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ife spor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671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ife sports. To carry out this study, 230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from a population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sports at 6 sports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for 3 months from January 10th to April 9th in 2017. A total of 2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97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is study after excluding 33 questionnaires that were judged to be unfaithfully respond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self - concept of middle - aged women participating in daily life sports has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Second, the resilience of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life sports positively affects life satisfaction. The resilience of middle - 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sport has th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and life satisfaction.negative effects on school life adaptation (p<.001). Third, the resilience of middle - 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daily life sports positively affected life satisfaction. Fourth, the resilience of middle - aged women participating in life sport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 - concept and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so far, resilience has been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factors (physical self-concept,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self-concept of physical self- The resilience of resilience positively contributes to life satisfaction by promoting the formation of psychological factor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many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to verify the effect of resilience, which is one of the concept of big - headedness from the viewpoint of sports psychology.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ife sports. To carry out this study, 230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ife sports. To carry out this study, 230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from a population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sports at 6 sports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for 3 months from January 10th to April 9th in 2017. A total of 2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97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is study after excluding 33 questionnaires that were judged to be unfaithfully respond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self - concept of middle - aged women participating in daily life sports has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Second, the resilience of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life sports positively affects life satisfaction. The resilience of middle - 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sport has th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and life satisfaction.negative effects on school life adaptation (p<.001). Third, the resilience of middle - 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daily life sports positively affected life satisfaction. Fourth, the resilience of middle - aged women participating in life sport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 - concept and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so far, resilience has been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factors (physical self-concept,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self-concept of physical self- The resilience of resilience positively contributes to life satisfaction by promoting the formation of psychological factor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many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to verify the effect of resilience, which is one of the concept of big - headedness from the viewpoint of sports psycholo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중년 여성들의 신체적 자기 개념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있어서 회복력의 매개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의 6개 스포츠센터에서 2017 년 1월 10일 부터 4월 9일까지 3 개월 동안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중년 여성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230명의 연구대상자를 선정했다. 전체 230명의 설문 중 불만족스럽게 응답 한 것으로 판단된 33 개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통계분석에 197개의 설문지를 사용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회복탄력성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중년 여성의 신체적 자기 개념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생활체육에 참여한 중년 여성의 회복탄력성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생활체육에 참여한 중년 여성의 회복탄력성은 신체적 자기 개념과 생활만족의 관계에 매개효과가 있었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 회복탄력성은 두 요인(신체적 자기개념,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중년여성들의 생활체육 참여로 형성된 신체적 자기개념이 생활에 만족하는데 회복탄력성이 긍정적으로 심리요인의 형성을 촉진하여 생활만족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이번 연구결과는 최근 스포츠심리학 관점에서 시사성이 큰 개념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회복탄력성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와 함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중년 여성들의 신체적 자기 개념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있어서 회복력의 매개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의 6개 스포...

      본 연구는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중년 여성들의 신체적 자기 개념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있어서 회복력의 매개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의 6개 스포츠센터에서 2017 년 1월 10일 부터 4월 9일까지 3 개월 동안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중년 여성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230명의 연구대상자를 선정했다. 전체 230명의 설문 중 불만족스럽게 응답 한 것으로 판단된 33 개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통계분석에 197개의 설문지를 사용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회복탄력성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중년 여성의 신체적 자기 개념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생활체육에 참여한 중년 여성의 회복탄력성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생활체육에 참여한 중년 여성의 회복탄력성은 신체적 자기 개념과 생활만족의 관계에 매개효과가 있었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 회복탄력성은 두 요인(신체적 자기개념,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중년여성들의 생활체육 참여로 형성된 신체적 자기개념이 생활에 만족하는데 회복탄력성이 긍정적으로 심리요인의 형성을 촉진하여 생활만족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이번 연구결과는 최근 스포츠심리학 관점에서 시사성이 큰 개념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회복탄력성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와 함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우열, "회복탄력성의 세 가지 요인이 청소년의 온라인게임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6 (26): 43-81, 2009

      2 김주환,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위즈덤하우스 2011

      3 김병준,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측정도구 개발" 12 (12): 69-90, 2001

      4 대한폐경학회, "폐경 여성의 관리" 대한폐경학회 2017

      5 박종태, "초등학생의 과외 스포츠 활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과 체육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13 (13): 27-39, 2008

      6 권한경, "중년여성이 인지한 삶의 질이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7 박지야, "중년여성의 태극권 수련이 신체적 자기 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29) : 753-762, 2007

      8 김효진, "중년여성의 운동참여 형태가 신체조성 및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8 (48): 525-540, 2009

      9 양경미, "중년여성의 우울, 생활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간호학회 22 (22): 300-309, 2015

      10 고지웅, "중년여성의 생활체육 참여에 따른 여가유형과 행복지수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1 신우열, "회복탄력성의 세 가지 요인이 청소년의 온라인게임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6 (26): 43-81, 2009

      2 김주환,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위즈덤하우스 2011

      3 김병준,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측정도구 개발" 12 (12): 69-90, 2001

      4 대한폐경학회, "폐경 여성의 관리" 대한폐경학회 2017

      5 박종태, "초등학생의 과외 스포츠 활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과 체육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13 (13): 27-39, 2008

      6 권한경, "중년여성이 인지한 삶의 질이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7 박지야, "중년여성의 태극권 수련이 신체적 자기 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29) : 753-762, 2007

      8 김효진, "중년여성의 운동참여 형태가 신체조성 및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8 (48): 525-540, 2009

      9 양경미, "중년여성의 우울, 생활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간호학회 22 (22): 300-309, 2015

      10 고지웅, "중년여성의 생활체육 참여에 따른 여가유형과 행복지수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11 박현숙, "중년여성의 생활스포츠 참여유형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한국체육학회 44 (44): 127-138, 2005

      12 황호영, "중년여성의 생활스포츠 수행 유무에 따른 비만도, 신체적 자기개념 및 갱년기 증상" 한국스포츠리서치 18 (18): 481-494, 2007

      13 최유진, "중년여성의 댄스스포츠 참가 지속행동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련성"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4 유지은, "중년여성 리듬운동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5 이준석, "운동선수 자아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4 (24): 65-86, 2013

      16 이순림, "여성노인의 한국무용 참가와 정신건강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 19 (19): 41-50, 2005

      17 김석일,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18 김태훈, "에어로빅 댄스 참여 여성의 배경변인과 참여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의 차이" 3 (3): 205-213, 2005

      19 이현아, "신체적 가지개념에 따른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중 사고과정연구"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0 송주병, "수영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적 자기개념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1 석류,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운동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체육학회 56 (56): 203-214, 2017

      22 이종길,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23 이승미,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조성·체력·신체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리듬운동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08

      24 이혜경, "대학생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 효과 : 상호작용모델 기반"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2

      25 김경원, "규칙적인 운동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4 (14): 1-12, 2003

      26 Diener, 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 A measure of global life satisfaction" 49 : 71-75, 1984

      27 Reivich, K., "The resilience factor" Broadway Books 2003

      28 Back, C., "The occurrence of depression on women and the effect of the women's movement" 17 (17): 14-19, 1979

      29 Gergan, K., "The concept of self" Holt 1971

      30 Sonstroem, R. J., "The Physical self" 3-26, 1997

      31 Sonstroem., "Personality, leisure experiences and happiness" 6 : 325-342, 1992

      32 Alfermann, D., "Effects of Physical exercise on self-concept and well being" 30 : 47-65, 2000

      33 Baron & Kenny, "Assumptions and Comparative of the Two-Step Approach" 20 : 321-333, 1986

      34 변영채, "12주간의 댄스스포츠 활동이 여성노인의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 및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5 (25): 39-50,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9 0.98 0.89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