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극찬, "『정치학』", 연변인민출판사, (서울: 법문사, 1991
2 P. G. Northouse, "김남현 옮김", 『리더십』(서울: 경문사, 2009
3 김유민, "『후계자론』", 신문화사, (신문화사, 1984
4 변영욱, "『김정일.JPG』", (파주: 도서출판 한울, 2008
5 박봉권, "『김정은시대』", 매일경제신문사,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2012
6 박명규, 신용하, "『사회사상사』", 센게이지러닝코리아,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3
7 통일연구원, "김정일 선집분석",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2001
8 경남대, "북한대학원 엮음", 『북한연구방법론』(서울: 한울, 2003
9 권헌익, 정병호, "『극장국가 북한』", (파주: 창비, 2013
10 안문석, "『김정은의 고민』", (서울: 인물과 사상사, 2012
11 김일성, "다홍왜에서의 론쟁", 『세기와 더불어 4』(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3
12 김갑식, "“남북관계 통일,”", 장달중 편, 『현대북한학강의』(서울: 사회평론, 2013
13 동태관, 최칠남, 전성호, "“정론: 강성대국,”", 『로동신문』, null
14 이종석, "『조선로동당연구』", 역사비평사, (서울: 역사비평사, 1995
15 최기환, "『민족과 선군정치』", (평양: 평양출판사, 2003
16 이종석, "『현대북한의 이해』", (서울: 역사비평사, 1995
17 장달중, "『현대북한학 강의』", 사회평론, 서울: 사회평론, 2013
18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엮음", 『북한체제 수립과정 -1948』(서울: 삼중문화사, 1991), 1945
19 곽승지, "“선군사상의 향배,”", 강성윤 엮음, 『김정일과 북한의 정치』(서울: 선인, 2010
20 정성장, "“통치 이데올로기,”", 장달중 편, 『현대북한학강의』(서울: 사회평론, 2013
21 정창현, "『곁에서 본 김정일』", 김영사, (서울: 김영사, 2000
22 강성윤, "김정일과 북한의 정치", 서울: 선인, 2010
23 신구범, "리더십의 이론과 실제", 형설, (서울: 학지사, 2008
24 서대숙, 서주석,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 청계연구소, 서울: 청계연구소, 1989
25 오보람, "편집, 『‘민족통신’", 진실을 말하다 1』(평양: 평양출판사, 2014
26 김정일, "『김정일 선집』, 각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null
27 정영철, "『김정일 리더십연구』", 선인, (서울: 선인, 2005
28 김명철, "『민족대단결의 구심』", (평양: 평양출판사, 2003
29 이종석, "『분단시대의 통일학』", 한울아카데미, (서울: 한울, 1998
30 이태섭, "『김일성 리더십 연구』", 들녘, (서울: 도서출판 들녘, 2001
31 김영재, 이은호, "『북한의 정치와 사회』", 통일문제연구소, (서울프레스, 1994
32 김광운, "『북한정치사 연구 Ⅰ』", (서울: 선인, 2003
33 김일성, "『김일성 저작집』, 각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null
34 한재만, "김정일: 인간·사상·령도", 평양: 평양출판사, 1994
35 박사명, "『동남아의 정치리더십』", 21세기한국연구재단, (서울: 서울프레스, 1996
36 김태영, "『애국애족의 통일방안』", 평양출판사, (평양: 평양출판사, 2001
37 김남식, "『해방 전후사의 인식 5』", (서울: 한길사, 1990
38 이정은, "“여성의 침묵과 목소리,”", 한국철학사상연구회, 평양: 평양출판사, 2001
39 임을출, "김정은 체제의 미래를 묻다", 파주: 도서출판 한울, 2012
40 박창옥, "“북조선로동당규약해설,”", 『근로자 5호』, null
41 김정은, "“혁명가유자녀들은 만경대의 혈통, 백두의 혈통을 굳건히 이어나가는 선군혁명의 믿음직한 골간이 되여야 한다: 만경대혁명학원과 강반석혁명학원 창립 65돐에 즈음하여 학원교직원 학생들에게 보낸 서한년 10월 12일),”", 『로동신문』, 2012년 10월 13일, 2012
42 김창회, "“김정일-알 수 없는 인물,”", 송기도 외,『권력과 리더십 5』(서울: 인물과 사상사, 2000
43 이교덕, "『김정일 현지지도의 특성』",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2002
44 심병철, "『조국통일문제 100문 100답』", 평양출판사, (평양: 평양출판사, 2003
45 박순성, "“개혁․개방과 체제 변화,”", 강성윤 엮음, 『김정일과 북한의 정 치』(서울: 선인, 2010
46 김연철, "“김정은 체제와 남북관계,”", 북한연구학회, 『김정은체제와 한반도 정세』(북한연 구학회 춘계학술회의, 2012년 4월 27일), 2012
47 임재천, "“북한 지도자 리더십 비교,”", 『동북아연구』(제29권 1호, 2014
48 이종석, "『새로 쓴 현대 북한의 이해』", (서울: 역사비평사, 2000
49 김재호, "『김정일 강성대국 건설전략』", (평양: 평양출판사, 2000
50 김현환, "『김정일 장군 정치방식 연구』", 평양출판사, (평양: 평양출판사, 2002
51 황장엽, "『나는 역사의 진리를 보았다』", (서울: 한울, 1999
52 정창현, "『장성택 사건 숨겨진 이야기』", 선인, (서울: 도서출판 선인, 2014
53 김재천, "“후계자 문제의 이론과 실천,”", 『리론과 실천(2)』(평양: 평양출판사, 1990
54 최장집, "『막스베버 소명으로서의 정치』", 폴리테이아, (서울: 폴리테이아, 2011
55 강동완, "『모란봉악단 김정은을 말하다』", 선인, (서울: 도서출판 선인, 2014
56 정윤재, "『정치리더십과 한국 민주주의』", (파주: 나남, 2012
57 김일성, "남조선혁명과 조국통일에 대하여", 조선 로동당,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69
58 학민, "민주주의 민족통일전선과 로동당", 『근로자』(1947. 1·2월호), 1947
59 박영자, "“김정은의 통치술과 통치구조,”", 『온라인 시리즈』(통일연구원, 2014
60 심지연, "“북조선로동당의 창립과 노선,”",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엮음, 『북 한체제 수립과정 -1948』(서울: 삼중문화사, 1991), 1945
61 함택영, "“핵무력과 경제건설의 딜레마,”", 장달중 편, 『현대북한학강의』(서 울: 사회평론, 2013
62 이찬행, "『인간 김정일 ‘수령’ 김정일』", (서울: 도서출판 열린세상, 1994
63 김성호, "1930년대 연변 ‘민생단사건’ 연구", 백산자료원, (서울: 백산자료원), 1999
64 고유환, "“김정은 후계구축 논리와 징후.”",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제연구』(제53호, 2010
65 진희관, "“김정일: 후계자에서 지도자로,”", 강성윤 엮음, 『김정일과 북한의 정 치』(서울: 선인, 2010
66 서유석, "“국방위원장체제와 권력엘리트,”", 강성윤 엮음, 『김정일과 북한의 정치』(서울: 선인, 2010
67 오현철, 최금룡, "『김정일애국주의에 대한 이야기』", 평양출판사, (평양: 평양출판사, 2013
68 송승환, "『우리 민족제일주의와 조국통일』", (평양: 평양출판사, 2004
69 정창현, "“북한 지배엘리트의 구성과 역할,”",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엮 음, 『북한의 당 국가기구 군대』(파주: 한울아카데미, 2007
70 정창현, "『키워드로 본 김정은 시대의 북한』", 선인, (서울: 도서출판 선인, 2014
71 서동만, "북조선 사회주의체제 성립사(1945-1961)", 선인, 서울: 선인, 2005
72 김준혁, 채금옥, 엄향심, 김지호, "주체101(2012)년과 경애하는 김정은동지", (평양: 외국문출판사), 2013
73 박형중, "“민간당료집단의 득세와 군부장악,”", 북한연구소, 『월간 북한: 』(북한연구소, 2013), 2013
74 제임스, "맥그리거 번즈, 한국리더십연구회 옮김", 『리더십 강의』(서울: 생각의 나무, 2000
75 진희관 ( Hee Gwan Chin ), "북한의 사상과 김일성-김정일주의 연구",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제 18권 제2호, 2014
76 김갑식 ( Kap Sik Kim ), ""김정은 정권의 수령제와 당,정,군 관계"",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한국과 국제정치』(제30권 제1호, 2014
77 박치정, "21세기 조직을 움직이는 지도자와 리더십", 삼경문화사, (서울 : 삼경문화사, 2000
78 이상우, "『북한정치변천: 신정체제의 진화과정』", (서울: 도서출판 오름, 2014
79 이관세, "『현지지도를 통해 본 김정일의 리더십』", 전략과문화, (서울: 전략과 문화, 2009
80 양문수, "“김정은 시대 경제정책의 변화 가능성,”", 『한국과 국제정치』(제30 권 1호, 2014
81 조영기, "“김정은 시대 북한경제의 현황과 과제.”", 한국개발연구원, 『KDI 북한경제리뷰』, 2013
82 홍성후, "“김정일과 김정은의 통치 스타일 비교,”", 한국동북아학회, 『한국동북아논총』(제67호, 2013
83 박형중, "“장성택 숙청과 북한 내부의 권력투쟁,”", 『온라인 시리즈』(통일연구원, 2014
84 양운철, "“핵 경제개발 병진전략과 개방의 혼용,”", 북한연구소, 『월간 북한: 』(북한연구소, 2013), 2013
85 서대숙, "『현대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과 김정일』", 을유문화사, (서울: 을유문화사, 2000
86 김근식, "“김정은시대 북한의 정치: 지속과 변화,”",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평화학연구』(제14권 3호, 2013
87 정성장, "“주체사상의 기원과 형성 및 발전 과정,”",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한국정치외교사논총』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00
88 이영종, "「북한 후계체제와 권력승계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석사학위논문, 2012
89 한기범, "북한 정책결정과정의 조직행태와 관료정치.", (경남대 박사학위논문, 2009
90 윤규식, "“대내외적 혼란과 격변시기 보낸 북한군,”", 북한연구소, 『월간 북한:』(북한연구소, 2013), 2013
91 김일성, "북조선인민회의 제5차 회의에서 진술한 보고", 『근로자』, 1948
92 조민, "평양의 ‘7월 드라마’와 김정은체제의 향방", 『온라인 시리즈』(통일연구원), 2012
93 김일성, "교육부문 앞에 나서는 몇 가지 과업에 대하여", 『김일성 저작집 2』(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79
94 김승재, "『인도에 등장한 김정은, 그 후의 북한 풍경』", (서울: 도서출판 선인, 2015
95 이수석, "“김정은 정권의 권력구조와 북한체제 전망,”",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평화학연구』(제13 권 4호, 2012
96 정창현, "“김정은시대 북한의 정책 전망과 남북관계,”", 한국역사연구회, 『역사와 현실』, 2012
97 이수석, "“박봉주의 등장과 북한의 개혁개방 가능성,”", 한국개발연구원, 『KDI 북한경제리뷰』, 2013
98 홍민, "“김정은 권력승계 이후 북한 경제변화 전망,”", 한국개발연구원, 『KDI 북한경제리뷰』, 2012
99 최강혁, "“북한 경제정책의 시기별 변화와 향후 전망,”", 김홍광 외, 『김정은의 북한은 어디로?-탈북지식인들의 실증진단』(서울 : 늘품플러스, 2012
100 김성철, "『김정일의 퍼스낼리티 카리스마 통치스타일』",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1999
101 정성장, "“김정은 정권의 당과 군부 파워 엘리트 변동,”", 『북한의 권력과 사회 동학』년 북한연구학회 하계학술회의, 2014년 7월 11일), 2014
102 서재진, "『북한의 맑스-레닌주의와 주체사상 비교연구』",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2002
103 김일성, "북조선 림시 인민위원회 제1차 회의에서 한 연설", 『김일성 저작집 2』(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79
104 김은아, "「김정일과 김정은의 권력승계 과정 비교 연구」", (국방대 석사학위논문, 2011
105 하대웅, "「체제위기시 북한군의 역할 전망에 관한 연구」", (국방대 석사학위논문, 2014
106 류길재, "“김일성 김정일의 문헌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경남대 북한대학원 엮 음, 『북한연구방법론』(서울: 한울, 2003
107 이우정, "『권력승계와 정당성: 사회주의체제의 정치변동』", 신양사, (서울: 신양사, 1997
108 홍민, "「북한 현지지도의 정치경제적 기원에 관한 연구」", (동국대 석사학위논문, 2001
109 김흥광, "김정은의 북한은 어디로? 탈북지식인들의 실증진단", 늘품플러스, 서울: 늘품플러스, 2012
110 차문석, "김정은 체제의 안정성 평가: 체제 지탱력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김정은체제 와 한반도 정세』(북한연구학회 춘계학술회의, 2012년 4월 27일), 2012
111 김정일, "전당과 온 사회에 유일사상체계를 더욱 튼튼히 세우자", 『주체혁 명위업의 완성을 위하여 3』(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7
112 박형중, "“김정은 권력 정착과정에서의 군부 동향년~2013년),”", 『온라 인 시리즈』(통일연구원, 2013), 2009
113 이종석, "“한인공산주의 운동의 전개과정: 년에서 1945년까지,”", 이은호 김영재, 『북한의 정치와 사회』(서울: 서울프레스, 1994), 1917
114 편집국, "“김일성 동지의 위대한 현지지도방법을 따라 배우자,”", 『근로자 11호』, 1969
115 양희권, "「김정은 정권의 수립과 대내외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16 이주환, "『해방직후 조선공산당내 분파투쟁과 ‘북조선분국’』", (서울: 동국사학 제38호), null
117 조한범, "“집권 1년, 김정은 정치의 한계와 개혁 개방 제약요인.”", 『온라인 시리즈』(통일연구원, 2012
118 박형중, "“김정은 통치 1년과 신주류의 권력 공고화 프로젝트 추진,”", 『온라 인 시리즈』(통일연구원, 2012
119 황지환,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전략 : 지속과 변화의 ‘병진노선’,”",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한국과 국제정치』(제30권 제1호, 2014
120 전성훈, "“김정은 정권의 경제․핵무력 병진노선과 ‘4.1 핵보유 법령’,”", 『온라인 시리즈』(통일연구원, 2013
121 김진하, "“김정은정권의 내구성 진단: 김정일체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온라 인 시리즈』(통일연구원, 2012
122 신동훈,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과 김정일의 정치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2010
123 김정일, "사회주의는 과학이다: 『로동신문』에 발표한 논문(1994년 11월 1일)", 『김정일 선집 13』(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124 김연수, "“김정은 체제의 특성과 안정성: 권력 엘리트 분석 접근을 중심으로,”", 신아시아연구소, 『신아세아』(19권 4호, 2012
125 김근식, "김정은 시대의 ‘김일성-김정일주의’: 주체사상과 선군사상의 추상화",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한국과 국제정치』(제30권 제1호, 2014
126 김일성, "북조선로동당 제2차 전당대회에서 진술한 당중앙위원회 사업결산 보고", 『근로자』, 1948
127 정영철, "“김정은 체제의 출범과 과제: 인격적 리더십의 구축과 인민생활 향상.”",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제16권 제1호, 2012
128 김정일,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조국통일유훈을 철저히 관철하자(1997 년 8월 4일)", 『김정일 선집 14』(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00
129 정창현, "“경제와 핵무력 건설 병진노선 채택 김정은시대의 ‘전략적 노선’ 으로 천명,”", 『민족21』, 2013
130 최진욱,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2012
131 김용현, "「북한 인민군대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만주사변~한국전쟁 이전 을 중심으로」", (동국대 정치학과 석사학위논문, 1993
132 김일성, "반일인민유격대창건에 즈음하여: 반일인민유격대창건식에서 한 연설 (1932년 4월 25일)", 『김일성 저작집 1』(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79
133 허가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선거 총화와 당단체들의 당면과업에 대한 보고", 『근로자』(1948. 10.), 1948
134 김성배, "2013년 북한의 전략적 선택과 동아시아 국제정치: 병진노선과 신형대국관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평화연구』(2013년 가을호), 2013
135 권지연, 임채천, "“북한 권력엘리트 관리에서 나타난 김정일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특성을 중심으로,”", 『東西硏究』(제26권 1호, 2014
136 김정일, "당 사상사업을 더욱 개선강화할데 대하여: 전국 당 선전일군회의에서 한 결론(1981년 3월 8일)", 『김정일 선집 7』(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6
137 진희관, "“김정은 시대의 ‘현지료해’ 연구: 내각총리와 총정치국장의 현지료 해 분석을 중심으로,”", 『21세기 정치학회보』(제25집 3호, 2015
138 진희관, "“김정은 정권의 권력엘리트의 변동 연구: 주요 인사의 로동신문 등장 빈도 분석을 중심으로,”", 『세계북한학 학술대회 자료 집』(서울: 북한연구학회, 2015), 2015
139 김진환, "“김정은 시대 지배이데올로기의 특징과 전망: ‘김일성주의’에서 ‘김일성-김정일주의’로.”",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제17권 제2호, 2013
140 김일성, "해방된 조국에서의 당, 국가 및 무력 건설에 대하여: 군사정치간부들앞에서 한 연설(1945년 8월 20일)", 『김일성 저작집 1』(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79
141 김일성, "올해 농사경험과 다음해 영농사업방향에 대하여: 농촌경리부문 지도일군협의회에서 한 연설(1980년 9월 21일)", 『김일성 저작집 35』(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7
142 김정일, "주체사상에 대하여: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 탄생 70돌기념 전국 주체사상토론회에 보낸 논문(1982년 3월 31일)", 『주체사상에 대 하여』(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1
143 김정일, "주체사상 교양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1986년 7월 15일)",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김정일 선집 8』(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1
144 김정일, "올해를 강성대국건설의 위대한 전환의 해로 빛내이자: 조선로동당 중 앙위원회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1999년 1월 1일)", 『김정일 선집 1 4』(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00
145 김정은, "“김정일애국주의를 구현하여 부강조국 건설을 다그치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년 7월 26일),”", 『로동신문』, 2012년 8월 3일, 2012
146 김정일, "올해를 사회주의 경제건설에서 혁명적 전화의 해로 되게 하자: 전당 당일군회의 참가자들에게 보낸 서한(1997년 1월 24일)", 『김 정일 선집 14』(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00
147 김정일, "경제 선전선동 사업을 힘 있게 벌릴 데 대하여: 조선로동당 중앙 위원회 선전선동부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1974년 3월 7일)", 『김 정일 선집 4』(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4
148 김일성, "사상사업에서 교조주의와 형식주의를 퇴치하고 주체를 확립할 데 대하여: 당 선전선동 일군들 앞에서 한 연설(1955년 12월 28일)", 『김일성 저작집 9』(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149 김정일, "수령님 탄생 60돐을 민족최대의 명절로 맞이하기 위하여: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 일군들과 한 담화(1971년 10월 29일)", 『김정일 선집 2』(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3
150 김정일, "인민군대를 강화하며 군사를 중시하는 사회적 기풍을 세울 데 대하여: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1992년 2월 4일)", 『김정일 선집 13』(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151 김정일, "온 사회를 김일성주의화하기 위한 당 사상사업의 당면한 몇 가지 과업에 대하여: 전국 당선전일군강습회에서 한 결론(1974년 2월 19일)", 『김정일 선집 4』(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4
152 김정은, "“사회주의 농촌테제의 기치를 높이 들고 농업생산에서 혁신을 일으 키자: 전국농업부문분조장대회 참가자들에게 보낸 서한년 2월 6 일),”", 『로동신문』, 2014년 2월 7일, 2014
153 김일성, "조국통일위업을 실현하기 위하여 혁명력량을 백방으로 강화하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4기 제8차 전원회의에서 한 결론(1964년 2월 27일)", 『김일성 저작집 18』(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2
154 김정은, "『위대한 김정일장군님을 영원히 높이 우러러 모시고 장군님의 유훈을 철저히 관철하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제2 판)』",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13
155 김일성, "우리 당의 주체사상과 공화국정부의 대내외정책의 몇 가지 문제에 대 하여: 일본 ≪마이니찌신붕≫기자들이 제기한 질문에 대한 대답(1972 년 9월 17일)", 『김일성 저작집 27』(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4
156 김정일, "반당반혁명분자들의 사상여독을 뿌리 빼고 당의 유일사상체계를 세울 데 대하여: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 일꾼들과 한 담화 (1967년 6월 15일)", 『김정일 선집 1』(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157 김정일, "인민군대 당조직과 정치기관들의 역할을 높일 데 대하여: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조직지도부 및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일꾼들과 한 담화( 1969년 1월 19일)", 『김정일 선집 1』(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158 김정은, "“위대한 김정일동지를 우리 당의 영원한 총비서로 높이 모시고 주 체혁명위업을 빛나게 완성해나가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 군들과 한 담화년 4월 6일),”", 『로동신문』, 2012년 4월 19일, 2012
159 김정은, "“우리의 사회과학은 온 사회의 김일성-김정일주의화 위업수행에 적 극 이바지하여야 한다: 창립 60돌을 맞는 사회과학원 과학자들과 일 군들에게 보낸 서한년 12월 1일),”", 『로동신문』, 2012년 12월 2일,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