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인지와 수업만족, 학교생활적응 및 운동지속의사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education class recognition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intention to exercise adherence in elementary schoolchi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34483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 체육학과 , 2011. 2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5.369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education class recognition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intention to exercise adherence in elementary schoolchild

      • 형태사항

        ix, 118 p. : 챠트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곽형기
        초록 수록
        참고문헌 : p. 100-110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덕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mainly purposed to show the relationship among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recognition,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intention to continuance in elementary schoolchild. To achieve the purpose, research objects were fifth-grade, sixth-grade elementary schoolchild as a population who have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 and stay in Seoul in 2010 and I used simple random sampling, one of probability sampling, to do sampling. The number of samples is 800 including 100 for each grade and 757 sampl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sive unsuitable questionnaires with untruthful responses, deflective entry, etc. The statistical techniques, which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wer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by SPSS 17.0 according to research purposes. The results were deducted as follow.
      First,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physical education class recogniti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intention to continuance but some differences were found in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a elementary schoolchild‘s gender. namely,
      Second,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recognition influenced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namely, the cognitive domains and affective domain influenced on a class management, class instruction, class environment, health life, the psychomotor domain influenced on a class management, class instruction, and health life.
      Third,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recognition influenced school life adjustment. namely, the cognitive domains, affective domain, and psychomotor domain influenced on a schoolteacher adjustment, schoolfellow adjustment, learning adjustment, and regulations adjustment.
      Fourth,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recognition influenced intention to continuance. namely, the cognitive domains influenced on a intention of exercise adherence, the affective domain and psychomotor domain influenced on a intention of exercise adherence and on possibility of exercise adherence.
      Fifth,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influenced school life adjustment. namely, the class management influenced on a schoolteacher adjustment, schoolfellow adjustment, learning adjustment, and regulations adjustment, the class instruction influenced on a schoolteacher adjustment, the class environment influenced on a schoolfellow adjustment, learning adjustment, and regulations adjustment. also, the health life influenced on a learning adjustment and regulations adjustment.
      Sixth,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influenced intention to continuance. namely, the class instruction, class environment, and health life influenced on a intention of exercise adherence and on possibility of exercise adherence.
      Seventh, the followings have a casual relationship one another : physical education class recognition,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intention to continuance.
      번역하기

      This paper mainly purposed to show the relationship among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recognition,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intention to continuance in elementary schoolchild. To achieve the purpose, research ...

      This paper mainly purposed to show the relationship among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recognition,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intention to continuance in elementary schoolchild. To achieve the purpose, research objects were fifth-grade, sixth-grade elementary schoolchild as a population who have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 and stay in Seoul in 2010 and I used simple random sampling, one of probability sampling, to do sampling. The number of samples is 800 including 100 for each grade and 757 sampl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sive unsuitable questionnaires with untruthful responses, deflective entry, etc. The statistical techniques, which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wer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by SPSS 17.0 according to research purposes. The results were deducted as follow.
      First,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physical education class recogniti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intention to continuance but some differences were found in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a elementary schoolchild‘s gender. namely,
      Second,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recognition influenced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namely, the cognitive domains and affective domain influenced on a class management, class instruction, class environment, health life, the psychomotor domain influenced on a class management, class instruction, and health life.
      Third,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recognition influenced school life adjustment. namely, the cognitive domains, affective domain, and psychomotor domain influenced on a schoolteacher adjustment, schoolfellow adjustment, learning adjustment, and regulations adjustment.
      Fourth,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recognition influenced intention to continuance. namely, the cognitive domains influenced on a intention of exercise adherence, the affective domain and psychomotor domain influenced on a intention of exercise adherence and on possibility of exercise adherence.
      Fifth,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influenced school life adjustment. namely, the class management influenced on a schoolteacher adjustment, schoolfellow adjustment, learning adjustment, and regulations adjustment, the class instruction influenced on a schoolteacher adjustment, the class environment influenced on a schoolfellow adjustment, learning adjustment, and regulations adjustment. also, the health life influenced on a learning adjustment and regulations adjustment.
      Sixth,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influenced intention to continuance. namely, the class instruction, class environment, and health life influenced on a intention of exercise adherence and on possibility of exercise adherence.
      Seventh, the followings have a casual relationship one another : physical education class recognition,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intention to continu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의 체육수업 인지와 수업만족, 학교생활적응 및 운동지속의사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2010년 5월부터 10월까지 약 6개월 간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8개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목적표본추출법을 사용해 총 800부를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본 연구의 목적과 적합하지 않은 설문지 43부를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757명이었다. 통계처리는 SPSS 17.0을 이용해 연구가설에 따라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라 체육수업 인지, 학교생활적응, 운동지속의사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수업만족의 건강생활에서만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건강생활, 즉 체육수업을 통해 바른 신체와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인식이 높았으며, 지속적인 운동 참여에 대한 동기가 더 높았다. 따라서 체육수업에서 여학생에게 건강생활에 대한 교육이 보다 강조될 필요가 있다.
      둘째, 체육수업 인지와 수업만족 간의 관계는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이 모든 수업만족(수업운영, 수업지도, 수업환경, 건강생활)에 영향이 있는 관계로 나타났으며, 심동적 영역은 수업운영, 수업지도, 건강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수업만족은 운동의 신체효과 등과 같은 인지적 영역과 바람직한 운동태도와 관련된 정의적 영역과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었으며, 심동적 영역(운동기능, 지구력, 근력)은 수업만족의 수업환경을 제외하고 나머지 세 하위변인과 관계가 있었다. 수업환경과 관련해 본 연구에서는 심동적 영역과 수업환경이 상관정도는 있지만 실제 심동적 영역(운동기능, 지구력, 근력)이 수업환경(시설 및 기구, 활동공간의 확보와 안전)을 설명하는 독립변인으로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수업 인지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는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동적 영역이 모든 학교생활적응(교사적응, 교우적응, 학습적응, 규칙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은 체육수업의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 모두 주요한 관련 요인이므로 체육수업에 대한 단원계획에서 체육수업 인지의 각 영역에 대한 효과적인 실천전략이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체육수업 인지와 운동지속의사 간의 관계는 인지적 영역이 운동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정의적 영역과 심동적 영역이 운동지속의지와 운동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운동지속의사를 결정짓는 데서 인지적 영역인 긍정적인 신체효과, 안전생활, 운동규칙, 친구관계 등에 대한 이해는 운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싶다는 의지와 관계가 있는 결정요인이었으며, 체육수업을 통한 정의적 영역과 심동적 영역에 대한 학습과 향상은 운동지속의지와 운동지속가능성 모두에 효과가 있는 결정요인이었다.
      다섯째, 수업만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는 수업운영이 모든 학교생활적응(교사적응, 교우적응, 학습적응, 규칙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지도는 교사적응, 수업환경은 교우적응, 학습적응, 규칙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건강생활이 학습적응과 규칙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수업만족은 학교생활적응의 주요한 결정요인으로 특히, 학교생활 만족의 학습적응과 규칙적응이 효과적으로 설명 및 예언할 수 있는 요인이었다.
      여섯째, 수업만족과 운동지속의사 간의 관계는 수업지도, 수업환경, 건강생활이 운동지속의지와 운동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선생님의 지도방법과 관련된 수업지도, 체육수업 시설 및 도구와 활동공간의 확보 및 안전, 바른 신체와 지속적인 운동참여에 대한 기초인식은 운동을 지속하고 싶다와 운동을 계속할 가능성이 있다와 관계가 있는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수업운영은 운동지속의사를 설명 및 예언하지 않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업운영과 관계된 체육수업의 즐거움, 적극적인 참여, 건강향상 등은 실제 수업이 어떻게 운영되는 가에 따라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정도를 나타내므로 본 연구에서 통제된 수업모형을 적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사료된다.
      일곱째, 체육수업 인지와 수업만족, 학교생활적응 및 운동지속의사 간에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체육수업 인지는 수업만족을 부분매개로 학교생활적응 및 운동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학생 5학년과 6학년이 체육수업에 참여함으로써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고 지속적으로 운동에 참여시키기 위해서는 체육수업 인지를 강화시켜 학교생활적응 및 운동지속의사를 향상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보다 효과적인 학교생활적응과 운동지속은 수업만족, 특히 규칙적응과 건강생활을 학습전략의 결정요인으로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의 체육수업 인지와 수업만족, 학교생활적응 및 운동지속의사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2010년 5월부터 10월...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의 체육수업 인지와 수업만족, 학교생활적응 및 운동지속의사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2010년 5월부터 10월까지 약 6개월 간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8개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목적표본추출법을 사용해 총 800부를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본 연구의 목적과 적합하지 않은 설문지 43부를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757명이었다. 통계처리는 SPSS 17.0을 이용해 연구가설에 따라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라 체육수업 인지, 학교생활적응, 운동지속의사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수업만족의 건강생활에서만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건강생활, 즉 체육수업을 통해 바른 신체와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인식이 높았으며, 지속적인 운동 참여에 대한 동기가 더 높았다. 따라서 체육수업에서 여학생에게 건강생활에 대한 교육이 보다 강조될 필요가 있다.
      둘째, 체육수업 인지와 수업만족 간의 관계는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이 모든 수업만족(수업운영, 수업지도, 수업환경, 건강생활)에 영향이 있는 관계로 나타났으며, 심동적 영역은 수업운영, 수업지도, 건강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수업만족은 운동의 신체효과 등과 같은 인지적 영역과 바람직한 운동태도와 관련된 정의적 영역과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었으며, 심동적 영역(운동기능, 지구력, 근력)은 수업만족의 수업환경을 제외하고 나머지 세 하위변인과 관계가 있었다. 수업환경과 관련해 본 연구에서는 심동적 영역과 수업환경이 상관정도는 있지만 실제 심동적 영역(운동기능, 지구력, 근력)이 수업환경(시설 및 기구, 활동공간의 확보와 안전)을 설명하는 독립변인으로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수업 인지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는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동적 영역이 모든 학교생활적응(교사적응, 교우적응, 학습적응, 규칙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은 체육수업의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 모두 주요한 관련 요인이므로 체육수업에 대한 단원계획에서 체육수업 인지의 각 영역에 대한 효과적인 실천전략이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체육수업 인지와 운동지속의사 간의 관계는 인지적 영역이 운동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정의적 영역과 심동적 영역이 운동지속의지와 운동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운동지속의사를 결정짓는 데서 인지적 영역인 긍정적인 신체효과, 안전생활, 운동규칙, 친구관계 등에 대한 이해는 운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싶다는 의지와 관계가 있는 결정요인이었으며, 체육수업을 통한 정의적 영역과 심동적 영역에 대한 학습과 향상은 운동지속의지와 운동지속가능성 모두에 효과가 있는 결정요인이었다.
      다섯째, 수업만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는 수업운영이 모든 학교생활적응(교사적응, 교우적응, 학습적응, 규칙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지도는 교사적응, 수업환경은 교우적응, 학습적응, 규칙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건강생활이 학습적응과 규칙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수업만족은 학교생활적응의 주요한 결정요인으로 특히, 학교생활 만족의 학습적응과 규칙적응이 효과적으로 설명 및 예언할 수 있는 요인이었다.
      여섯째, 수업만족과 운동지속의사 간의 관계는 수업지도, 수업환경, 건강생활이 운동지속의지와 운동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선생님의 지도방법과 관련된 수업지도, 체육수업 시설 및 도구와 활동공간의 확보 및 안전, 바른 신체와 지속적인 운동참여에 대한 기초인식은 운동을 지속하고 싶다와 운동을 계속할 가능성이 있다와 관계가 있는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수업운영은 운동지속의사를 설명 및 예언하지 않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업운영과 관계된 체육수업의 즐거움, 적극적인 참여, 건강향상 등은 실제 수업이 어떻게 운영되는 가에 따라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정도를 나타내므로 본 연구에서 통제된 수업모형을 적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사료된다.
      일곱째, 체육수업 인지와 수업만족, 학교생활적응 및 운동지속의사 간에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체육수업 인지는 수업만족을 부분매개로 학교생활적응 및 운동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학생 5학년과 6학년이 체육수업에 참여함으로써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고 지속적으로 운동에 참여시키기 위해서는 체육수업 인지를 강화시켜 학교생활적응 및 운동지속의사를 향상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보다 효과적인 학교생활적응과 운동지속은 수업만족, 특히 규칙적응과 건강생활을 학습전략의 결정요인으로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3. 연구의 관계모형 7
      • 4. 연구의 가설 9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3. 연구의 관계모형 7
      • 4. 연구의 가설 9
      • 5. 연구의 제한점 11
      • Ⅱ. 이론적 배경 12
      • 1. 체육수업과 체육수업 인지 12
      • 2. 수업만족 21
      • 3. 학교생활적응 26
      • 4. 운동지속의사 29
      • Ⅲ. 연구방법 36
      • 1. 연구대상 36
      • 2. 조사도구 37
      • 3. 조사절차 45
      • 4. 자료처리 47
      • Ⅳ. 결과 및 논의 48
      • 1.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 인지, 수업만족, 학교생활적응, 운동지속의사의 차이 48
      • 2. 체육수업 인지가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55
      • 3. 체육수업 인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61
      • 4. 체육수업 인지가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67
      • 5. 수업만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71
      • 6. 수업만족과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77
      • 7. 체육수업 인지와 수업만족, 학교생활적응 및 운동지속의사와의 인과관계 분석 81
      • 8.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인지와 수업만족, 학교생활적응 및 운동지속의사 관계 논의 86
      • Ⅴ. 결론 및 제언 94
      • 1. 결론 94
      • 2. 제언 99
      • 참고문헌 100
      • 부 록 111
      • ABSTRACT 1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