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복지 제도정착에 관한 실천가 인식 = The practitioners` perceptions on settlement of cultural welfare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352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based on politic reality which is being developed within the ambiguity of cultural welfare, and discussed what sort of awareness the practitioners show in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cultural welfare policy in depth. 4 elements were discovered in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cultural welfare policy which the practitioners are aware of. The elements are value(pursuit of comprehensive mankind), element of practice(process of operation), elements of external influences(process of policy settlement), and elements of internal influences(reinforcement of practitioners capability). This means that not only the process of policy settlement in a narrow sense, but also value, practice, and reinforcement of practitioners` capability for the provision of better servic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settlement of the policy. This study which analyzed the cultural welfare practitioners` awareness of policy settlement process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the basic data for future settlement of the cultural welfare policy.
      번역하기

      This study was based on politic reality which is being developed within the ambiguity of cultural welfare, and discussed what sort of awareness the practitioners show in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cultural welfare policy in depth. 4 elements were d...

      This study was based on politic reality which is being developed within the ambiguity of cultural welfare, and discussed what sort of awareness the practitioners show in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cultural welfare policy in depth. 4 elements were discovered in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cultural welfare policy which the practitioners are aware of. The elements are value(pursuit of comprehensive mankind), element of practice(process of operation), elements of external influences(process of policy settlement), and elements of internal influences(reinforcement of practitioners capability). This means that not only the process of policy settlement in a narrow sense, but also value, practice, and reinforcement of practitioners` capability for the provision of better servic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settlement of the policy. This study which analyzed the cultural welfare practitioners` awareness of policy settlement process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the basic data for future settlement of the cultural welfare polic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임, "청소년 여가 활동의 실태에 관한 연구 : 충청북도 농촌지역 중학생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1

      2 임원선, "지역사회네트웤을 통한 문화복지프로그램의 성장발달에 관한 사례연구" 2006

      3 문화체육관광부, "지방이양 문화산업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2007

      4 정갑영, "우리나라 문화복지정책의 의미와 전망. 문화복지 10년, 그 성찰과 전망" 한국문화복지협의회 2006

      5 우혜린, "소외지역 문화복지를 위한 공공미술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8

      6 강호진, "서울시 문화복지서비스의 주민만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3

      7 최종혁, "사회적 취약계층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문화복지 프로그램의 기능 - 문화복지실천가 대상 질적연구 -"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291-316, 2010

      8 최옥채, "사회복지실천에서 문화복지의 개념화" 303-307, 2007

      9 현택수, "사회복지사의 문화복지 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학연구소 (38) : 491-519, 2011

      10 오혜경, "미래의 국민복지정책으로서의 문화복지-문화소외계층의 문화활동 확대방안. 문화복지 10년, 그 성찰과 전망" 한국문화복지협의회 2006

      1 김정임, "청소년 여가 활동의 실태에 관한 연구 : 충청북도 농촌지역 중학생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1

      2 임원선, "지역사회네트웤을 통한 문화복지프로그램의 성장발달에 관한 사례연구" 2006

      3 문화체육관광부, "지방이양 문화산업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2007

      4 정갑영, "우리나라 문화복지정책의 의미와 전망. 문화복지 10년, 그 성찰과 전망" 한국문화복지협의회 2006

      5 우혜린, "소외지역 문화복지를 위한 공공미술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8

      6 강호진, "서울시 문화복지서비스의 주민만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3

      7 최종혁, "사회적 취약계층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문화복지 프로그램의 기능 - 문화복지실천가 대상 질적연구 -"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291-316, 2010

      8 최옥채, "사회복지실천에서 문화복지의 개념화" 303-307, 2007

      9 현택수, "사회복지사의 문화복지 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학연구소 (38) : 491-519, 2011

      10 오혜경, "미래의 국민복지정책으로서의 문화복지-문화소외계층의 문화활동 확대방안. 문화복지 10년, 그 성찰과 전망" 한국문화복지협의회 2006

      11 남상문, "문화예술정책과 복지" 도서출판 선인 176-177, 2010

      12 최현묵, "문화예술교육이 문화복지로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13 현택수, "문화복지의 법적 권리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157-173, 2008

      14 이종인, "문화복지와 지방문화, In 한국의 사회복지: 현재와 미래" 아산사회복지지사업단 1987

      15 현택수, "문화복지와 문화복지정책의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7) : 101-122, 2006

      16 김세훈, "문화복지 중기계획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17 장현섭, "문화복지 개념의 정당성과 조작적 정의" 한국문화복지학회 1996

      18 최종혁, "문화복지 개념 정립을 위한 질적 연구 - 휴먼서비스 실천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145-182, 2009

      19 이진배, "도시·농어촌 중학생의 여가 활동 참여 실태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0 김민정, "농촌지역 학생 청소년의 문화복지 실태 및 만족도와 요구분석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4 (4): 1-31, 2002

      21 金銀子, "농촌·도시 청소년의 놀이문화 비교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22 박현순, "농어촌 고교생의 여가 활동 실태 조사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3 임석기, "고등학생들의 여가활동인식·실태에 관한 비교조사 연구 : 대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비교"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4 장현선, "경기도 문화예술교육 현황조사 연구"

      25 木下康仁, "ライブ講義M-GTA(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 實踐的質的硏究法" 弘文堂 2007

      26 Denzin, N. K., "The Research Act" Aldine Publishing Co 1989

      27 Goffman, E., "Stigma : notes on the management of a spoild identity" Simon & Schuster 1963

      28 Crocker, J., "Social Stigma, In Social psychology" McGraw-Hill 504-553, 1998

      29 木下康仁, "M-GTA(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 グランデッド․セオリー․アポローチの實踐" 弘文堂 2003

      30 Link, B. G., "Conceptualizing Stigma" 27 : 363-385, 2001

      31 정갑영, "21세기 우리나라 문화복지 증진방안"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3 1.63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7 1.86 2.07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