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인드 맵을 이용한 이야기나누기가 지체장애학생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the story sharing activity by using mind map on writing skil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676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조기교육 서비스에 참가하고 있는 지체장애학생 3명을 대상으로 마인드 맵을 이용한 이야기나누기가 이들의 쓰기능력에 어떠한 효과를 가져...

      이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조기교육 서비스에 참가하고 있는 지체장애학생 3명을 대상으로 마인드 맵을 이용한 이야기나누기가 이들의 쓰기능력에 어떠한 효과를 가져 오는 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마인드 맵 활동을 이용한 이야기 나누기는 지체장애 학생의 쓰기에 있어 단문과 복문의 수가 증가하여 문장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둘째,마인드 맵을 이용한 이야기나누기는 대상자의 문장길이의 증진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해 마인드 맵을 이용한 이야기 나누기를 하는 동안 주제 개념 정리 및 경험, 생각, 느낌 나누기 등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뇌성마비 학생의 쓰기 능력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국어교과 지도 시 마인드맵을 이용한 쓰기지도를 지속적으로 실시한다면 지체장애 학생의 쓰기능력에서 많은 향상을 가져올 것이라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story sharing by using the mind map on writing ability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pplied the multiple baseline targeting for 3 middle school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story sharing by using the mind map on writing ability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pplied the multiple baseline targeting for 3 middle school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attend the early education program of a community welfare center for disabled people in Jeollanam-do.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haring stories by using the mind ma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nstruction of sentences in writing of physically challenged students. As the numbers of simple sentences and complex sentences of participants in the writing were increased, the scores of construction of sentences were increased. Second, the story sharing by using the mind ma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ngth of sentences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 could expect that summary of themes, sharing experiences and feeling through language interaction during activities of mind map brought positive effects on writing abilities for students with middle school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f the writing instruction by using mind map during language arts class was taught consistently, it would bring much improvement on writing skil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금주, "한국유아용 웩슬러 지능검사(K-WISC-Ⅲ)"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1

      2 김동일,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학지사 2009

      3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95

      4 김동일, "초등학생 쓰기 능력 진단과 지도를 위한 쓰기 평가와 쓰기 오류 분석" 교육연구소 3 (3): 43-62, 2002

      5 김정연, "지체장애 학생 교육" 학지사 2010

      6 권지철, "장애성인문해교과서" 미래앤 2012

      7 이병래, "이야기나누기를 통합한 쓰기 활동이 어휘의 다양성과 표현의 복잡성에 미치는 효과" 21 (21): 45-56, 2000

      8 김장수, "아이디어 생성 훈련이 문단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7

      9 김영태,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학지사 2004

      10 유은영, "소그룹 마인드 맵 중재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141-156, 2010

      1 곽금주, "한국유아용 웩슬러 지능검사(K-WISC-Ⅲ)"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1

      2 김동일,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학지사 2009

      3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95

      4 김동일, "초등학생 쓰기 능력 진단과 지도를 위한 쓰기 평가와 쓰기 오류 분석" 교육연구소 3 (3): 43-62, 2002

      5 김정연, "지체장애 학생 교육" 학지사 2010

      6 권지철, "장애성인문해교과서" 미래앤 2012

      7 이병래, "이야기나누기를 통합한 쓰기 활동이 어휘의 다양성과 표현의 복잡성에 미치는 효과" 21 (21): 45-56, 2000

      8 김장수, "아이디어 생성 훈련이 문단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7

      9 김영태,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학지사 2004

      10 유은영, "소그룹 마인드 맵 중재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141-156, 2010

      11 鄭南美, "사회적 역할놀이가 유아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에 미치는 효과"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7

      12 고진복,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한 이야기 중재가 뇌성마비 학생의 독해와 이야기 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261-289, 2010

      13 김병수, "마인드맵을 활용한 쓰기 교수방법의 수정이 중학교 지적장애학생의 문장 구사력과 글 구성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4 김병수, "마인드맵을 활용한 쓰기 교수방법의 수정이 중학교 지적장애학생의 문장 구사력과 글 구성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달장애학회 15 (15): 27-46, 2011

      15 지경민, "마인드맵을 활용한 독서 일기 지도가 지체장애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387-415, 2012

      16 이영철, "마인드맵을 통한 일기 쓰기지도가 정신지체 학생의 국어과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69-91, 2009

      17 張基赫, "마인드맵을 이용한 쓰기 방법 연구"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18 서하원, "마인드 맵을 활용한 쓰기 지도 방안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9 신장섭, "마인드 맵을 적용한 작문지도가 학습부진아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0 김미진, "마인드 맵을 이용한 독서일기 지도가 정신지체학생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8

      21 박경희, "마인드 맵을 이용한 교사의 역동적 언어지도가 정신지체아동의 어휘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22 김경화, "마인드 맵 활용을 통한 어휘력 향상이 시설거주 정신지체인의 감정표현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7

      23 조명숙, "마인드 맵 활동이 언어발달지체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5

      24 이영철, "마인드 맵 활동이 뇌성마비아동의 읽기와 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치료학회 13 (13): 89-110, 2004

      25 라명화, "마인드 맵 북" 평범사 2001

      26 진은혜, "독서일기 지도가 경도정신지체학생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9

      27 이영자, "덕성여자대학교 부속유치원 프로그램-이론적 배경 및 현장에서의 적용사례" 2004

      28 김상규, "단계별 마인드 맵 활동을 통한 일기쓰기가 학습부진아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9 최경희,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설명문 읽기 지도 방법" 한국국어교육학회 80 (80): 467-496, 2008

      30 김동일,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 학지사 2008

      31 김민수,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1995

      32 강병호, "교사의 질문 유형이 유아의 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 1998

      33 Graham, S., "Writing next: Effective strategies to improve writing of adolesc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A report to the Carnegie Corporation of New York" Alliance for Excellence in Education 2007

      34 Heller, K. W., "Writing instruction and adaptations, In Teaching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rrill/Prentice Hall 407-431, 2010

      35 Garrett, J. T., "Using speech recognition software to increase writing fluency for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26 (26): 25-41, 2011

      36 Buzan, T., "Use Your Head" BBC Books 1997

      37 Heller, K. W., "Understanding Physical, Sensory, and health Impairments" Brooks 1996

      38 Learner, N., "The idea ofa writing laboratory"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009

      39 Bigge, J. L., "Teaching individuals with physical, health, or multiple disabilities" 2001

      40 Graham, S., "Strategy instruction and the teaching og writing, In Handbook ofwriting research" Guilford 187-207, 2006

      41 Carpenter, C., "Exploring the literacy difficulties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16 (16): 131-150, 2006

      42 Blischak, D. M., "Effects of using aided AAC methods on assessment and instruction outcomes of rhyming accuracy" Purdue University 1995

      43 Udwin, O.,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s taught to cerebral palsied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Ⅰ. The acquisition of signs and symbols, and syntactic aspects of their use over time" 25 (25): 295-309, 1990

      44 Beukelman, D. 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upporting Children and adul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2005

      45 홍새미, "4세 조음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말속도와 문장길이에 따른 따라말하기 능력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