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장애인들의 스포츠 가치관이 사회 자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n the Social Capital through Sports Valu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the Sports Activ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11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장애인들의 스포츠 가치관이 사회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 부산, 경남 지역에 거주하고,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총 195명의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배경변인별 스포츠 가치관과 사회 자본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들의 스포츠 가치관이 사회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성별에 있어서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남자들이 여자들보다 스포츠 가치관의 하위영역인 사교적 가치관, 오락적 가치관, 종교적 가치관, 품성적 가치관 그리고 지적 가치관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령별에 있어서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20대는 스포츠 가치관 하위영역인 종교적 가치관이 가장높게 나타났고, 30대는 사교적 가치관, 품성적 가치관, 그리고 지적 가치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40대는 사교적 가치관과 오락적 가치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운동경력에 있어서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1년-5년의 운동경력자는 스포츠 가치관 하위영역인 종교적 가치관과 품성적 가치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년 이상의 운동경력자는 사교적 가치관, 오락적 가치관, 그리고 지적 가치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운동시간에 있어서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3시간 이상 운동 참가자는 스포츠 가치관의 하위영역인 사교적 가치관, 오락적 가치관, 품성적 가치관과 지적 가치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시간-2시간 운동 참가자는 종교적 가치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운동빈도에 있어서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주 3회 이상 참가자는 스포츠 가치관의 하위영역인 사교적 가치관, 오락적 가치관, 품성적 가치관과 지적 가치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 1회-2회 참가자에서는 종교적 가치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스포츠 가치관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스포츠 가치관은 사회자본의 하위영역인 규범(호혜성)과 신뢰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장애인들의 스포츠 가치관이 사회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 부산, 경남 지역에 거주하고, 스...

      본 연구는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장애인들의 스포츠 가치관이 사회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 부산, 경남 지역에 거주하고,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총 195명의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배경변인별 스포츠 가치관과 사회 자본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들의 스포츠 가치관이 사회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성별에 있어서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남자들이 여자들보다 스포츠 가치관의 하위영역인 사교적 가치관, 오락적 가치관, 종교적 가치관, 품성적 가치관 그리고 지적 가치관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령별에 있어서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20대는 스포츠 가치관 하위영역인 종교적 가치관이 가장높게 나타났고, 30대는 사교적 가치관, 품성적 가치관, 그리고 지적 가치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40대는 사교적 가치관과 오락적 가치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운동경력에 있어서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1년-5년의 운동경력자는 스포츠 가치관 하위영역인 종교적 가치관과 품성적 가치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년 이상의 운동경력자는 사교적 가치관, 오락적 가치관, 그리고 지적 가치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운동시간에 있어서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3시간 이상 운동 참가자는 스포츠 가치관의 하위영역인 사교적 가치관, 오락적 가치관, 품성적 가치관과 지적 가치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시간-2시간 운동 참가자는 종교적 가치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운동빈도에 있어서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주 3회 이상 참가자는 스포츠 가치관의 하위영역인 사교적 가치관, 오락적 가치관, 품성적 가치관과 지적 가치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 1회-2회 참가자에서는 종교적 가치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스포츠 가치관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스포츠 가치관은 사회자본의 하위영역인 규범(호혜성)과 신뢰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social capital through sports valu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the sports activities. For the completion of this study, 195 people with disabilities from Daegu City, Busan City, and Gyeongnam ha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subjects. Questionnaires for the sport values and the social capital have been used.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male participants were higher in social value, entertainment value, religion value, character value, and intellect value. Second, the 20s was the highest in religion value whereas 30s was the highest in social value, entertainment value, character value and intellect value than other groups. Third, participants from 1 year experience to 5 years experiences were the highest in religion value and character value whereas participants over 10 years were the highest in social value, entertainment value and intellect value. Fourth, participants playing the sports more than 3 hours were the highest in social value, entertainment value, character value, and intellect value whereas participants playing the sports for 1 hour to 2 hours were the highest in religion value. Fifth, participants playing the sports more than 3 days a week were the highest in social value, entertainment value, character value, and intellect value whereas participants playing the sports for 1 day to 2 days were the highest in religion value. Finally, sports values positively had an influence on the social capital in norm(reciprocity) and trus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social capital through sports valu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the sports activities. For the completion of this study, 195 people with disabilities from Daegu City, B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social capital through sports valu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the sports activities. For the completion of this study, 195 people with disabilities from Daegu City, Busan City, and Gyeongnam ha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subjects. Questionnaires for the sport values and the social capital have been used.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male participants were higher in social value, entertainment value, religion value, character value, and intellect value. Second, the 20s was the highest in religion value whereas 30s was the highest in social value, entertainment value, character value and intellect value than other groups. Third, participants from 1 year experience to 5 years experiences were the highest in religion value and character value whereas participants over 10 years were the highest in social value, entertainment value and intellect value. Fourth, participants playing the sports more than 3 hours were the highest in social value, entertainment value, character value, and intellect value whereas participants playing the sports for 1 hour to 2 hours were the highest in religion value. Fifth, participants playing the sports more than 3 days a week were the highest in social value, entertainment value, character value, and intellect value whereas participants playing the sports for 1 day to 2 days were the highest in religion value. Finally, sports values positively had an influence on the social capital in norm(reciprocity) and trus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국진, "학교 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아동의 학교 공동체의식과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2002

      2 한국장애인복지체육회, "특수체육총론" 태근문화사 1994

      3 박병도, "특수체육 전공 대학생들의 스포츠 가치관이 교직선택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21 (21): 27-39, 2013

      4 권민혁, "청소년의 체육 성적과 사회 자본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2 (22): 21-34, 2009

      5 김영덕, "지체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체육활동 참여정도, 삶의 질의 예측 모형 검증" 한국특수체육학회 18 (18): 95-110, 2010

      6 강효민, "지역사회에서 스포츠클럽 활동과 사회적 자본 형성"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1 (21): 845-863, 2008

      7 김은정, "중등학교 교사의 체육활동이 스포츠 가치관 및 학생건강지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최석환, "중년세대의 여가인식과 스포츠가치관이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9 김홍설, "중·고등학생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스포츠 가치관에 미치는영향" 37 (37): 85-94, 1998

      10 노형규,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8

      1 양국진, "학교 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아동의 학교 공동체의식과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2002

      2 한국장애인복지체육회, "특수체육총론" 태근문화사 1994

      3 박병도, "특수체육 전공 대학생들의 스포츠 가치관이 교직선택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21 (21): 27-39, 2013

      4 권민혁, "청소년의 체육 성적과 사회 자본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2 (22): 21-34, 2009

      5 김영덕, "지체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체육활동 참여정도, 삶의 질의 예측 모형 검증" 한국특수체육학회 18 (18): 95-110, 2010

      6 강효민, "지역사회에서 스포츠클럽 활동과 사회적 자본 형성"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1 (21): 845-863, 2008

      7 김은정, "중등학교 교사의 체육활동이 스포츠 가치관 및 학생건강지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최석환, "중년세대의 여가인식과 스포츠가치관이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9 김홍설, "중·고등학생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스포츠 가치관에 미치는영향" 37 (37): 85-94, 1998

      10 노형규,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8

      11 김윤승, "장애인의 사회적 자본이 취업 및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2 (22): 55-86, 2012

      12 윤석민, "장애인운동선수의 인권확립과 복지향상 방안" 한국특수체육학회 23 (23): 1-12, 2015

      13 오광진, "신체활동이 지체장애인의 스포츠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3 (43): 719-732, 2004

      14 김상겸, "스포츠권의 헌법적 보장" 57-82, 2000

      15 심규문, "스포츠가치관과 스포츠미디어 수용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6 홍영란, "사회적 자본과 사회통합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방향." 4 (4): 28-47, 2002

      17 최승권, "복지사회에 있어서 장애인의 삶의 질복지사회와 사회체육의 역할"

      18 박원배, "배드민턴 동호인의 사회적 지원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9 이상헌, "무엇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3 (3): 4-11, 2005

      20 이지은, "대학생의 스포츠 가치관이 운동정서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1 전태준, "대학 스포츠동아리 참가자의 여가인식과 스포츠태도 및 스포츠사회화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0 (50): 93-105, 2011

      22 박양래, "고등학생의 스포츠 수용태도와 스포츠 가치관의 관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3 이용선,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의 사회적 자본이 운동선수만족 및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1 (51): 93-109, 2012

      24 이상길, "가치관 정립을 위한 교육의 과제" 2 : 115-, 1988

      25 Lipsky, R., "Toward a political theory of American sports symbolism" 21 : 345-360, 1978

      26 Everett, E. H., "On the theory of social change: How economic growth begins" Dorsey Press 1962

      27 Bourdieu, P.,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Greenwood 241-258, 1986

      28 Jarvie, G., "Communitarianism, sport and social capital: Neighbourly insights into Scottish sport" 38 : 139-153, 2003

      29 Cratty, B. J., "Children and youth in competitive sport: Guidelines for teachers and parents" Educational Activities Inc 1974

      30 보건복지부, "2011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2-0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8 1.31 1.18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