role in purifying the problems of the region. This case is a good example of an association of the community theatre and the regional college. This became a meaningful and valuable community theater activity for the college officials, the local youth, and the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as teaching artists. Hitherto, various forms and possibilities of local community theater were examined in domestic and foreign precedents.
      In the existing community drama in Korea, community art, planned and led by government offices or by artists, took the form of penetrating the villagers. This is seen as a process-oriented project in which government offices and artists have the initiative and plan beforehand. However, these projects seem to have limitations in the region. A relatively continuous activity would be possible if community drama is carried out on its own and motivated by itself, but it is very rare that local residents themselves form a community, lead and develop programs on their own. At this point, the presence of a local resident artist is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of community theater. As local residents, local artists are in an advantageous position to lead a more sustainable community production and they have a lot of potential and pos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theater.
      The artist can explore the physical, historical, and geographical spaces of the region and can derive new awareness and storytelling by incorporating major contemporary issues and current implications. Thus, by regularly consulting and discussing such implications with the local people, a practical solution of the related issue could be derived, or community plays on such topics could expose the issues, draw out new topics, and reveal the identity of the region.
      One notable example is Song In-hyun, a representative of Dandelion Theatre Village in Hwaseong City, Gyeonggi Province. He explored th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spaces of Songje village, and he attracted and carried out various programs with the locals and persistently explored major issues of the village, revealing critical attitudes on contemporary issues. Lee Ki-bok, the establisher of an educational theater facility called "Chungsuk Edu Theater" in Gwangju city in Gyeonggi province, operates regional drama clubs and educational programs all year round, while constantly developing a local representative play <Burning the Moon>, written by Cho Du-hyeon and directed by Lee Ki-bok. As an another example, my works of organizing community theater groups such as ‘Those who plant theatre at schools’, ‘Village Theater Gold’ and ‘Theater Holic’ within the Uijeongbu area is worth mentioning, and I have constantly created and performed shows such as the New Documentary Play <103 Dong three GO!>, the Verbatim Play <Hongdangmu> and the Socio-economic Musical <The way to live together>.
      The results show that the artist and the locals coul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iscuss local issues and voice them through the works in the process, thereby influencing the lives of all the participants as well as reflecting on themselves. In addition,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the civil servants of related organizations can be of practical help as intermediaries in this process.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executing local communities, local people, artists, public servants as intermediaries, and artists as intermediaries can expand their relations, become more interested in the region, and increase their interest in th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space. Namely, in order to create the minimum conditions for attaining artistic achievement, members of a smaller unit of a national society can grow together by coordinating and contemplating on their environment and relationships.
      With the inauguration of governor Lee Jae-Myung, Gyeonggi Province is building the foundation for local development with the theme of 'social economy'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Under these major topics and in the course of examining how community theater can sprout and grow, the research involves ‘Gyeonggi Dream School’ and ‘Dream connection Art Project’ of Gyeonggi Education Office and ‘Saturday Dream Attic Cultural School’ and ‘Local Characterization Project’ of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The research also contemplates on an environment that helps the community arts and local community theatre by exploiting Based on the status of small library in Gyeonggi Province on June 30th 2018
      1,568 small libraries in Gyeonggi province.
      In the route of making practical application of these groups’ support projects, the participants and subjects can experience and enjoy the artistry of theatre and induce change of life. Furthermore, family, friends, and relatives who watch the performances become future potential theater audiences and through such continuous theater activities,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theater specialists, explore the local issues, expand interest and consequently tourism and economic development can be anticipated.
      Although this study is restricted to five areas within the limited area of Gyeonggi province, I would like to devote the research project henceforth on the study of refining local community theatre, through examining: on prominent community theater in other cities and regions of Gyeonggi Province and other parts of the country, on linking and sharing community theatre between regions, on dramatic diversity manifested through collaborations and connections between participants and artists, on the specialization of role allocation between civil servant mediators and artist mediators and so 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8
      • 제 2 절 선행연구 10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개념 17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8
      • 제 2 절 선행연구 10
      • 제 3 절 연구의 범위와 개념 17
      • 제 2 장 시대적 학문적 배경 24
      • 제 1 절 지역커뮤니티 아트의 출현 24
      • 제 1 항 68혁명 24
      • 제 2 항 - 한국의 경우 28
      • 제 2 절 예술과 관객이라는 역할의 변화 33
      • 제 1 항 창작자로서의 관객 33
      • 제 2 항 -커뮤니티연극의 외적 내적 목표 36
      • 제 3 장 경기도의 정책테마와 문화적 환경 40
      • 제 1 절 정책 테마 - 사회적 경제 40
      • 제 2 절 문화적 환경 42
      • 제 4 장 경기도의 지역 커뮤니티연극 사례와 활성화방안 50
      • 제 1 절 경기도의 지역 커뮤니티연극 사례 50
      • 제 1 항 경기도 가평군 - 어설픈 연극제 51
      • 제 2 항 경기도 안산시 <극단노란리본> 54
      • 제 3 항 경기도 광주시 - 파발극회, 청석에듀씨어터 56
      • 제 4 항 경기도 화성시 민들레연극마을 61
      • 제 5 항 경기도 의정부시 학교에연극을심는사람들 69
      • 제 2 절 경기도 지역 커뮤니티연극의 활성화 방안 86
      • 제 1 항 경기도교육청과 지역커뮤니티연극 86
      • 제 2 항 경기문화재단과 지역커뮤니티연극 90
      • 제 3 항 평생교육비전센터와 지역커뮤니티연극 93
      • 제 4 항 사립 작은도서관과 지역커뮤니티연극 95
      • 제 5 장 결론 97
      • 참고문헌 111
      • 부 록 120
      • Abstract 12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조두현, "<남한산성> 대본", 2016년도 10월 14일(금)~ 10월 15(토) 공연 버전, 2016

      2 아리스토텔레스, "천병희 옮김, 『시학』", 문예출판사, 2006

      3 자크 랑시에르, "『영화우화』, 유재홍 옮김", 영화우화, 2012

      4 필립 테일러, "김병주 옮김, 『시민연극』", 청동거울, 2015

      5 수잔네 슐리허, "박균 옮김, 『탄츠테아터』", 범우사, 2006

      6 니꼴라 부리요, "박정애 옮김, 『레디컨트』", 미진사, 2013

      7 앙리 르페브르, "정기헌 옮김, 『리듬분석』", 갈무리, 2015

      8 자크 랑시에르, "『해방된 관객』, 양창렬 옮김", 현실문화, 2016

      9 자크 랑시에르, "양창렬 옮김, 『무지한 스승』", 2018

      10 잭 코언 크루즈, "권영신 옮김, 『지역예술운동』", 미메시스, 2008

      1 조두현, "<남한산성> 대본", 2016년도 10월 14일(금)~ 10월 15(토) 공연 버전, 2016

      2 아리스토텔레스, "천병희 옮김, 『시학』", 문예출판사, 2006

      3 자크 랑시에르, "『영화우화』, 유재홍 옮김", 영화우화, 2012

      4 필립 테일러, "김병주 옮김, 『시민연극』", 청동거울, 2015

      5 수잔네 슐리허, "박균 옮김, 『탄츠테아터』", 범우사, 2006

      6 니꼴라 부리요, "박정애 옮김, 『레디컨트』", 미진사, 2013

      7 앙리 르페브르, "정기헌 옮김, 『리듬분석』", 갈무리, 2015

      8 자크 랑시에르, "『해방된 관객』, 양창렬 옮김", 현실문화, 2016

      9 자크 랑시에르, "양창렬 옮김, 『무지한 스승』", 2018

      10 잭 코언 크루즈, "권영신 옮김, 『지역예술운동』", 미메시스, 2008

      11 자크 랑시에르, "『역사의 형상들』, 박영옥 옮김", 글항아리, 2016

      12 자크 랑시에르, "『미학안의 불편함』, 주형일 옮김", 인간사랑, 2012

      13 존 듀이, "이재언 역, 『경험으로서의 예술』", 서울/책세상, 2003

      14 자크 랑시에르, "『불화 - 정치와 철학』, 진채원 옮김", 도서출판 길, 2016

      15 이진아, "「포스트드라마 연극에서 관객의 위치」", 한국연극학회, 『한국연극학』, 제 42권 0 호, 2010

      16 대니얼 A. 켈린, 캐스린 도슨, "『성찰하는 티칭아티스 트』, 김병주 옮김", 한울아카데미, 2017

      17 이반 일리치, "허택 옮김, 『누가 나를 쓸모없게 만드는가』", 느린걸 음, 2017

      18 자크 랑시에르,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 양창렬 옮김", 도서출판 길, 2016

      19 브레히트, "김기선 옮김, 『브레히트연극론 - 서사극이론』", 한마당, 1997

      20 리차드 셰크너, "김익두 옮김, 『민족 연극학 - 연극과 인류학 사이』", 한국문화사, 2005

      21 이재민, "「도시놀이 프로젝트, 공간의 기억과 도시의 재발견」", 한국드라마학회, 『드라마연 구』, 53, 2017

      22 유제니오 바르바, "안치운, 이준재 옮김, 『연극인류학- 종이로 만든 배』", 문학과지성사, 2010

      23 Manfred Brauneck, "김미혜·이경미역, 『20세기 연극 - 선언문, 양식, 개혁모델』", 연극과인간, 2004

      24 프리드리히 니체, "『비극의 탄생/바그너의 경우/니체 대 바그 너』, 김대경 옮김", 청하, 1989

      25 이건, "「지방자치단체 문화예술정책 전달체계 만족도 결정요인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논문, 2010

      26 황유선, "「연극의 교육적 효용성 및 활용에 관한 연구: 브레히트와 아우구스 또 보알 연극을 중심으로」", 상명대 석사논문, 2005

      27 정수연, "「지역평생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1995년부터 2013년까지 학 술논문 및 박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교육학 석사논 문, 2014

      28 황수현, "존 맥그라스 연극의 정치성 - 7:84 스코틀랜드 극단과 <체비엇, 수 사슴, 그리고 검고 검은 기름>을 중심으로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 원 영어영문학 석사논문, null

      29 이화원, "「도시상공인의 생(生)과 업(業), 삶의 현장에서 재연하기-산책연극 <아 마도 당신이 몰랐을 이야기 -염천교>를 중심으로 -", 한국연극학회, 『한국연극학』, 66, 223-255,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