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활사업 참여자의 음주문제는 지역자활센터에서 근무하는 실무자들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는 이슈임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연구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활사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479681
2015
Korean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143-163(21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자활사업 참여자의 음주문제는 지역자활센터에서 근무하는 실무자들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는 이슈임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연구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활사업...
자활사업 참여자의 음주문제는 지역자활센터에서 근무하는 실무자들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는 이슈임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연구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음주문제와 자활의지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281명의 자활사업 참여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음주문제와 자활(참여기간, 자활의지)의 관계를 분석한 이변량 분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활사업 참여기간과 자활의지의 관계는 음주문제 유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음주문제가 없는 자활사업 참여자들 사이에서 참여기간과 자활의지는 음(-)의 관계를 보인 반면, 음주문제가 있는 자활사업 참여자들 사이에서 두 변수는 양(+)의 관계를 보였고 그 관계는 유의미하였다. 즉 음주문제가 있는 자활사업 참여자들은 자활사업 참여기간이 길어질수록 자활의지가 다소 강해지는 긍정적인 결과를 낳았다. 음주문제에 따른 자활사업 참여기간과 자활의지에 대한 분석결과는 기존 연구와 다른 새로운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alcohol problem is widely recognized among social workers in the field, it has not been received much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problem and sel...
Although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alcohol problem is widely recognized among social workers in the field, it has not been received much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problem and self sufficiency among the participants. A total of 281 participa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alcohol problem and self sufficiency were not found in bivariate analysis.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alcohol probl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participation and willingness for self suffici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participants with alcohol problem, the length of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willingness for self sufficiency. The result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lcohol probl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participation and willingness for self sufficiency has been never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형하, "한국 자활사업의 자활효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자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 : 217-244, 2004
2 이상록, "지역사회 탈빈곤 정책의 효과 분석: 경남, 전북지역 자활후견기관 운영의 성과 및 한계 분석과 개선방안의 모색" 한국사회복지학회 52 : 241-272, 2003
3 박은아, "조건부 수급자의 음주문제 관련 요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4 김영미, "자활지원사업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여성참여자를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5 송인한,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성별 차이 -남성과 여성 자활사업 참여자 분석-" 한국여성심리학회 17 (17): 457-474, 2012
6 권용신, "자활서비스 질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7 김승의, "자활사업참여자의 자활의욕 및 취업·창업관련 활동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07
8 유태균, "자활사업 참여자의 중도이탈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4 (24): 283-306, 2008
9 이서원,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이 자활효과에 미치는 영향: 음주의 매개효과" 한국알코올과학회 12 (12): 29-44, 2011
10 이래혁, "자활사업 참여자의 심리사회특성이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1 이형하, "한국 자활사업의 자활효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자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 : 217-244, 2004
2 이상록, "지역사회 탈빈곤 정책의 효과 분석: 경남, 전북지역 자활후견기관 운영의 성과 및 한계 분석과 개선방안의 모색" 한국사회복지학회 52 : 241-272, 2003
3 박은아, "조건부 수급자의 음주문제 관련 요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4 김영미, "자활지원사업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여성참여자를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5 송인한,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성별 차이 -남성과 여성 자활사업 참여자 분석-" 한국여성심리학회 17 (17): 457-474, 2012
6 권용신, "자활서비스 질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7 김승의, "자활사업참여자의 자활의욕 및 취업·창업관련 활동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07
8 유태균, "자활사업 참여자의 중도이탈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4 (24): 283-306, 2008
9 이서원,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이 자활효과에 미치는 영향: 음주의 매개효과" 한국알코올과학회 12 (12): 29-44, 2011
10 이래혁, "자활사업 참여자의 심리사회특성이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11 백학영, "자활사업 참여자의 수급에 대한 태도와 탈수급 전략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1 (41): 177-212, 2014
12 류만희, "자활근로사업단 참여자의 만족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2) : 51-72, 2007
13 임희선, "여성 조건부수급자의 자활의지와 음주의 관계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14 이용표, "알코올중독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일반 수급자의 정신건강 특성, 주관적 삶의 질 및 서비스 욕구에 관한 비교 연구 - 자활사업의 재활프로그램 대상자를 중심으로 -" 2 (2): 5-12, 2001
15 남승연, "사회적기업의 성과에 관한 연구: 이론적 논쟁과 탐색적 실증분석" 한국국정관리학회 23 (23): 45-68, 2013
16 홍세희, "사회복지학연구를 위한 다양한 상호작용효과 분석방법" 2010
17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보건복지부 학술연구 용역사업 보고서 : 2011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보건복지부 2011
18 김영준, "도시영세민의 알코올중독 실태 및 치료방안 모색을 위한 예비연구" 3 (3): 11-20, 1995
19 유채영, "노숙자의 음주무제에 관한 조사연구, in 음주문제 노숙자를 위한 재활 프로그램 및 조사연구" 노숙자 다시서기 지원센터 1999
20 윤명숙, "기초생활보장수급자들과 일반인의 문제음주와 정신건강 비교연구" 한국알코올과학회 9 (9): 1-14, 2008
21 김용석, "국내외 알코올사용장애 선별도구의 비교를 통한 한국성인의 알코올사용장애에 관한 역학 조사" 37 : 67-88, 1999
22 Hartwell, T. D., "Workplace alcohol-testing programs: Prevalence and trends" 121 (121): 27-34, 1998
23 Dannelly, B. D., "The impact of substance abuse on welfare recipients"
24 Kenefick, E., "TANF policy brief : helping TANF recipients overcome addiction: Alternatives to suspicionless drug testing" CLASP
25 Schmidt, L., "Substance abuse and employment among welfare mothers: From welfare to work and back again?" 42 (42): 1069-1087, 2007
26 Shin, S. H., "State response to substance-abusing TANF recipients: the challenge for welfare policy" 6 (6): 65-83, 2007
27 Morgenstern, J., "Specialized screening approaches can substantially increase the identification of substance abuse problems among welfare recipients"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8 Smith, P. C., "Primary care validation of a single-question alcohol screening test" 24 (24): 783-788, 2009
29 Gutman, M. A., "Potential barriers to work for substance-abusing women on welfare: Findings from the CASAWORKS for families pilot demonstration" 27 (27): 681-706, 2003
30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Pearson Prentice Hall 2010
31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 Hall Higher Education 2010
32 Jose, P. E., "ModGraph-I: A programme to compute cell means for the graphical display of moderational analyses: The internet version, version 2.0" 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33 Driscoll, D., "Evaluation the Challenges to Self-Sufficiency Faced by TANF Clients in Alaska" Institute for Circumpolar Health Studies 2011
34 Radel, L., "Drug Testing Welfare Recipients: Recent Proposals and Continuing Controversies"
35 Danseco, E. 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osit-short form: Screening for problem behaviors among adolescents at risk for substance use" 11 (11): 11-13, 2002
36 Kirby, G., "Addressing Substance Abuse Problems among TANF Recipients: A Guide for Program Administrators" Mathematica Policy Research 2000
37 Brown, R. L., "A two-item conjoint screen for alcohol and other drug problems" 14 (14): 95-106, 2001
38 보건복지부, "2014 자활사업안내"
39 김정원, "2012년 지역자활센터 자활사업 참여자 실태조사 보고서" 2013
40 보건복지부, "2012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 3차년도" 보건복지부 2013
사회복지조직의 인적자원관리와 이직률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 다문화 중도입국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한국인 부모가정)의 진로정체감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6 | 1.66 | 1.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 | 1.87 | 2.088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