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학습조직화코칭이 학습조 활동을 실행하는 학습조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학습조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직무성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497657
2015
-
325
KCI등재
학술저널
49-74(26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학습조직화코칭이 학습조 활동을 실행하는 학습조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학습조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직무성과...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학습조직화코칭이 학습조 활동을 실행하는 학습조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학습조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직무성과인 역할내 직무수행과 적응적 수행성과 두 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 경영층의 지원이 학습조직화코칭과 학습조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사이의 관계에 대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상기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가설 검증을 위해 부산, 경남에 소재한 중소기업 중 학습조직화코칭을 실시한 10개 기업의 학습조직화코칭 참여 근로자 34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유효설문지 295부를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조직화코칭 프로세스가 성공적으로 진행될수록 학습조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높아진다. 둘째, 학습조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높을수록 직무성과인 학습조원의 역할내 직무수행과 적응적 수행성과 모두 높아진다. 셋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학습조직화코칭 프로세스와 역할내 직무수행 및 적응적 수행성과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조직화코칭 프로세스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사이의 관계에서 경영층의 지원이 조절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부분에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SMEs learning organization coaching process on in-role performance and adaptive performance vi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moderating effects of top management's support on the relation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SMEs learning organization coaching process on in-role performance and adaptive performance vi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moderating effects of top management's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Es learning organization coaching proc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es were proposed on the basis of preceding research.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343 workers employed by 10 small business companies in Busan and Kyungnam area, which had participated in learning organization coaching program. The main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es for the 299 usable questionnaires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effective the learning organization coaching processes is, the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ecomes. Second, the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the higher in-role performance of the workers becomes. Third, the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the higher adaptive performance of the workers becomes. Fourth,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organization coaching processes and job performance including both in-role performance and adaptive performance. Fifth, the expected moderating effect of top management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coaching processe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not foun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정주, "호텔종사원의 교육참여동기와 자기주도학습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2
2 정동섭, "혁신형 중소기업의 혁신성과 환경의 동태성이 조직 양면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2 (22): 213-230, 2015
3 김경화, "학습조직과 교사의 자기주도학습" 22 : 118-134, 2003
4 황석, "학습조직 리더 역량의 교육요구도 및 리더의 귀속적 특성" 한국기업교육학회 15 (15): 29-53, 2013
5 최우재, "학습목표 지향성과 학습 자기효능감이 적응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 비공식적 일터학습의 매개효과" 한국인력개발학회 12 (12): 145-171, 2010
6 홍 석,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직무만족이 교사의 학교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7 이화자, "코칭을 통한 CEO의 리더십 향상 방안" 8 (8): 124-146, 2008
8 백명, "코칭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감성지능, 코칭스킬,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9 이학종, "최고 경영자의 지원이 혁신 역량과 BSC 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10 김지자,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측정도구의 개발과 활용방안" 2 (2): 1996
1 조정주, "호텔종사원의 교육참여동기와 자기주도학습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2
2 정동섭, "혁신형 중소기업의 혁신성과 환경의 동태성이 조직 양면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2 (22): 213-230, 2015
3 김경화, "학습조직과 교사의 자기주도학습" 22 : 118-134, 2003
4 황석, "학습조직 리더 역량의 교육요구도 및 리더의 귀속적 특성" 한국기업교육학회 15 (15): 29-53, 2013
5 최우재, "학습목표 지향성과 학습 자기효능감이 적응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 비공식적 일터학습의 매개효과" 한국인력개발학회 12 (12): 145-171, 2010
6 홍 석,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직무만족이 교사의 학교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7 이화자, "코칭을 통한 CEO의 리더십 향상 방안" 8 (8): 124-146, 2008
8 백명, "코칭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감성지능, 코칭스킬,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9 이학종, "최고 경영자의 지원이 혁신 역량과 BSC 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10 김지자,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측정도구의 개발과 활용방안" 2 (2): 1996
11 이성은, "초, 중등 교실을 위한 새 교수법" 교육과학사 2002
12 최우재, "진성리더십이 부하의 심리적 웰빙과 적응적 수행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자기권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인사조직학회 21 (21): 185-228, 2013
13 이지우, "중소제조기업의 인적자원관리제도 도입 및 활용 정도와 조직성과의 관계"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8 (18): 23-46, 2011
14 이민욱, "중소기업의 학습조직화와 조직구조특성의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225-250, 2008
15 권동호, "중소기업의 학습조직 수련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Peter Senge의 이론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1
16 윤종록, "중소기업의 학습조직 구축을 위한 경영 컨설팅 전개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2 (2): 1-26, 2011
17 김강호, "중소기업에서의 학습지향성, 학습행동, 조직환경 및 학습성과의 인과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18 문승현, "중소기업에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구성원 학습활동의 매개효과를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3 (13): 41-65, 2010
19 김정우, "중소기업 학습조직화를 위한 인적자원개발지원제도에 관한 연구:한국산업인력공단의“Best Human 사업”사례 중심으로" 한국중소기업학회 10 (10): 123-140, 2007
20 김영생, "중소기업 학습조직화 지원사업 성과분석 및 심사지표 개발" 노동부·한국산업인력공단 2009
21 한국산업인력공단, "중소기업 학습조직화 지원사업 매뉴얼, 비간행 학습조직화사업 지침문서"
22 한국산업인력공단, "중소기업 학습조직화 지원사업 매뉴얼, 비간행 학습조직화사업 지침문서"
23 구경회, "중소기업 학습조직화 지원 사업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27 : 81-104, 2011
24 김영생, "중소기업 학습조직화 지원 사업 성과분석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25 임세영, "중소기업 학습조직 담당자의 교육 요구조사" 대한공업교육학회 37 (37): 1-19, 2012
26 한국은, "중소기업 학습리더의 경청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8 (28): 31-54, 2009
27 중소기업청, "중소기업 실태조사보고서(제조업/지식기반서비스업)" 2014
28 홍의숙, "중소기업 리더 코칭이 직무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16 (16): 259-275, 2009
29 홍의숙, "중소기업 리더 코칭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무관련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30 박근수, "중간관리자 코칭스킬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및 공인타당도" 한국조직학회 10 (10): 77-105, 2013
31 장태원, "조직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흡수능력과 정서적 몰입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식경영학회 12 (12): 17-34, 2011
32 배범수, "적응성과(Adaptive performance)의 수준간 관계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33 이윤옥, "자기주도학습 개념 분석 및 측정도구 개선방향에 관한 제언"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19-30, 2007
34 한순미,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양서원 2004
35 박안나, "일 종합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관련 자기주도성 및 간호업무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3
36 이석만, "외식기업 관리자의 코칭리더십이 자아개념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1
37 정태영, "영업관리자의 코칭이 직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평생학습 및 HRD에서의 코칭성과와 신뢰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1 (11): 125-153, 2009
38 오주연, "수출기업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한국통상정보학회 15 (15): 207-226, 2013
39 홍순복, "세무조사자들의 집단응집성과 상사에 대한 신뢰가 팀몰입과 역할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9 (9): 218-225, 2009
40 김지혜,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학습전략의 관계"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2
41 정권택, "성과주의 인사제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문화, 인사부서 역량, 최고경영자 지원 및 노동조합 유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4
42 김은희, "성과관리제도 하에서 팀장급 리더들의 코칭 활동이 구성원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원 2008
43 이강자, "부모의 양육태도와 성취목표지향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44 전정희, "리조트코칭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 조절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
45 김정식, "리더의 코칭행위가 조직구성원들의 인지적 유연성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5 (15): 31-48, 2008
46 이정수, "군의 학습조직과 자기주도학습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6 (6): 1-25, 2011
47 홍기칠, "구성주의적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력 분석과 학습모형 개발"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75-98, 2004
48 이광수, "교원성과급이 직무동기를 매개로 직무수행노력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325-346, 2013
49 오철호, "공공기관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방안: 학습조직화 관점에서" 4-23, 2011
50 이영현, "고성과조직 구축을 위한 기업의 학습조직화" 34 : 112-121, 2002
51 고현숙, "경영자 코칭(executive coaching)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3 (13): 31-46, 2011
52 한태영, "개인 및 팀 적응성과의 고찰:성과코칭과 피드백 환경에 의한 다수준 상동모형의 검증" 한국인사조직학회 19 (19): 1-40, 2011
53 양진주,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의 관계" 10 (10): 287-294, 2004
54 최준희, "간호사의 학습 관련 자기주도성이 간호실무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1
55 양남영, "간호사의 학습 관련 자기주도성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 간호행정학회 13 (13): 473-480, 2007
56 조학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주도학습 및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32 (32): 57-72, 2007
57 Grant, A. M., "What is evidence-based executive, workplace, and life coaching?" University of Sydney 2003
58 Dewar, R., "Universalistic of contingency prediction of employee satisfaction and conflict" 24 : 426-448, 1979
59 Goldstein, I. L., "Training System Issues in the Year 2000" 45 (45): 134-143, 1990
60 Kilburg, R. R., "Toward a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definition of executive coaching" 48 (48): 134-144, 1996
61 Katz, D., "The motivational basis of organizational behavior" 9 : 131-133, 1964
62 Dingman, M., "The effect of executive coaching on job-related attitude" Regent University 2004
63 Costa, P. T., "The NEO Personality Inventory: Manual Form Sand Form R. Odessa"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85
64 Pedler, M., "The Learning Company" McGraw-Hill Redding 1992
65 Senge, P. M., "The Fifth Discipline: The Art of Practice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Bantam Double day Dell Publishing Group. Inc 1990
66 Greene, J., "Solutionfocused coaching: a manager’s guide to getting the best from people" Pearson Education Limited 2003
67 Confessore, S. J.,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learning organization:Exam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9 (9): 365-375, 1998
68 Knowles, M. S., "Self-Directed Learning:A Guild for Learners and Teachers" Follett Pub. Co 1975
69 Barki, H., "Rethinking and concept of user involvement" 13 (13): 107-119, 1989
70 Long, H. B., "Research and application in self-directed learning" Oklahoma Research Center for Continuing Professional and Education 9-24, 1992
71 Guglielmino, P. J., "Practical experience with self-directed learning in business and industry human resource development" 64 : 39-46, 1994
72 Mumford, M. D., "Personality, Adaptability, and Performance:Performance on Well-defined and Ill-defined Problem-solving Tasks" 6 (6): 241-285, 1993
73 Campbell, J. P., "Personal Selection in Organizations" Jossey-Bass 35-70, 1993
74 Mclean, L. D., "Organizational culture's influence on creativity and innov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7 (7): 226-246, 2005
75 Aldag, R. J., "Organization behavior and Management: An integrated skills approach" Thomson South-Western 2002
76 Brookfield, S. D., "New Directions for Continuing Education" Jossey-Bass 1985
77 Guglielmino, P. J., "Moving towoard a distributed learning model based on self-managed learning" 66 (66): 36-43, 2001
78 Baskett, M., "Montreal:Group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Autonomy and Training" University of Quebec 1993
79 Williams, L. J., "Job satisfaction and 10(1)"
80 Peter, T. J., "In search of excellence" Warner 1982
81 김대영, "HRD 컨설턴트의 경력정체, 자기주도학습능력, 경력몰입의 관계" 7 (7): 19-43, 2014
82 배을규, "HRD 기업의 학습조직화 수준이 구성원의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5 (15): 205-234, 2012
83 Lambert, D. M., "Fundamental of logistics management" Irwin/McGraw-Hill 1998
84 Kinicki, A. J., "Explication of the Construct of Coping with Involuntary Job Loss" 36 (36): 339-360, 1990
85 Day, D, V., "Executiv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uggestions for a new theory and methodology" 14 : 453-464, 1988
86 Dean, M. L., "Executive coaching: A search of a model" 1 (1): 3-17, 2002
87 Peterson, D. B., "Executive coaching at work:The art of one-on-one change" 48 (48): 78-86, 1996
88 Pennington, R. C., "Development leaders for today and the future" Higher Education Staff Development Agency 2004
89 Allworth, E., "Constructoriented Biodata: Capturing Change-related and Contextually Relevant Future Performance" 7 (7): 97-111, 1999
90 Kanter, R. M., "Commitment and Social Organization: A Study of Commitment Mechanism in Utopia Communitics" 33 : 499-517, 1968
91 Edwards, L., "Coaching-the latest buzzword or a truly effective management tool?" 35 (35): 298-300, 2003
92 Hann, E., "Coaching with colleagues-An action guide for one-to-one learning" Palgrave Macmillan 2005
93 Whitmore, J., "Coaching for performance" Nicholas Brealey Publishing 2007
94 Kiel, F., "Coaching at the top" 48 (48): 67-77, 1996
95 Evered, R. D., "Coaching and the art of management" 18 (18): 16-32, 1989
96 Giglio, L., "Coaching a leader: Leveraging change at the top" 17 (17): 93-115, 1998
97 Saporito, T. J., "Business-linked executive development: Coaching senior executives" 48 (48): 96-103, 1996
98 Garvin, E., "Building a Learning Organization" 78-91, 1993
99 Wetzels, M.,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role stress of retail sales persons" 7 : 65-75, 2000
100 Tosti, D., "Alignment: How it works and why it matters" 31 : 1990
101 Pulakos, E. D., "Adaptability in the Workplace: Development of A Taxonomy of Adaptive Performance" 85 (85): 612-624, 2000
102 Kotter, J. P., "A Force for change: How leadership differs from management" Free Press 1990
학원장의 진성 리더십이 이직의도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차별적 보상 지각이 심리적 계약위반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8 | 1.78 | 2.1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17 | 2.17 | 3.204 | 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