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기반 교양교과연계 문화예술공동체 활동이대학생의 문화예술창의성역량에 미치는 영향이 정 숙**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문화예술기반 교양교과연계 문화예술공동체 활동이 대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문화예술기반 교양교과연계 문화예술공동체 활동이대학생의 문화예술창의성역량에 미치는 영향이 정 숙**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문화예술기반 교양교과연계 문화예술공동체 활동이 대학...
문화예술기반 교양교과연계 문화예술공동체 활동이대학생의 문화예술창의성역량에 미치는 영향이 정 숙**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문화예술기반 교양교과연계 문화예술공동체 활동이 대학생의 문화예술창의성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G대학교의 문화예술기반 교양교과연계 문화예술공동체 활동에 참여한 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텍스트 자료를 수집하고 빅데이터 텍스트마이닝 및 질적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문화예술기반 교양교과연계 문화예술공동체 활동의 긍정적 변화와 영향요인을 탐색하였다. 결론 및 제언: 문화예술기반 교양교과연계 문화예술공동체 활동이 자기표현, 협업능력, 소통능력, 포용력을 향상시키는 등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 문화예술공동체 활동이 미치는 영향으로 의사소통역량은 타인의 이견 간 조율점 탐색, 협업능력은 공동체 팀원의 응원과 동기부여, 자긍심은 성과발표회를 통한 목표달성 경험, 자기표현은 예술을 매개로 한 적극적인 표현활동, 창의성은 몰입과 호기심 자극, 감성능력은 공감과 지지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문화예술공동체 활동과 관련하여 제언하였다.
핵심어: 문화예술공동체, 문화예술창의성, 교양교과, 텍스트마이닝, 빅데이터
□ 접수일: 2022년 11월 16일, 수정일: 2022년 12월 4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본 연구는 광주대 교양교육원 문화예술교양특성화 비교과연구 보고서를 재구성하여 작성함.
** 광주대학교 교양교육원 연구교수(Professor, Gwangju Univ., Email: galaxyjs@hanmail.net)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ect of Culture and Arts Community ActivitiesRelated to the Liberal Arts on the Culture andArts Creative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Jeongsook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cultural and artistic commun...
The Effect of Culture and Arts Community ActivitiesRelated to the Liberal Arts on the Culture andArts Creative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Jeongsook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cultural and artistic community activities linked to culture and arts-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on the creative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8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ulture and arts community activities of G university to collect text data and analyze them using big data text mining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Positive chang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culture and arts community activities linked to culture and arts-based liberal arts subjects were identified. Positive changes were confirmed, such as improving self-expression and collaboration ability, in the culture and arts community activities.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culture and arts community activities was that communication ability was search for differences between others, collaboration ability was support and motivation, pride was achieved through performance presentation, self-expression was active expression activity through art, creativity was stimulated, and emotion was empathy and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made in relation to cultural and artistic community activities.
Key Words: Culture and Arts Community, Culture and Arts Creative Competency, Liberal Arts, Text Mining, Big Data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민석, "평생교육 관점에서 시니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와 효과에 관한연구-대구지역노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대학원 2021
2 김선형 ; 박미경 ; 천성문,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청소년의 자기표현, 자기효능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2 (12): 109-136, 2016
3 이정숙 ; 박진영,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마을활동가의 성장경험과 성장의 의미 분석" 인문사회 21 11 (11): 693-704, 2020
4 이정숙 ; 박진영 ; 김동진,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한 대학생의 문화예술향유 지속력 탐색 –문화예술향유 교양수업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1 (11): 1821-1834, 2020
5 정유경, "집단미술프로그램이 자기표현과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2008
6 신종호, "주요국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창의성 교육 사례" 한국교육개발원 2015
7 류은정, "조직구성원의 감성역량과 조직학습, 조직유효성, 조직충성 간의 관계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5
8 국제미래학회,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미래교육 보고서" 광문각 2017
9 김한솔 ; 장여옥, "자율동아리활동 참여특성에 따른 청소년활동 핵심역량 차이분석" 한국청소년활동학회 5 (5): 5-22, 2019
10 빅터 로웬펠드(Lowenfeld, V.), "인간을 위한 미술교육: 어린이와 청소년을 중심으로" 미진사 1993
1 박민석, "평생교육 관점에서 시니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와 효과에 관한연구-대구지역노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대학원 2021
2 김선형 ; 박미경 ; 천성문,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청소년의 자기표현, 자기효능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2 (12): 109-136, 2016
3 이정숙 ; 박진영,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마을활동가의 성장경험과 성장의 의미 분석" 인문사회 21 11 (11): 693-704, 2020
4 이정숙 ; 박진영 ; 김동진,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한 대학생의 문화예술향유 지속력 탐색 –문화예술향유 교양수업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1 (11): 1821-1834, 2020
5 정유경, "집단미술프로그램이 자기표현과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2008
6 신종호, "주요국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창의성 교육 사례" 한국교육개발원 2015
7 류은정, "조직구성원의 감성역량과 조직학습, 조직유효성, 조직충성 간의 관계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5
8 국제미래학회,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미래교육 보고서" 광문각 2017
9 김한솔 ; 장여옥, "자율동아리활동 참여특성에 따른 청소년활동 핵심역량 차이분석" 한국청소년활동학회 5 (5): 5-22, 2019
10 빅터 로웬펠드(Lowenfeld, V.), "인간을 위한 미술교육: 어린이와 청소년을 중심으로" 미진사 1993
11 로날드 아들러(Ronald B. Adler), "인간관계와 자기표현" 중앙적성출판사 2015
12 홍판서 ; 조준희, "윤리적 리더십이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조절효과"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2 (22): 19-35, 2019
13 홍애령 ; 임수진, "예비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현황 분석 및 문화예술교육사 직무역량의 개념화" 한국무용과학회 37 (37): 59-72, 2020
14 송미숙 ; 김경은, "역사적 관점에서 바라 본 세계의 문화예술교육 -‘제2차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와 무용교육의 방향-" 한국무용사학회 (13) : 1-28, 2012
15 지희숙, "성인학습동아리 활동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방송대 학습동아리 사례를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8 (8): 233-255, 2012
16 박선우 ; 한혜원, "생활무용 교육유형이 재미요인과 지속적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 33 (33): 11-22, 2016
17 이재경, "상상력 학습에 기반한 시각적 문해력 함양 연구 : 대학교양 미술수업 사례를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18 한민서, "사진교육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도덕적 상상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대학원 2017
19 강상희, "미적 경험을 기반으로 한 음악 교육의 창의성 신장 가능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325-343, 2013
20 박진영 ; 김유정 ; 이정숙 ; 김명희, "문화예술창작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창의적 표현의 의미와 영향요인" 한국예술교육학회 18 (18): 57-78, 2020
21 권희원 ; 변정은,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일상의 변화와 교육적 의미 탐구- <문화예술교육론>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교육학회 13 (13): 21-48, 2018
22 박진영, "문화예술교육을 적용한 교양과목이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인문사회 21 10 (10): 267-302, 2019
23 강병직, "문화예술 기반 학교 창의성 지수 개발 연구 - 초등학교급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45 : 147-170, 2016
24 노승환, "문학, 음악, 연극중심의 중학교 문화예술교육 통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평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25 권선영, "무용은 어떻게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가? : 무용의 문화예술교육적 가치 실현을 위한 무용향유체험의 질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26 임현진, "대학생의 창의,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7 윤정희, "대학생 핵심역량 및 창의적 인성의 진단과 상호관계 분석"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6
28 박진영 ; 이정숙, "대학생 대상 문화예술창의성 도구 개발 연구" 인문사회 21 12 (12): 1135-1148, 2021
29 OECD,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30 류태호, "4차 산업혁명 교육이 희망이다"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8
노동조합 관련 인식이 복지국가 지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온라인 여행 폴랫폼이 사용자의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기제에 관한 연구
모래놀이치료에서 나타난 뇌성마비 아동의 비언어적 의사소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