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와 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이 어떤 관계가 있으며, 교사와 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에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원장의 감성리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13235
2020
-
375
KCI등재
학술저널
117-137(2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와 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이 어떤 관계가 있으며, 교사와 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에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원장의 감성리더...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와 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이 어떤 관계가 있으며, 교사와 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에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 전체 및 하위요인 모두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자연적 행동과, 원장의 감성리더십 전체 및 하위요인 모두와 부적상관을 보인 반면,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표면적 행동과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 전체 및 하위요인인 교사자신과 관련된 어려움은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자연적 행동이 가장 영향을 미친 반면, 부모와 관련된 어려움과 어린이집과 관련된 어려움은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부모와 관련된 어려움은 원장의 자기관리능력이, 어린이집과 관련된 어려움은 원장의 관계관리능력이 가장 영향을 미쳤다. 이 같은 결과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을 줄이고 원장의 감성리더십을 높이는 것이 교사가 부모와 의사소통을 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감소해가도록 지원하는 효율적 방안이 됨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difficulties in teacher-parent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influence of such emotional labor and emot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difficulties in teacher-parent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influence of such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leadership on difficulties in teacher-parent communica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50 childcare teachers,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rough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ifficulties in teacher-parent communic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eachers’ natural behaviors and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eachers’ surface behavior. Seco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the overall difficulties in teacher-parent communication and the sub-difficulties related to teachers themselves was their own natural behaviors, which was one of the subfactors of their emotional labor. Additionally, the principals’ self-management competency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both parents’ difficulties and the center difficulties. Specifically, the principal’s self-management competency had an influence on parents’ difficulties and their relationship management competency had on center difficul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ducing th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increasing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is an effective way to reduce the difficulties in teachers-parent communic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재경, "학부모 및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보육교사-학부모간의 의사소통에 관한 어려움과 보육교사 효능감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 손석주, "콜센터 구성원의 감정노동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직무소진의 매개효과와 감성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6
3 이기태, "축제 관계자 리더의 감성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감정노동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학회 20 (20): 347-369, 2016
4 서정은, "직장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안혜정,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직무만족도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77-103, 2014
6 이은혜, "유치원 교사의 의사소통 능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의 매개효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7 손익교, "유치원 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서현, "유아의 어머니와 교사 간의 의사소통에 대한 의미 들여다보기"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1) : 73-99, 2012
9 권정해,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감성리더십 척도 개발" 한국아동교육학회 23 (23): 79-102, 2014
10 박향아, "유아교사와 학부모와의 관계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12 (12): 67-80, 2003
1 서재경, "학부모 및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보육교사-학부모간의 의사소통에 관한 어려움과 보육교사 효능감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 손석주, "콜센터 구성원의 감정노동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직무소진의 매개효과와 감성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6
3 이기태, "축제 관계자 리더의 감성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감정노동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학회 20 (20): 347-369, 2016
4 서정은, "직장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안혜정,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직무만족도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77-103, 2014
6 이은혜, "유치원 교사의 의사소통 능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의 매개효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7 손익교, "유치원 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서현, "유아의 어머니와 교사 간의 의사소통에 대한 의미 들여다보기"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1) : 73-99, 2012
9 권정해,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감성리더십 척도 개발" 한국아동교육학회 23 (23): 79-102, 2014
10 박향아, "유아교사와 학부모와의 관계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12 (12): 67-80, 2003
11 정선영, "유아교사와 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 수준과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교사의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2 손환희,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13 신지혜, "유아 교사의 정서 지능과 교사-부모 의사소통 어려움 사이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4 이현정, "영유아교사의 조직 내 의사소통과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5 송은정, "영아보육교사의 감정노동 및 직무스트레스와 효과적인 대처방안"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6 이찬주, "어머니-유아교사 관계에 대한 상호 인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17 김정화,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관리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20
18 김경희,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대학원 2017
19 김정림,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0 문수경, "아동상담에 대한 보육교사와 유아기 어머니의 인식 및 요구" 가정과삶의질학회 25 (25): 181-196, 2007
21 황승욱, "서비스 종사자의 감정노동행동과 직무소진 관계에 관한 연구 : 리더의 감성리더십과 신뢰의 조절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22 신중환, "사회복지사의 감성노동과 비과업행동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와 감성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65 (65): 137-163, 2013
23 신현숙, "부모와의 관계에서 보육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24 보건복지부, "보육실태조사 통계정보보고서" 보건복지부 2019
25 조성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 14 (14): 69-79, 2005
26 김지영,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7 김희정,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소진 관계-교직선택동기 및 근무환경 조절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28 이진화,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개인 및 기관의 정서변인,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9 이효영,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대인간 의사소통 수준이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0 김정희,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175-190, 2014
31 서소영, "보육교사의 신념과 교사와 부모 간의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32 유미나, "보육교사의 소진과 관련된 직무만족도와직장 내 사회적 지지" 한국생애학회 3 (3): 73-85, 2013
33 정선미,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진의 매개효과와 공감능력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6
34 채민,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교사효능감 및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35 김혜정,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6 윤옥순, "보육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원장의 감성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37 조혜숙, "보육교사가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어려움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감정 노동의 매개효과분석"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38 박향주, "보육교사가 인식한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4
39 민영현,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 어려움과 정서노동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40 신혜지, "교사가 지각하는 직장어린이집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셀프리더십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42 김현정, "공립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현장문제에 관한 연구 : 문제 발생 빈도와 어려움 정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0
43 이미화, "감정노동, 인간관계, 근무조건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9
44 Hochschild, A., "감정노동" 이매진사 2009
45 Goleman, D., "감성의 리더십" 청림출판사 2003
46 Goleman, D., "Primal leadership :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2
47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고시문 해설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48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고시문"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AR기반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의 성별, 연령 및 다문화 유아 접촉 경험에 따른 유아의 인종에 대한 인식 및 다문화 가족에 대한 편견
만 3세반 일상생활 속 수학적 경험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가정연계 자연물놀이가 영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놀이성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10-2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 |
2020-04-0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