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1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현재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교과과정별 고등학교 교과서의 국악 감상과 이해, 그리고 기악 영역을 분석함으로써 국악교육의 역사를 재조명하여 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현재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교과과정별 고등학교 교과서의 국악 감상과 이해, 그리고 기악 영역을 분석함으로써 국악교육의 역사를 재조명하여 우...
본 연구의 목적은 1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현재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교과과정별 고등학교 교과서의 국악 감상과 이해, 그리고 기악 영역을 분석함으로써 국악교육의 역사를 재조명하여 우리나라 교과서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국악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1차 교육과정에서는 하나의 교과서를 2,3차에서는 두 개의 교과서를, 나머지 교육과정에서는 각 3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였다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는 1차에서 2007개정 교육과정까지 가창, 기악, 창작, 감상, 이해 등 각 영역에서 국악을 다룰 것을 명시하고 있고, 지도 유의 사항에서 다시 국악을 될 수 있으면 많이 다룰 것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국악 이해영역에서는 국악사를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국악기, 분류, 음계, 장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악영역의 악기 교육은 점점 자세히 소개하고 연습곡도 많아지고 있다. 그리고 풍물놀이 등 이론으로 하던 것들도 이론위주의 소개에서 벗어나 직접 연주하는 활동으로 가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허 강, "한국의 검인정 교과서" 일진사 2004
2 이종국, "한국 교과서상" 일진사 2004
3 이종국, "한국 교과서 출판 변천연구" 일진사 2001
4 권덕원, "학교 음악 교육: 50년의 회고와 전망" 한국음악교육학회 27 (27): 27-63, 2004
5 현경실,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국악 내용 변천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1 (11): 93-112, 2013
6 김향미,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국악내용 분석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2003
7 허지연,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감상영역의 비교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2008
8 현경실,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국악 가창곡의 변천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2 (12): 35-49, 2014
9 문미정,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의 국악 내용 변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2010
10 교육부, "7차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1997.12.30.) 고등학교 교육과정"
1 허 강, "한국의 검인정 교과서" 일진사 2004
2 이종국, "한국 교과서상" 일진사 2004
3 이종국, "한국 교과서 출판 변천연구" 일진사 2001
4 권덕원, "학교 음악 교육: 50년의 회고와 전망" 한국음악교육학회 27 (27): 27-63, 2004
5 현경실,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국악 내용 변천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1 (11): 93-112, 2013
6 김향미,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국악내용 분석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2003
7 허지연,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감상영역의 비교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2008
8 현경실,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국악 가창곡의 변천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2 (12): 35-49, 2014
9 문미정,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의 국악 내용 변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2010
10 교육부, "7차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1997.12.30.) 고등학교 교육과정"
11 교육부, "6차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2-19호 (1992.10.30.) 고등학교 교육과정"
12 문교부, "5차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88-7호 (1988. 3. 31). 고등학교 교육과정"
13 문교부, "4차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442호 (1981. 12. 31). 고등학교 교육과정"
14 문교부, "3차 교육과정. 문교부령 제350호 (1974. 12. 31) 인문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15 문교부, "2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16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12]. (2011.8.9.)음악과 교육과정"
17 교육인적자원부, "2007 개정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12]. (2007.2.28.)음악과 교육과정"
18 "1차 교육과정. 문교부령 제 46호 별책 (단기 4288년(서기 1955년) 8월 1일 제정). 고등학교 및 사범학교 교과과정"
타일러(Tyler)의 교육과정 조직 원리에 근거한 초, 중등 학교급간 음악과 교육과정 연계성 고찰
평가 도구에 따른 창작 결과 비교 – CAT, MCTM, 칸토메트릭스를 중심으로 -
음악하기(Musicing)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보처리기능 및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 중·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 반영된 중국음악에 대한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8-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7-09-0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Music Educators Society -> 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8 | 0.88 | 0.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3 | 0.93 | 1.008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