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의 공원환경 인식이 공원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erceived Park Environments on Park Satisfaction for Older Adul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147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의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노인의 공원이용 행태를 살펴보고, 공원 내 물리적 환경이 공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4개의 근린공원에서 수집된 총 290부의 설문을 토대로 통계적 분석이 수행되었다. 공원이용 행태 분석 결과, 응답한 노인들의 43.4%가 ‘걷기 또는 산책’을 위해 공원을 방문하였으며, 응답자의 50%는 주 5회 이상 공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공원이용 시간은 2시간 내외가 대부분이었으며, 공원까지 이동수단은 보행이, 공원까지의 평균 이동거리는 15분 이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원환경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 ‘공원까지의 거리’, ‘충분한 녹지면적’, ‘충분한 그늘’ 등의 항목이 4점 이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반면, ‘원예활동지원 공간’, ‘다양한 볼거리’, ‘복지시설과의 연계’ 등에 대한 인식이 3.2점 이하로 낮게 평가되었다. 공원만족도와 공원환경 요인을 회귀분석한 결과, 5개 요인이 모두 유의수준 1% 이내에서 공원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이용쾌적성’, ‘시설적합성’, ‘이용편의성’의 영향성이 타 요인에 비해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향후 신규 노인공원 조성 또는 노인거주 중심지역의 근린공원 리모델링 사업 등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의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노인의 공원이용 행태를 살펴보고, 공원 내 물리적 환경이 공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4개의 근린공원에서 수집된 총 290부...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의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노인의 공원이용 행태를 살펴보고, 공원 내 물리적 환경이 공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4개의 근린공원에서 수집된 총 290부의 설문을 토대로 통계적 분석이 수행되었다. 공원이용 행태 분석 결과, 응답한 노인들의 43.4%가 ‘걷기 또는 산책’을 위해 공원을 방문하였으며, 응답자의 50%는 주 5회 이상 공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공원이용 시간은 2시간 내외가 대부분이었으며, 공원까지 이동수단은 보행이, 공원까지의 평균 이동거리는 15분 이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원환경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 ‘공원까지의 거리’, ‘충분한 녹지면적’, ‘충분한 그늘’ 등의 항목이 4점 이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반면, ‘원예활동지원 공간’, ‘다양한 볼거리’, ‘복지시설과의 연계’ 등에 대한 인식이 3.2점 이하로 낮게 평가되었다. 공원만족도와 공원환경 요인을 회귀분석한 결과, 5개 요인이 모두 유의수준 1% 이내에서 공원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이용쾌적성’, ‘시설적합성’, ‘이용편의성’의 영향성이 타 요인에 비해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향후 신규 노인공원 조성 또는 노인거주 중심지역의 근린공원 리모델링 사업 등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behaviors of park use and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perceived park environments on the park satisfaction for older adults focused on the neighborhood parks in Daegu. Several statistical analyzes were performed based on a total of 290 sample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in four neighborhood parks. First of all, 43.4% of the respondents visited the park for 'walking', and 50% of the respondents used the park more than 5 times a week. Most of the respondents used the park for about 2 hours, the most common means of transportation was walking, and the average distance to the park was less than 15 minutes. In terms of perception on the park environment, perceptions of 'distance to park', 'area of green space' and 'shade by trees' were higher than 4 points. On the other hand, perceptions of the 'Supporting space for gardening', 'Various attractions', and 'Connection with welfare facilities' were lower than 3.2 points.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between park satisfaction and park environment factors, all five factors had positive effects with park satisfaction within 1% of significance level.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s of 'Amenity of use', 'Suitability of facility' and 'Convenience of use' were higher than other fact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basic data for the construction of new senior parks and remodeling of neighborhood parks in the elderly residential area.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behaviors of park use and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perceived park environments on the park satisfaction for older adults focused on the neighborhood parks in Daegu. Several statistical analyzes were 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behaviors of park use and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perceived park environments on the park satisfaction for older adults focused on the neighborhood parks in Daegu. Several statistical analyzes were performed based on a total of 290 sample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in four neighborhood parks. First of all, 43.4% of the respondents visited the park for 'walking', and 50% of the respondents used the park more than 5 times a week. Most of the respondents used the park for about 2 hours, the most common means of transportation was walking, and the average distance to the park was less than 15 minutes. In terms of perception on the park environment, perceptions of 'distance to park', 'area of green space' and 'shade by trees' were higher than 4 points. On the other hand, perceptions of the 'Supporting space for gardening', 'Various attractions', and 'Connection with welfare facilities' were lower than 3.2 points.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between park satisfaction and park environment factors, all five factors had positive effects with park satisfaction within 1% of significance level.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s of 'Amenity of use', 'Suitability of facility' and 'Convenience of use' were higher than other fact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basic data for the construction of new senior parks and remodeling of neighborhood parks in the elderly residential a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지,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의 우울증과 삶의 질을 평가하는 도구로 한국판 WHO-5의 유용성"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4 (14): 90-96, 2010

      2 강선경,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이 우울증 노인의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629-643, 2009

      3 이병수, "유니버설디자인 측면에서 본 노인친화형 공원 시설물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4 강병근, "무장애 놀이공간 계획을 위한 설치유형별 놀이공간 실태분석"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15 (15): 23-31, 2009

      5 이형숙, "노인들의 도보권 근린시설 이용현황 및 인지된 근접성 연구 - 성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63-74, 2011

      6 송혜자, "노인공원의 이용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청주중앙공원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39) : 217-248, 2008

      7 임경호, "노인공원의 물리적 환경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4

      8 Park, Y., "Walking and park environment improvement plans for senior health promo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9

      9 Takano, T.,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Senior Citizens' Longevity in Megacity Areas" 56 : 913-918, 2002

      10 Bedimo-Rung, A., "The Significance of Parks to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28 (28): 159-168, 2005

      1 김현지,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의 우울증과 삶의 질을 평가하는 도구로 한국판 WHO-5의 유용성"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4 (14): 90-96, 2010

      2 강선경,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이 우울증 노인의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629-643, 2009

      3 이병수, "유니버설디자인 측면에서 본 노인친화형 공원 시설물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4 강병근, "무장애 놀이공간 계획을 위한 설치유형별 놀이공간 실태분석"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15 (15): 23-31, 2009

      5 이형숙, "노인들의 도보권 근린시설 이용현황 및 인지된 근접성 연구 - 성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63-74, 2011

      6 송혜자, "노인공원의 이용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청주중앙공원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39) : 217-248, 2008

      7 임경호, "노인공원의 물리적 환경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4

      8 Park, Y., "Walking and park environment improvement plans for senior health promo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9

      9 Takano, T.,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Senior Citizens' Longevity in Megacity Areas" 56 : 913-918, 2002

      10 Bedimo-Rung, A., "The Significance of Parks to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28 (28): 159-168, 2005

      11 Hillsdon, M.,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ss and Quality of Urban Green Space with Population Physical Activity" 120 : 1127-1132, 2006

      12 Kang, B., "Statistical Analysis for Social Science" Hannarae Publishing Co 2009

      13 Maas, J., "Social Contacts as a Possible Mechanism behind the Relation between Green Space and Health" 15 : 586-595, 2009

      14 KOSTAT(Statistics Korea),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 2015-2065" 2016

      15 Kang, S., "Planning of Elderly-Friendly Park Reflecting User Demand" Gyeomggi Research Institute 2010

      16 Kang, S., "Plan for the Development of Senior Friendly Parks in New Urban Development Sites. Research Report" Gyeomggi Research Institute 2011

      17 Besenyi, G. M., "Park Enviroments and Youth Physical Activity" Kansas state University 2003

      18 Chow, H., "Outdoor Fitness Equipment in Parks : A Qualitative Study from Older Adults’ Perceptions" 13 : 1216-1225, 2013

      19 King, D., "Neighborhood and Individual Factors in Activity in Older Adults" 16 (16): 144-170, 2008

      20 Kim, Y.,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Urban Elderly Popul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21 Wells, N. M., "Nearby Nature : A Buffer of Life Stress Among Rural Children" 35 (35): 311-330, 2003

      22 Korea Land Corporation, "Manuals on Obstacle-Free Urban and Architectural Design for New Administrative City"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07

      23 Hong, T., "Improvement Research focused on Park Facilities for an Aging Society" Cheongju University 2015

      24 Maller, C., "Healthy Nature Healthy People : ‘Contact with Nature’ as an Upstream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 for Populations" 21 (21): 45-54, 2006

      25 Kim, D., "Exploration of Perceived Environment for Physical Activity of Older Adult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6

      26 Van Cauwenberg,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Older Adults’ Walking for Transportation" 9 (9): 85-, 2012

      27 Park, H., "Effect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on Elderly’s Walking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4

      28 Kwon, J., "Design Proposal for the Aging-Friendly Park in Super-Aged Society"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1

      2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OHW), "Daegu Survey of Senior Citizens in 2017" 2017

      30 Kang, H., "Comparing Standard Setting Methods for a Likert Scale Test" Seoul Women's University 2015

      31 Lee, S.,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s Urban Park Usage" 23 (23): 143-146, 2003

      32 Cho, M., "Basic Study on the Outdoor Environment Preferred by Urban Elderly" 35-40, 2009

      33 Chea, S., "Basic Research for Planning and Activation of Senior Park" Korea University 2014

      34 Sugiyama, T., "Associations between Neighborhood Open Space Attributes and Quality of Life for Older People in Britain" 41 (41): 3-21, 2009

      35 Kaczynski, A. T., "Association of Park Size, Distance, and Geatures with Physical Activity in Neighborhood Parks" 98 (98): 1451-1456, 2008

      36 Paquet, C., "Are Accessi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Open Spaces associated with a Better Cardiometabolic Health?" 118 : 70-78, 2013

      37 Lee, G., "Architecture for the Elderly" Sejin Publishing Co 2003

      38 Lee, K., "Analysis of the Park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or Senior-Friendly Park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8

      39 Hong, G.,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s and Case Evaluations of Outdoor Space in Senior Housings" Pai Chai University 2008

      40 Wang, 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and User Satisfaction in Urban Parks" Kyunghee University 2017

      41 Kim, M., "A Study on Senior Citizens' Park Usage Patterns and Revitalizing Plans for their Leisure Cul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ournal of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 휴양및경관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3-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휴양및경관연구 -> Journal of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논문집 -> 휴양및경관연구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4 0.407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