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인규, "학업성취에 따른 진로장애요인의 비교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4 (14): 127-154, 2007
2 김봉환,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2006
3 강판구,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인성과 학업 성취도간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4 방형심, "청소년이 지각하는 청소년 동아리 활동 활성화 요인" 카톨릭대학교 사회복지 대학원 2006
5 송병국, "청소년의 활동경험과 진로선택준비도와의 관계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19 (19): 33-50, 2006
6 차정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및 진로미결정의 성별 차이 및 발달 경향성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923-944, 2007
7 이지연, "청소년의 진로개발 성과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0 (20): 129-150, 2007
8 조아미, "청소년의 성별과 성역할정체감이 진로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91-108, 2002
9 정옥분, "청년발달의 이해" 학지사 2008
10 고향자, "진로의사결정모형의 문헌적 고찰" 16 : 43-69, 1992
11 김희수, "진로성숙의 변인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0 (20): 57-68, 2007
12 한국교육개발원, "진로성숙도검사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2
13 홍혜경, "진로결정상태 모형에 의한 대학생의 진로결정 상태의 유형화" 이화여자 대학교 1998
14 김경식, "진로결정 수준 변화의 영향 요인" 중등교육연구소 55 (55): 143-164, 2007
15 김이선,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6 구혜선,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및 진로성숙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7 이송미, "중학생의 진로태도 성숙과 자아효능감과의 관계"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8 김혜래, "중학생의 진로결정 실태와 진로성숙도의 생태체계적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3 : 51-74, 2007
19 김정원, "중학생의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수준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75-82, 2007
20 김정미, "중학생의 부모애착, 갈등적 고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도와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1 류천희, "중학생의 배경변인과 지각된 부모양육 태도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2 연합뉴스, "중학생 70% 1년간 문화활동한적 없어"
23 문미란, "중학교 청소년들의 직업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개인, 가정, 학교변인을 중심으로" 171-193, 2005
24 최수정, "중등단계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사회경제적 수준 및 학업성적과 진로성숙변화의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변화모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 (18): 31-57, 2007
25 박완성, "중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0 (20): 87-101, 2007
26 황매향, "중고등학생들의 학업동기와 진로성숙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177-191, 2004
27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8 노미순,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9
29 정경은, "우리나라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관련변인: 가정, 개인, 학교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30 신희경,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결정동기에 관한 연구: 개인 가정학교의 역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31 유우경, "애착과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639-660, 2007
32 박완성, "심리적 독립성·성역할 정체감·학업성취와 진로자아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16 (16): 155-190, 2003
33 박효희, "성별 진로성숙도 변화에 있어 부모-청소년 자녀 유대가 미치는 종단적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19): 117-142, 2008
34 나인애, "성과 학업성적 따른 진로의식 성숙도:초등학교 6학년생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35 금명자, "상담사례를 통해 본 청소년의 변화. 청소년상담문제 연구보고서" 한국청소년상담원 93-113, 2003
36 김수리, "부모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미치는영향" 홍익대학교 2004
37 김수리, "부모 지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393-407, 2007
38 설승원, "동아리활동이 자아존중감과 학교 적응에미치는 영향"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9 이지영, "동료지도학습이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 대학원 2000
40 박동열, "대학생의 직업의식에 관한 실태" 한국직업교육학회 25 (25): 1-32, 2006
41 이억범, "대학생의 다중지능, 학교환경, 자아정체감 및 진로결정 수준간의 인과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17 (17): 39-53, 2004
42 이성심, "대학생 진로미결정 척도의 성별 구인동등성 검증 및 잠재평균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529-548, 2006
43 서민원, "다층모형의 논리적 구조와 적용:대학교육의 효과 측정과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16 (16): 43-63, 2003
44 임언, "다층모형에 기초한 학교 진로교육 효과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45 이효성, "남녀공학 공업고등학교 여학생들의 진로 성숙도 관련 환경변인 탐색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46 강상진, "교육학의 미래와 다층모형" 30 : 435-454, 2003
47 문승태, "공업고등학생들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및 학교환경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5 (35): 177-192, 2003
48 송영숙, "고등학생의 진로포부 및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 분석: 서울지역 인문계고 등학교를 중심으로" 성균관 대학교 대학원 1998
49 이윤주,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자아개념 및 양육태도의 관계" 24 (24): 29-43, 2003
50 서정선,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학교 및 가정배경 변인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 학교 교육대학원 2002
51 이기학, "개인적 특성이 직업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2
52 최수정, "가족변인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내외 연구동향" 서울대학교 농산업교육과 대학원 세미나 발표자료 2005
53 Super, D, E., "Work role salience as a determinant of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tudents" 25 : 255-270, 1984
54 Super, D, E., "Vocational adjustment: Implementing a self-concept" 30 : 88-92, 1953
55 Brooks, L., "Utility of expectancy theory in predicting occupational choices in college students" 37 (37): 57-64, 1990
56 Baerbel, K., "The role of personality, parents and peers in adolescents career exploration" 25 (25): 19-30, 2002
57 Super, D, E., "The psychology of careers" Harper & Row 1957
58 Buhrmester, D., "The development of companionship and intimacy" 58 : 1101-1113, 1987
59 이가영, "The Strength of Weak Ties Revisited: 청소년의 사회연결망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12): 21-45, 2009
60 Lee, "The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Parental Attachment to the Career Maturity of College" 27 (27): 279-293, 2001
61 Arum, R., "The Early Returns.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62 Post-Kammer, P., "Sex differences in career self efficacy, consideration, and interests of eighth and ninth graders" 32 : 1985
63 Tursty, J., "Relationship of parental involvement in teens' career development to teens' attitudes, perceptions, and behavior" 30 (30): 63-69, 1996
64 Creed, P. A., "Predicting Two Components of Career Maturity in school Based Adolescents" 29 (29): 277-290, 2003
65 Ginzberg, E, "Occupational Choice" Columbia University Press 150-167, 1951
66 임언, "OECD 국가 진로교육 실태 비교 분석:2006 PISA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67 Holland, J. L., "Making vocational choice: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 (3rd ed.)"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 1997
68 Kanfer, R., "Job search and employment : A personality-motivational analysis and meta-analytic review" 86 : 837-855, 2001
69 Huffman, M. L., "Job Search Methods: Consequences for Gender-Based Earnings Inequality" 58 (58): 127-141, 2001
70 O'Brien, R., "Global financial integration: the end of geography"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Press 1992
71 Crites, J. O., "Career maturity inventory Theory and research handbook"
72 Schmitt-Rodermund, E., "Career Maturity Determinants: Individual Development, Social Context, and Historical Time" 47 (47): 16-31, 1998
73 Blustein, D. L., "A context-rich perspective of career exploration across the life roles" 45 (45): 260-274,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