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관찰청소년을 위한 대학생멘토링의 성과내용을 깊이 있게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년원 퇴원 후 A시 청소년자립생활관에서 거주하는 보호관찰청소년들에게 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85806
2014
-
비행청소년 ; 보호관찰 ; 집단멘토링 ; 대학생 ; 질적연구 ; Delinquent Adolescents ; Probation ; Group Mentoring ; University Student ; Qualitative Study
330
KCI등재
학술저널
1-32(32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관찰청소년을 위한 대학생멘토링의 성과내용을 깊이 있게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년원 퇴원 후 A시 청소년자립생활관에서 거주하는 보호관찰청소년들에게 집...
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관찰청소년을 위한 대학생멘토링의 성과내용을 깊이 있게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년원 퇴원 후 A시 청소년자립생활관에서 거주하는 보호관찰청소년들에게 집단멘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한 1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멘토링 경험을 파악하였다. 질적자료 분석결과, 3개 영역, 8개 중심주제, 23개의 세부주제가 도출되었다. 멘토링의 성과는 보호관찰청소년 지도, 멘토링을 통한 대학생의 자아성장, 그리고 멘토링프로그램 평가영역으로 구분되었다. 청소년지도영역은 학업과 진로지도, 정서적 지지, 상담으로, 대학생의 자아성장영역은 인식변화와 자아성찰, 지도기술 및 프로그램 지원능력, 보람과 성취감으로, 멘토링프로그램 평가영역은 집단멘토링의 장단점, 기관과 대학에 대한 제언으로 범주가 세분화 되었다. 학업과 진로지도에서 대학생멘토는 복학ㆍ학교적응 지도, 직업탐색과 진로지도, 검정고시준비와 대학진학지원, 기술훈련과 취업지원, 군복부준비를 지도하였다. 정서적 지지와 상담으로 사회적응을 위한 정서적지지, 문제행동ㆍ비행예방상담을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멘토대학생의 인식변화와 자아성찰로는 청소년 및 문제원인이해, 비행청소년에 대한 편견수정, 봉사자로서의 자아성찰, 예비전문가로서의 성장이 있었다. 또한 대학생은관계형성기술, 상담기술, 프로그램지원능력이 향상되었고, 돕는 활동을 통해 성취감과 보람을 느끼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집단멘토링은 편안함과 상호지지의 장점이 있는 반면 청소년의 소외감와 편애의 한계도 있었다. 멘토링프로그램을 위해 대학생들은 기관에는 지원과 수퍼비전, 대학에는 진로지도와 교육을 요청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호관찰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생멘토링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the outcomes of university students montoring for delinquent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 qualitative study method with focus group interviews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from 10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the outcomes of university students montoring for delinquent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 qualitative study method with focus group interviews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from 10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mentoring program in a public youth group hom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subjects students experienced while participating in the mentoring activities and 3 areas, 8 subjects, and 23 sub-subjects were identified. Three areas of outcome were 'Guiding Delinquent Adolescents', "Self-Growth of Mentors', and "Evaluation of Montoring Program'. Guiding area included 'study and career guidance', 'emotional support' and 'counseling', and Self-Growth area included 'recognition change and reflection on self', 'guidance skills, program assistance ability', and 'satisfaction from achievement'. Program Evaluation area included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group mentoring', 'suggestions to agency and university'.
It was identified that for 'study and career guidance', mentors helped mentees with school adjustment, preparation for GED and college, job training and employment, and preparation for military service. For 'emotional support and counseling', mentors helped mentees with emotional support for social adjustment, and counseling for problem behaviors and delinquency prevention. Mentor's recognition change and self-analysis included correction of bias, and self-analysis as a helper. It was found that mentors improved skills in relationship, resource identification and counseling, and program assistance and they felt satisfaction from mentoring. Group mentoring had limitations of isolation and preference in relations while having comfort and mutual support. Mentors hoped that agency would provide them with a guideline and supervision while asking university for guidance and education on juvenile issues. Based upon the study results, several suggestions to improve mentoring programs with university students for delinquent juveniles were mad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흥식, "한국 소년보호관찰제도의 발전 방향:보호관찰 정체성을 중심으로" 한국보호관찰학회 11 (11): 7-34, 2011
2 이형재, "한국 보호관찰제도의 발전과 향후 과제" 한국보호관찰학회 12 (12): 107-218, 2012
3 배현옥, "학교부적응 청소년에 대한 멘토링 효과분" 5 (5): 27-46, 2012
4 손순용, "학교 밖 보호관찰청소년 학력 취득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10 (10): 73-96, 2005
5 김동일, "청소년대상 학습상담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8 (18): 143-172, 2010
6 박현선, "집단멘토링의 참여과정에 관한 연구-멘티의 관계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40 (40): 323-351, 2012
7 김시종, "우리나라 보호관찰사업의 지역사회자원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8 김지선, "소년원퇴원자의 사회복귀 프로그램 효율성 제공" 10 : 117-168, 2007
1 조흥식, "한국 소년보호관찰제도의 발전 방향:보호관찰 정체성을 중심으로" 한국보호관찰학회 11 (11): 7-34, 2011
2 이형재, "한국 보호관찰제도의 발전과 향후 과제" 한국보호관찰학회 12 (12): 107-218, 2012
3 배현옥, "학교부적응 청소년에 대한 멘토링 효과분" 5 (5): 27-46, 2012
4 손순용, "학교 밖 보호관찰청소년 학력 취득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10 (10): 73-96, 2005
5 김동일, "청소년대상 학습상담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8 (18): 143-172, 2010
6 박현선, "집단멘토링의 참여과정에 관한 연구-멘티의 관계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40 (40): 323-351, 2012
7 김시종, "우리나라 보호관찰사업의 지역사회자원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8 김지선, "소년원퇴원자의 사회복귀 프로그램 효율성 제공" 10 : 117-168, 2007
9 조경미, "소년원 퇴원생의 재사회화 과정" 공주대학교 2010
10 이발희, "소년원 퇴원생의 사회적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0
11 김혜정, "소년원 임시퇴원자에 대한 보호관찰에관한 소고" 한국보호관찰학회 12 (12): 133-163, 2012
12 안선영, "소년원 교육 효과성 개선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13 김준호, "소년범죄자의 성인범죄자로의 전이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5
14 고윤순, "성공적인 사회적응을 하는 소년원 퇴원생에 대한 보호자의 생활지도"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6 : 123-152, 2013
15 Padgett, D. K, "사회복지 질적 연구 방법론" 나남 2005
16 하성민, "비행청소년을 위한 멘터링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보호관찰대상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17 손순용, "비행청소년과 교정복지 방안" 5 : 91-111, 2006
18 김흔기, "비행청소년 선도를 위한 대학생멘터활동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00
19 조은경, "비행청소년 멘토링 효과와 슈퍼비전 사례연구" 6 : 1-42, 2006
20 변순희, "보호관찰청소년 대상의 멘토 활동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2006
21 채형일, "보호관찰대상 청소년을 위한 멘터링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22 한국청년연합회, "보호관찰대상 청소년을 위한 멘터링 프로그램 사례집"
23 이윤호, "보호관찰관의 임무와 역할" 89-102, 1999
24 황진규, "보호관찰 청소년 자기조절 프로그램 연구" 한국보호관찰학회 10 (10): 287-324, 2010
25 김기환, "보호관찰 정책연구과제 지역사회자원 활용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10 (10): 327-467, 2010
26 법무부, "범죄예방정책 통계연보"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2011
27 대검찰청, "범죄분석 2014"
28 법무연수원, "범죄백서 2013" 법무연수원 2014
29 Grossman, J. B., "Mentoring- A Proven Delinquency Prevention Strategy" 1997
30 Jackson, Y., "Mentoring for delinquent children : with young adolescent children" 31 (31): 115-122, 2002
31 Sipe, C. L., "Mentoring School-age Children: a Classification of Programs" Public/Private Ventures, U.S 1999
32 Herrera, C., "Group Mentoring: A Study of Mentoring Groups in Three Programs" P/PV, U.S 2001
33 법무부, "2013년 12월 기준 보호관찰 등 사건 통계자료현황"
34 법무부, "2012년 3월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조직진단 자료"
35 여성가족부, "2011 청소년백서" 2011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청소년 재범 관련요인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 | 1.5 | 1.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6 | 1.15 | 1.414 | 0.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