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리모델링 사업 추진단계별 주민의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Residents’ Decision Making by Apartment Remodeling Project Sta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587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the factors determining the residents’ opinions at each stage of the project in order to activate the project for remodeling the vertical extension of old apartments. To this end, the project was aimed at the village of Neuti in Bundang-gu, Seongnam, where remodeling projects were actively carried out, and through AHP analysis, the importance of deciding factors of residents’ opinions in each stage of project implementation was derived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t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anking of the importance of the total 21 items with weights varied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stage of the promotion committee and the establishment stage of the combinatio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promotion committee, items of share burden for each generation, which represented the first place, were ranked secon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union, and items of apartment price increase were ranked first. This shows that as the remodeling project progresses, the economic value increase factor has a greater impact on residents’ decision-making than the burden factor for each generation’s share. Therefore, to facilitate remodeling, the government will have to more focus on items related to economic value increase and push ahead with the project in a transparent manner. However, since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not being able to identify the decision factors of the residents who actually participate in the remodeling project, further research on the residents is needed.
      번역하기

      This study reviewed the factors determining the residents’ opinions at each stage of the project in order to activate the project for remodeling the vertical extension of old apartments. To this end, the project was aimed at the village of Neuti in ...

      This study reviewed the factors determining the residents’ opinions at each stage of the project in order to activate the project for remodeling the vertical extension of old apartments. To this end, the project was aimed at the village of Neuti in Bundang-gu, Seongnam, where remodeling projects were actively carried out, and through AHP analysis, the importance of deciding factors of residents’ opinions in each stage of project implementation was derived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t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anking of the importance of the total 21 items with weights varied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stage of the promotion committee and the establishment stage of the combinatio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promotion committee, items of share burden for each generation, which represented the first place, were ranked secon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union, and items of apartment price increase were ranked first. This shows that as the remodeling project progresses, the economic value increase factor has a greater impact on residents’ decision-making than the burden factor for each generation’s share. Therefore, to facilitate remodeling, the government will have to more focus on items related to economic value increase and push ahead with the project in a transparent manner. However, since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not being able to identify the decision factors of the residents who actually participate in the remodeling project, further research on the residents is nee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후 공동주택의 수직증축 리모델링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사업단계별 주민의사 결정요인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리모델링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성남시 분당구 느티마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AHP 분석을 통해 전문가들의 입장에서 사업추진 단계별 주민의사 결정요인의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가중치를 적용한 전체 21개 항목의 중요도 순위가 추진위원회 설립 단계와 조합설립 단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추진위원회 설립 단계에서 1위를 나타냈던 세대별 분담금 부담정도 항목이 조합설립 단계에서는 2위로 나타났고, 아파트 가격상승 항목이 1위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리모델링 사업이 진행될수록 세대별 분담금 부담요인보다 경제적 가치상승 요인이 주민들의 의사결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해 사업추진과정에서 경제적 가치상승과 관련된 항목을 보다 중점적으로 관리하고 투명하게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리모델링 사업에 실제로 참여하는 주민들의 의사결정요인을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노후 공동주택의 수직증축 리모델링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사업단계별 주민의사 결정요인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리모델링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성남시 분당구 ...

      본 연구는 노후 공동주택의 수직증축 리모델링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사업단계별 주민의사 결정요인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리모델링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성남시 분당구 느티마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AHP 분석을 통해 전문가들의 입장에서 사업추진 단계별 주민의사 결정요인의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가중치를 적용한 전체 21개 항목의 중요도 순위가 추진위원회 설립 단계와 조합설립 단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추진위원회 설립 단계에서 1위를 나타냈던 세대별 분담금 부담정도 항목이 조합설립 단계에서는 2위로 나타났고, 아파트 가격상승 항목이 1위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리모델링 사업이 진행될수록 세대별 분담금 부담요인보다 경제적 가치상승 요인이 주민들의 의사결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해 사업추진과정에서 경제적 가치상승과 관련된 항목을 보다 중점적으로 관리하고 투명하게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리모델링 사업에 실제로 참여하는 주민들의 의사결정요인을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윤배, "제1기 신도시의 도시재생과 관리방안 연구" 경기연구원 2011

      2 고산화, "신도시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계획요소와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6

      3 오호영, "성능개선을 위한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4 최옥규, "리모델링아파트 거주자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3

      5 박래형, "리모델링 아파트의 가격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 소재 리모델링 아파트를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0

      6 김재성,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가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17 (17): 13-22, 2016

      7 한주연, "노후공동주택 리모델링의 사업성 확보를 위한 수직증축 제안" 한국건설관리학회 13 (13): 152-159, 2012

      8 이명훈, "노후 공동주택 정비 활성화를 위한 리모델링 관련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2013

      9 유동규,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제도변화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성남시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부동산·건설대학원 2014

      10 조용경,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요소의 중요도 결정에 관한 연구" 4 (4): 101-116, 2011

      1 장윤배, "제1기 신도시의 도시재생과 관리방안 연구" 경기연구원 2011

      2 고산화, "신도시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계획요소와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6

      3 오호영, "성능개선을 위한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4 최옥규, "리모델링아파트 거주자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3

      5 박래형, "리모델링 아파트의 가격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 소재 리모델링 아파트를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0

      6 김재성,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가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17 (17): 13-22, 2016

      7 한주연, "노후공동주택 리모델링의 사업성 확보를 위한 수직증축 제안" 한국건설관리학회 13 (13): 152-159, 2012

      8 이명훈, "노후 공동주택 정비 활성화를 위한 리모델링 관련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2013

      9 유동규,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제도변화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성남시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부동산·건설대학원 2014

      10 조용경,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요소의 중요도 결정에 관한 연구" 4 (4): 101-116, 2011

      11 박종곤, "공동주택의 수직 증축형 리모델링에 대한 거주자 의식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5

      12 윤영호, "공동주택 증축 리모델링 구조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2010

      13 성순택,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 리모델링의 내/외적 영향분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14 김동재, "공동주택 리모델링사업 추진을 위한 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15 양근원, "공동주택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거주자 수요 분석"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16 김완혁,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타당성 평가를 위한 수익/비용 예측 모델" 대한건축학회 29 (29): 85-92, 2013

      17 김기중, "공동주택 리모델링 관련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0

      18 김정민, "공동주택 리모델링 공사 단계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한남외인 저층아파트 리모델링공사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19 고양시, "고양시 리모델링 중심의 도시정비 선진화정책 수립"

      20 배성인, "Fuzzy-AHP 기법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수직증축 리스크 중요도 평가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