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운동을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신체협응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대상자는 의료검사를 통해 발달장애로 진단 받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598301
2016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43-62(20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운동을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신체협응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대상자는 의료검사를 통해 발달장애로 진단 받은 ...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운동을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신체협응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대상자는 의료검사를 통해 발달장애로 진단 받은 아동이며, 대상아동은 K시에 있는 H, K대학교 장애인체육교실과 D아동발달센터 이용자 중에서 참여를 원하는 만 10에서 14세의 발달장애 아동 30명(남자: 26명, 여자: 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심리운동을 활용한 신체프로그램의 효과를 추론하기 위해 집단(실험집단, 통제집단)과 시기(사전단계, 사후단계, 파지단계)를 반복 측정하는 이원분산분석(Two 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이, 측정시기에 따른 차이, 집단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면 단순주효과 분석을 실시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했다. 종속변인은 KTK의 구성요인인 운동기능 지수(MQ1, MQ2, MQ3, MQ4, TMQ)이다. 본 연구결과 실험집단은 MQ1, MQ2, MQ3, MQ4, TMQ의 사전보다 사후 점수가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주 후에 실시한 파지검사 때 사후검사 만큼은 아니지만 MQ1, MQ2, MQ3, MQ4, TMQ 모두에서 점수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심리운동을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신체협응력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using psychomotor program on the coordin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ged 10 to 14. Thirt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using psychomotor program on the coordin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ged 10 to 14. Thirt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 into two group: (1) physical activity group (n=15, 13 male, 2 female) (2) control group (n=15, 13 male, 2 female). Data was analyzed using two-way ANOVAs with repeated measures of group (2) and time (3). Dependent variables were rear balancing (MQ1), single foot jumping (MQ2), left and right jumping (MQ3), lateral movement (MQ4), and TMQ.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hysical activity group using psychomotor program showed improvement in the scores of KTK (MQ1, MQ2, MQ3, MQ4, and TMQ) compared to control group. In addition, physical activity group using psychomotor program sustained the scores of KTK (MQ1, MQ2, MQ3, MQ4, and TMQ) in the retention after two weeks compared to control group. It was found that the physical activity using psychomotor program has shown positive effect on the coordin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연태, "페달로 트레이닝이 아동의 운동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협응력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543-550, 2005
2 이지윤,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동작모방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 장혜경, "통합적 동작활동이 정신지체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1
4 최영희, "집단놀이학습 program이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京畿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5 심재혁, "줄넘기 운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협응력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08
6 이현민, "정신지체아의 신체조정력 향상도에 관한 연구 : B. C. T(Body Coordination Test)를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7 유성종,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9
8 김영매, "정신지체 부모들의 방과후 특수체육활동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9 김의수, "장애아동 체육교실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무지개사 2003
10 박주병, "윤동기구 이용 신체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협응력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 서연태, "페달로 트레이닝이 아동의 운동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협응력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543-550, 2005
2 이지윤,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동작모방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 장혜경, "통합적 동작활동이 정신지체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1
4 최영희, "집단놀이학습 program이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京畿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5 심재혁, "줄넘기 운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협응력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08
6 이현민, "정신지체아의 신체조정력 향상도에 관한 연구 : B. C. T(Body Coordination Test)를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7 유성종,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9
8 김영매, "정신지체 부모들의 방과후 특수체육활동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9 김의수, "장애아동 체육교실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무지개사 2003
10 박주병, "윤동기구 이용 신체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협응력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1 김현지, "유아를 위한 체육활동 이론과 실제" 양서원 1999
12 박정숙, "유리드믹스에 기반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운동 및 운동지각 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193-212, 2014
13 홍양자, "움직임교육이 자폐아동의 협응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체육학회 10 (10): 81-88, 2002
14 김선진, "운동학습과 제어" 대한미디어 2000
15 이숙정, "아동과 청소년의 공격적 문제행동에 대한 심리운동 지원 방안" 2006
16 서연태, "심리운동을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아동의 협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1 (21): 1393-1403, 2012
17 송호준, "심리운동을 통한 운동협응성 중재가 발달협응성장애를 보이는 지적장애 아동의 협응성 및 적응행동 향상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23-50, 2013
18 정연수, "심리운동 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운동능력 및 신체지각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19 서연태, "신체활동이 아동의 신체협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219-226, 2005
20 홍지원, "신체활동 중심 교육이 유아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淑明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21 정민우, "수중운동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22 배성언, "수중운동을 통한 신체활동이 발달장애 아동의 협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7
23 정지열, "볼 트래핑 훈련이 조정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4 서연태, "발달적 측면에서 체육수업 활동이 유아들의 협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1 (1): 17-32, 2000
25 김은정, "발달장애아의 신체활동이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7
26 박화문, "발달장애아의 감각-운동 지도 프로그램" 국립특수교육원 1995
27 이종익, "무도수련을 통한 신체활동이 학령기 아동의 신체협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6
28 김현정, "리듬합주가 경도정신지체 아동의 사회정서행동, 인지능력 및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9 전혜자, "대근육운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신체 협응성에 미치는 영향" 5 : 205-214, 1996
30 이원자, "놀이가 유아의 운동능력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祥明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31 홍양자, "감각통합훈련이 교육가능 정신지체아동의 협응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11 (11): 149-155, 2003
32 Gallahue, D. L., "Understanding Motor Development" Wm. C. Browm Communication, Inc 2005
33 Rintala, P., "The effects of a psychomotor training programme on motor skill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17 (17): 721-737, 1998
34 Park, W. H., "The effect of psycho-motor play on motor and body perception competence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41 (41): 13-18, 2011
35 Jansma, P., "Special physical education: Physical activity, sports, and recreation" Prentice Hall 1994
36 Gallahue, D. L., "Motor development" 12 : 253-269, 1995
37 Lucká, Z. F., "Evaluation of Programmes in Psychomotor Therapy" 1 (1): 158-166, 2016
38 Kim, I. M., "Effect of Psychomotor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the Coordin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8 (8): 523-534, 2013
39 Doll-Tepper, G., "Children with special needs–motodiagnostic test procedures and Kiphard’s mototherapeutic approach" 6 : 170-175, 1989
40 Giagazoglou, P., "Can balance trampoline training promote motor coordination and balance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36 : 13-19, 2015
41 Hünnekens, H., "Bewegungsdiagnostikbei kindern" Flöttmann Verlag 1978
경도 정서·행동발달장애 학대아동 가족상담 사례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발달장애인 권리 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한 장애학생 부모의 수용태도 및 인식 분석
예비특수교사의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1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발달장애학회지 -> 발달장애연구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0.8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 | 0.98 | 1.174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