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설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애착유형,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 Factors Affecting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in Facilities: Focusing on Attachment Type, Emotion Regulation Srategy and Social Supp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119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attachment typ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on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in facilitie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08 children aged 12 to 18 who live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attachment typ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on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in facilitie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08 children aged 12 to 18 who lived in childcare facilities in areas D, G, and 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ggression and depression/anxiety were higher in children classified as preoccupied attachment type than in children with secure attachment type. Second, among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e reappraisal strategy lowered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anxiety, but the suppression strategy had an effect on increasing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anxiet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upport of caregivers perceived by institutionalized children lowered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anxiety of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s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attachment type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that the support of caregiver acts as a protective factor for children in fac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애착유형,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 지지가 시설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D지역, G지역, P지역의 아동양육시설에서 생활하는 12세∼18...

      본 연구는 애착유형,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 지지가 시설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D지역, G지역, P지역의 아동양육시설에서 생활하는 12세∼18세 사이의 아동 20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정형 애착유형으로 분류된 아동에 비해 몰두형 애착으로 분류된 아동에게서 공격성과 우울․불안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서조절전략이 문제행동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재평가전략은 사회적 위축과 우울․불안을 낮추었지만 억제전략은 사회적 위축과 우울․불안을 높이는 데 영향을 주었다. 셋째, 시설아동이 지각한 보육사 지지는 시설아동의 사회적 위축과 우울․불안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애착유형과 정서조절전략에 따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가 다르게 나타나며, 보육사 지지가 시설아동에게 보호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원화,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 수준과 정서조절방략의 사용: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의 비교 연구"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2 (32): 195-212, 2011

      2 사민서, "청소년의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조절, 심리적 수용 및 우울의 구조적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5 (25): 159-185, 2018

      3 임성희,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9 (9): 331-347, 2013

      4 이경희, "중・고등학생의 정서조절 전략과 학교생활 적응"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159-169, 2009

      5 이지영, "정서조절방략 질문지의 개발: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963-976, 2007

      6 이지영,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461-493, 2006

      7 손재민, "정서조절 방략 사용에서의 개인차 : 인지적 재해석인과 정서표현 억제인의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8 이서정,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887-905, 2008

      9 박유진, "인터넷 커뮤니티의 사회적 지지가 커뮤니티 몰입과 동일시 및 개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9 (19): 71-100, 2005

      10 보건복지부, "요보호아동 발생 및 조치 현황(연도별)"

      1 이원화,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 수준과 정서조절방략의 사용: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의 비교 연구"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2 (32): 195-212, 2011

      2 사민서, "청소년의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조절, 심리적 수용 및 우울의 구조적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5 (25): 159-185, 2018

      3 임성희,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9 (9): 331-347, 2013

      4 이경희, "중・고등학생의 정서조절 전략과 학교생활 적응"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159-169, 2009

      5 이지영, "정서조절방략 질문지의 개발: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963-976, 2007

      6 이지영,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461-493, 2006

      7 손재민, "정서조절 방략 사용에서의 개인차 : 인지적 재해석인과 정서표현 억제인의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8 이서정,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887-905, 2008

      9 박유진, "인터넷 커뮤니티의 사회적 지지가 커뮤니티 몰입과 동일시 및 개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9 (19): 71-100, 2005

      10 보건복지부, "요보호아동 발생 및 조치 현황(연도별)"

      11 최윤정, "아버지의 문제음주와 청소년 자녀의 적응 : 부모역할과 부모와의 애착의 매개역할"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2 김평화, "아동학대가 아동의 우울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권리학회 18 (18): 601-620, 2014

      13 양승연, "아동양육시설 아동의 적응유연성 형성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39) : 93-126, 2012

      14 보건복지부, "아동복지시설현황 안내"

      15 장용환, "아동기의 학대경험이 청소년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20 (20): 80-104, 2011

      16 Greenberg, L. S., "심리치료에서 정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학지사 2008

      17 홍성호, "시설청소년과 생활지도원의 의사소통 유형이 시설청소년의 소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남지역 아동양육시설을 대상으로"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18 박경진, "시설입소 피학대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46) : 205-238, 2014

      19 김태신, "시설아동의 애착경험과 자아개념에 대한 질적 연구: 근거이론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381-402, 2012

      20 홍영미, "시설보호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행동문제와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87-209, 2010

      21 우희경, "시설보호아동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22 홍수현, "시설보호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지능과 대인불안에 관한 연구" 9 (9): 277-296, 2005

      23 현은민, "시설보호아동·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가정과삶의질학회 23 (23): 19-29, 2005

      24 정선욱, "시설보호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25 권기남, "시설보호 아동이 지각한 보육사의 사회적 지지와 내적 통제 성향 및 학교적응" 대한가정학회 40 (40): 109-118, 2002

      26 성미영, "시설보호 아동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탐색"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147-160, 2012

      27 정선욱, "시설보호 아동의 애착유형과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아동권리학회 8 (8): 77-95, 2004

      28 정선욱, "시설보호 아동의 시설 생활 경험 연구: 비혈연 형제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권리학회 10 (10): 151-183, 2006

      29 김병직, "성인 애착 불안/회피 차원과 우울 사이를 매개하는 변인의 탐색: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대한 정서 조절의 차별적 경로" 한국상담심리학회 25 (25): 519-548, 2013

      30 한유진, "상호작용 상황에서의 정서표현, 정서이해 및 정서조절 능력이 학령기 아동의 공격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 가정과삶의질학회 24 (24): 1-16, 2006

      31 유은경, "사회적지지 척도의 요인구조 탐색" 한국조사연구학회 16 (16): 155-184, 2015

      32 오순옥,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3 박지원,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34 송진영, "부모의 학대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43) : 57-83, 2015

      35 박준성, "부모의 학대가 아동의 우울과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31 (31): 107-134, 2019

      36 김선주, "복지시설 심리장애 아동·청소년의 연령과 지능수준에 따른 문제행동특성" 한국놀이치료학회 18 (18): 163-177, 2015

      37 유안진, "또래 애착과 정서조절 양식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학회 24 (24): 31-41, 2006

      38 김은영, "대학생들의 성인애착과 우울의 관계에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6 (16): 345-358, 2015

      39 박선영, "남자 중학생의 정서조절과 행동문제의 관계에서 행동조절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심리학회 32 (32): 735-754, 2013

      40 김소연, "가정외보호 아동의 친부모애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아동복지학회 (53) : 51-76, 2016

      41 Cobb, S.,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of life stress" 35 (35): 300-314, 1976

      42 Mota, C. P., "Resilience and Deviant Behavior Among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The Relationship with Significant Adults" 33 : 313-325, 2016

      43 Kopp, C. B., "Regulation of distress and negative emotions: A developmental view" 25 : 343-354, 1989

      44 Gilbert, D. T., "Of thoughts unspoken: Social inference and the self-regulation of behavior" 55 : 685-694, 1988

      45 Yarrow, L. J., "Maternal deprivation: Toward an empirical and conceptual re-evaluation" 58 (58): 459-490, 1961

      46 Achenbach, T. M.,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1983

      47 Achenbach, T. M.,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4-18, and 1991 profile"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1991

      48 오경자, "K-CBCL 아동청소년행동평가척도" 중앙적성출판사 1997

      49 Buhrmester, D., "Intimacy of Friendship,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Adjustment during Preadolescence and Adolescence" 61 (61): 1101-1111, 1990

      50 Zeman, J., "Influence of social context on children's affect regulation: A functionalist perspective" 22 : 141-165, 1998

      51 Gross, J. J., "Individual Differences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es : Implications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85 : 348-362, 2003

      52 Gross, J. J., "Hiding feelings: the acute effects of inhibiting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 106 (106): 95-103, 1997

      53 Izard, C. E., "Handbook of infant development" Wiley 494-554, 1987

      54 Tice, D. M., "Giving in to feel good: The place of emotion regulation in the context of general self-control" 11 : 149-159, 2000

      55 Cole, P. M., "Emotion Regulation as a scientific Construct : Challenges and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research" 75 : 317-333, 2004

      56 Campos, J. J., "Emergent themes in the study of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 regulation" 25 (25): 394-402, 1989

      57 Howells, N. L., "Effects of perpetrator and victim gender on negative outcomes of family violence" 23 (23): 203-209, 2008

      58 Levitt, M J., "Convoys of Social Support in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Structure and Function" 15 (15): 207-222, 1993

      59 Brennan, K. A.,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 Guilford 46-76, 1998

      60 Bartholomew, K.,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A tests of a four-category model" 61 (61): 226-244, 1991

      61 Bowlby, J., "Attachment and loss: Attachment" Basic Books 1969

      62 Allen, J. P., "Attachment and adolescent psychosocial functioning" 69 : 1406-1419, 1998

      63 Howe, D., "Attachment Theory for Social Work Practice" Macmillan 1995

      64 Gross, J. J., "Antecedent- and response-focused emotion regulation: divergent consequences for experience, expression, and physiology" 74 (74): 224-237, 1998

      65 Ainsworth, M. S., "An ethological approach to personality development" 46 (46): 333-341, 1991

      66 Rutter, M., "Adult outcome of institution-reared children: Males and females compar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67 Collins, N. L., "Adult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relationship quality in dating couples" 58 (58): 644-663, 1990

      68 Diehl, M., "Adult attachment styles: Their relations to family context and personality" 74 (74): 1656-1669, 1998

      69 Rosenstein, D. S., "Adolescent attachment and psychopathology" 64 (64): 244-253, 1996

      70 한국아동복지협회, "2020 아동복지시설 현황"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