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문학에서 신화는 전설, 민담과 함께 설화 문학의 한 영역으로 전승자들이 신성시하는 이야기이다. 특히 <동명왕 신화>는 우리 민족에게 전해오는 대표적인 고구려의 건국 신화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144944
인천 : 仁川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학위논문(석사) --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2003. 2
2003
한국어
376.54813 판사항(4)
인천
v, 68p. : 삽도 ; 27cm
참고문헌: p. 63-6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고전 문학에서 신화는 전설, 민담과 함께 설화 문학의 한 영역으로 전승자들이 신성시하는 이야기이다. 특히 <동명왕 신화>는 우리 민족에게 전해오는 대표적인 고구려의 건국 신화로 ...
고전 문학에서 신화는 전설, 민담과 함께 설화 문학의 한 영역으로 전승자들이 신성시하는 이야기이다. 특히 <동명왕 신화>는 우리 민족에게 전해오는 대표적인 고구려의 건국 신화로 연구할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는 최고의 신화이다. 그 동안 <동명왕 신화>는 문학적인 면과 역사적인 면에서 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구비문학의 한 갈래로 보고 문학적인 면에서의 <동명왕 신화> 교육의 필요성 및 교수-학습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동명왕 신화>는 제 1차에서 제 6차 교육과정 동안에 한번도 중학교 교과서에 실린 적이 없었지만, 제 7차 교육과정으로 바뀌고 중학교 교육과정에 최초로 수용되었다. 따라서 필자는 신화교육의 필요성과 시급함을 인식하고 <동명왕 신화>를 연구과제로 선정하였다.
Ⅱ장에서 <동명왕 신화>의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우선 <동명왕 신화>의 수록자료의 고찰을 통해서 문헌들 간의 이본을 비교 분석하고, 그 구조를 살펴보았다. <동명왕 신화>는 우리 나라의 문헌뿐만 아니라 중국의 문헌에도 전해져 오는데, 본 연구에서는 『삼국사기(三國史記)』를 비롯하여 『삼국유사(三國遺事)』, 「동명왕편(東明王篇)』, 『제왕운기(帝王韻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해동역사(海東歷史)』 등 우리 나라 문헌을 그 대상으로 했다. 그 결과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기록이 거의 유사하고, 『세종실록지리지』와 『동명왕편』의 기록이 제일 상세하고, 『제왕운기』와 『해동역사』기록은 아주 간결하였다. 그리고 문헌을 중심으로 <동명왕 신화>의 두 가지 구조를 살펴보았는데, 주인공인 주몽과 해모수가 천상계와 지상계를 번갈아 가며 순환하는 '순환구조'와 주몽의 일생을 통해서 보면 행운과 고난이 반복, 교체되는 '순환구조'였으며, 또 하나는 많은 영웅 소설에 영향을 주었던 영웅 소설이 지닌 '영웅의 일생'의 구조였다.
<동명왕 신화>는 우리 나라의 제1차 교육과정에서 제6차 교육과정 동안에 초등과정 1회와 고등 과정 4회, 그래서 총5회가 교과서에 수록되었다. 그러나 중학교 교육과정에는 한 번도 실리지 않았다. 그래서 필자는 중학교 교육에서의 신화교육 부재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7차 교육과정에 실린 <동명왕 신화>의 내용이 『삼국유사(三國遺事)』를 원전으로 하고 있었음을 파악했다. 그리고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지도상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는데, 특히 시간 배당이 부족하여 교사나 학습자 모두에게 큰 부담을 주었다.
Ⅲ장에서는 <동명왕 신화>의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했다. 필자는 <동명왕 신화>를 문학으로 보았기 때문에, 먼저 구성주의에 입각한 학습자 중심의 문학 교육의 특성과 이를 토대로 6단계로 구성된 교수-학습의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 의미지도, 문학 맵, 인물 망, 일지, 플롯 조직표 등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즐겁고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수업 방안을 모색했다. 또한 평가 영역과 초점을 제시하고, 모둠별 평가지를 통해 수업 목표의 달성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했다. 무엇보다도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은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수업 참여와 적극적인 의미 구성,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줌으로써 학습자들의 수업 태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중학교 교육 과정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신화 교육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역점을 두었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연구과정을 통해서 얻은 것들이 앞으로 있을 본격적인 중학교의 국어과 신화 교육에 활용될 수 있었으면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ythology with legends and ballade is classified into the field of narrative literature in classical literature, and is tales that transmitters take as sacred. Especially the King Dong-myeung myth is the story related to the foundation of Kogurea, whi...
Mythology with legends and ballade is classified into the field of narrative literature in classical literature, and is tales that transmitters take as sacred. Especially the King Dong-myeung myth is the story related to the foundation of Kogurea, which is handed down in Korea. Therefore the story of King Dong-myeung is regarded as one of the greatest mythology that is worth to study. So this study deals with relations between mythology and education and also deals with the necessity of teaching the King Dong-myeung story and teaching methods. As mythology is a part of oral tradition literature, it needs researches on both historical and literary respects. However this study inquired the education of this myth on the literary point of view.
First of all, this study have investigated recorded the data of King Dong-myeung tale and its contents and also have considered its structures and meanings of it by detail investigation on its text. Of course, the story of King Dong-myeung was found in not only Korean but also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And this study investigated its contents and differences of its texts which had been in six volumes such as "Samgukyusa", "Samguksagi", "Sejongsilikjiliji", "Dongmyeungwangpeon", "Jewangungi", and "Donggukyeojiseng-ram". And this study investigated two kinds of its plot centering around its content. One has the plot of rotation in which the hero experiences fortunes and troubles. And the other has the heroic plot which had given so much effects on other heroic tales.
Story of King Dong-myeung has already been taugh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it has never been in the curriculum of middle school. But in the seventh education curriculum, the myth of King Dong-myeung has appeared at last. So this study points out problems of absence of mythology education in middle school so far, and investigated the content of King Dong-myeung myth written down in 'the seventh education curriculum', centering around 'teaching plan'. Of course, the story in middle school textbook is adapted from 'Samgukyusa'. And this study thanks to a device of improvement for the 'teaching pla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eaching plan', this study presented a guide for the teaching method for King Dong-myeung myth. In order to improve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King Dong-myeung myth, learner centered activities can play an important role. And there also can be semantic mapping, literary mapping, character web, journal, plot structure table and so on to actualize the learner centered learning. So this study considered semantic mapping, literary mapping, character web, plot structure table, and journal. And range and focus of evaluation are presented in this study and besides, by presenting test sheet for group learning one can evaluate the degree of learning objective achievement. Learner-centered tasks lead students to foster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and giv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learning attitude.
This study exhibited a straight direction for the mythology education that hasn't been dealt with in middle school curriculum until now. So I hope that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 little help in mythology education in middle school.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