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만족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Views regarding the Job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Public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114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ublic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o guide ways to improve direction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or the purpos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10 public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Daejeon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data recording, transcription and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ne of qualitative analysis were used. Seven themes emerg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1) human relationships, (2) own job, (3) working environments, (4) reward systems, (5) professional development, (6) teaching consultation, (7) acknowledgement for social status. Public school kindergart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expressed job satisfaction with certain parts of their job, bu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job overall. Things that could help to further develop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job satisfaction are the followings: training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orkload reduction, objective and rational assessment of a compensation systems, expansion of professional training, expansion of self-supervision, teaching consultations from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ublic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o guide ways to improve direction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or the purpos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10 public 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ublic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o guide ways to improve direction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or the purpos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10 public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Daejeon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data recording, transcription and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ne of qualitative analysis were used. Seven themes emerg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1) human relationships, (2) own job, (3) working environments, (4) reward systems, (5) professional development, (6) teaching consultation, (7) acknowledgement for social status. Public school kindergart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expressed job satisfaction with certain parts of their job, bu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job overall. Things that could help to further develop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job satisfaction are the followings: training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orkload reduction, objective and rational assessment of a compensation systems, expansion of professional training, expansion of self-supervision, teaching consultations from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만족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찾아 유아특수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하여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공립유치원 특수교사 10명이 참여하였고 개별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녹음자료를 전사 한 후 질적 분석방법의 하나인 연속적 비교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의 단계에 따라서 부호화하고 유형화하는 것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7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1) 인간관계, (2) 담당직무, (3) 근무환경, (4) 보상체계, (5) 전문성 신장, (6) 장학지도, (7) 지위에 대한 인정. 공립유치원 특수교사는 특정 부분에서 만족감을 표현하기도 하였지만 전반적으로 불만족스러움을 나타내었다. 직무만족감 개선방안으로는 관리자 및 일반교사의 연수, 업무량 감소, 보상체계에서의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평가항목 마련,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기회 확대, 장학협의 시 전공자로부터의 장학지도 및 자율장학 기회 확대, 교사와 학부모간 지속적 협력관계유지 등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만족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찾아 유아특수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하여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공립유치원 특...

      이 연구의 목적은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만족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찾아 유아특수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하여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공립유치원 특수교사 10명이 참여하였고 개별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녹음자료를 전사 한 후 질적 분석방법의 하나인 연속적 비교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의 단계에 따라서 부호화하고 유형화하는 것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7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1) 인간관계, (2) 담당직무, (3) 근무환경, (4) 보상체계, (5) 전문성 신장, (6) 장학지도, (7) 지위에 대한 인정. 공립유치원 특수교사는 특정 부분에서 만족감을 표현하기도 하였지만 전반적으로 불만족스러움을 나타내었다. 직무만족감 개선방안으로는 관리자 및 일반교사의 연수, 업무량 감소, 보상체계에서의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평가항목 마련,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기회 확대, 장학협의 시 전공자로부터의 장학지도 및 자율장학 기회 확대, 교사와 학부모간 지속적 협력관계유지 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숙, "학교장의 지도성유형과 특수학급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12 (12): 113-127, 2008

      2 김효순,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6

      3 이순근,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만족도 분석"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 문준혁,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14 (14): 117-131, 2006

      5 이정복,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6 윤선순,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7 조은주, "특수교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52 (52): 237-257, 2009

      8 조경자, "통합유치원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5

      9 강금숙, "초등특수학급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윤혜경,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만족도"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5

      1 김경숙, "학교장의 지도성유형과 특수학급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12 (12): 113-127, 2008

      2 김효순,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6

      3 이순근,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만족도 분석"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 문준혁,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14 (14): 117-131, 2006

      5 이정복,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6 윤선순,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7 조은주, "특수교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52 (52): 237-257, 2009

      8 조경자, "통합유치원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5

      9 강금숙, "초등특수학급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윤혜경,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만족도"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5

      11 한경임, "지체부자유학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상관연구" 42 : 139-157, 2003

      12 김영한, "지체부자유 학교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 의욕소진과의 관계"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1-15, 2008

      13 신유근, "인간존중경영: 조직행위론적 접근" 다산출판사 2005

      14 이정희, "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8 : 115-132, 2005

      15 김미경, "유치원 특수학급교사의 직무만족"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16 김영인, "유치원 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17 조부경, "유치원 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 개념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4 (24): 81-94, 2003

      18 이소현, "유아특수교육" 학지사 2003

      19 최혜숙, "유아특수교사의 직무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0 문현화, "유아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1 최경혜, "유아특수교사의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여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2 신금희, "유아특수교사의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 분석" 여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3 정소영, "유아특수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 비교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8

      24 강미라, "유아특수교사와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251-267, 2009

      25 윤건호, "유아교육교사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비교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123-146, 2003

      26 문채련,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 14 (14): 387-399, 2005

      27 박영태,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 효능감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429-451, 2008

      28 국립특수교육원, "연간 연수운영계획" 국립특수교육원 2010

      29 이승희, "수학급교사의 직무만족도: 광주와 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149-168, 2006

      30 교육인적자원부, "교육통계연보" 교육인적자원부 2000

      31 강경석, "교사발달단계와 교사의 직무능력 및 직무만족 간의 관계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119-142, 2006

      32 이희자,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지도성유형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한국생활과학회 10 (10): 153-163, 2001

      33 강지연,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4 박현정, "공립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35 윤용준, "공․사립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36 Bogdan, R. C.,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5th ed.)" Allyn & Bacon 2006

      37 McClelland, J., "Qualitative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 workers: A review" 15 : 82-89, 1986

      38 교육과학기술부, "2010 특수교육통계" 교육과학기술부 2010

      39 교육인적자원부, "2008 개정특수학교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