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의 기질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성의 조절효과 =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Between Adolescent Tempera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819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기질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질로는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자극추구와 위험회피 기질을 선정하였고, 관련 문헌에 기반하여 가족기능성의 조절효과가 기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에 거주하는 만 12세~18세 청소년들 중 스마트폰 중독에 문제가 있다고 자가보고 하였으며, 스마트폰 중독 척도에서도 기준점을 넘는 경우 등록되었다. 총 147명 청소년(남 87명, 여 60명)의 기질, 스마트폰 중독, 가족기능성의 하위차원인 가족적응성 및 가족응집성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청소년의 기질과 스마트폰 중독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극추구 기질과 위험회피 기질 모두 스마트폰 중독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청소년의 기질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가족기능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로는, 자극추구 기질은 스마트폰 중독에 있어 주효과를 나타냈으나 가족기능성의 두 하위 차원인 가족적응성과 가족응집성 각각과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위험회피 기질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주효과뿐 아니라 가족적응성과 가족응집성 모두와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었다. 조절의 양상을 세부 분석한 결과, 위험회피기질의 스마트폰 중독에서의 정적 영향은 가족적응성이 융통과 혼돈의 수준 그리고 가족응집성이 연결과 밀착의 수준에 있을 때에만 유의한 반면, 가족적응성이 구조와 경직의 수준, 가족응집성이 분리와 이탈의 수준에 있을 때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를 통해, 자극추구와 위험회피 기질이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취약한 기질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고, 가족적응성과 가족응집성이 높은 상태에서만 기질이 청소년 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유효했고 이러한 조절 현상은 자극추구가 아닌 위험회피 기질에서만 발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청소년의 기질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질로는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자극추구와 위험회피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기질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질로는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자극추구와 위험회피 기질을 선정하였고, 관련 문헌에 기반하여 가족기능성의 조절효과가 기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에 거주하는 만 12세~18세 청소년들 중 스마트폰 중독에 문제가 있다고 자가보고 하였으며, 스마트폰 중독 척도에서도 기준점을 넘는 경우 등록되었다. 총 147명 청소년(남 87명, 여 60명)의 기질, 스마트폰 중독, 가족기능성의 하위차원인 가족적응성 및 가족응집성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청소년의 기질과 스마트폰 중독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극추구 기질과 위험회피 기질 모두 스마트폰 중독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청소년의 기질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가족기능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로는, 자극추구 기질은 스마트폰 중독에 있어 주효과를 나타냈으나 가족기능성의 두 하위 차원인 가족적응성과 가족응집성 각각과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위험회피 기질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주효과뿐 아니라 가족적응성과 가족응집성 모두와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었다. 조절의 양상을 세부 분석한 결과, 위험회피기질의 스마트폰 중독에서의 정적 영향은 가족적응성이 융통과 혼돈의 수준 그리고 가족응집성이 연결과 밀착의 수준에 있을 때에만 유의한 반면, 가족적응성이 구조와 경직의 수준, 가족응집성이 분리와 이탈의 수준에 있을 때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를 통해, 자극추구와 위험회피 기질이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취약한 기질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고, 가족적응성과 가족응집성이 높은 상태에서만 기질이 청소년 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유효했고 이러한 조절 현상은 자극추구가 아닌 위험회피 기질에서만 발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on of family functioning in the effect of adolescent temperament on smartphone addiction. Methods: Adolescents identified as exhibiting smartphone overuse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and 147 adolescents (87 males and 60 females, age M=14.42 years old) completed questionnaires measuring novelty seeking (NS) and harm avoidance (HA) temperaments, family functioning, and smartphone addiction. Results: Both NS and HA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HA and each of the two family functioning variables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hesion) on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were significant, while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NS and family functioning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Subsequent analyses for clarifying the interaction patterns demonstrated that adolescents with high HA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han adolescents with low HA to become addicted to smartphones if their family’s adaptability and cohesion were each in flexible and chaotic levels and in connected and enmeshed levels. Conclusions: This study reconfirmed the importance of NS and HA temperament in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and further illuminating that malleability of temperament from the influence of family on its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temperament.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on of family functioning in the effect of adolescent temperament on smartphone addiction. Methods: Adolescents identified as exhibiting smartphone overuse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and 147 adolescents (8...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on of family functioning in the effect of adolescent temperament on smartphone addiction. Methods: Adolescents identified as exhibiting smartphone overuse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and 147 adolescents (87 males and 60 females, age M=14.42 years old) completed questionnaires measuring novelty seeking (NS) and harm avoidance (HA) temperaments, family functioning, and smartphone addiction. Results: Both NS and HA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HA and each of the two family functioning variables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hesion) on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were significant, while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NS and family functioning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Subsequent analyses for clarifying the interaction patterns demonstrated that adolescents with high HA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han adolescents with low HA to become addicted to smartphones if their family’s adaptability and cohesion were each in flexible and chaotic levels and in connected and enmeshed levels. Conclusions: This study reconfirmed the importance of NS and HA temperament in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and further illuminating that malleability of temperament from the influence of family on its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tempera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규, "한국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과 음주, 흡연군의 성격, 기질 특성 비교" 9 (9): 3-8, 2005

      2 정인영,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기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4

      3 이민지, "청소년의 행동활성화(BAS) 및 행동억제체계(BIS)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용동기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0

      4 강혜진, "청소년의 자기애성향과 SNS이용행동의 관계에서 SNS이용동기의 매개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14 (14): 77-96, 2019

      5 정은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서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8 (28): 119-146, 2017

      6 이상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에 따른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비교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55-79, 2015

      7 원소희, "청소년의 스마트미디어 중독과 개인 내적 심리요인 및 건강상 문제간의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7

      8 차지아, "청소년의 생물학적 성격특성(BAS/BIS)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또래집단 스마트폰 사용조장성의 중재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9 박미숙,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휴대폰중독의 관계 :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2012

      10 박수빈, "중학생의 스마트폰중독이 학교생활적응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 이상규, "한국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과 음주, 흡연군의 성격, 기질 특성 비교" 9 (9): 3-8, 2005

      2 정인영,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기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4

      3 이민지, "청소년의 행동활성화(BAS) 및 행동억제체계(BIS)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용동기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0

      4 강혜진, "청소년의 자기애성향과 SNS이용행동의 관계에서 SNS이용동기의 매개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14 (14): 77-96, 2019

      5 정은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서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8 (28): 119-146, 2017

      6 이상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에 따른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비교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55-79, 2015

      7 원소희, "청소년의 스마트미디어 중독과 개인 내적 심리요인 및 건강상 문제간의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7

      8 차지아, "청소년의 생물학적 성격특성(BAS/BIS)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또래집단 스마트폰 사용조장성의 중재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9 박미숙,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휴대폰중독의 관계 :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2012

      10 박수빈, "중학생의 스마트폰중독이 학교생활적응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1 윤미애,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2 이형초, "인터넷 게임중독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건강심리학회 7 (7): 463-486, 2002

      13 김송이, "유아의 자극추구 및 위험회피 기질과 스마트폰 과다사용과의 관계에서 모-유아 애착안정성의 매개 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11 (11): 45-63, 2016

      14 김문영, "유아의 기질과 스마트폰 과다사용의 관계에서 어머니 성격특성의 조절효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5 강희양,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 31 (31): 563-580, 2012

      16 김현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관련 있는 유아 개인 변인 연구"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12 (12): 1-21, 2017

      17 황경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65-375, 2012

      18 하승수, "기질과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가 성격 강점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30 (30): 263-284, 2011

      19 김보라, "기질, 정서표현 양가성,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23 (23): 271-292, 2018

      20 민병배, "기질 및 성격검사 매뉴얼" 마음사랑 2007

      21 진은희,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 간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3 (23): 683-708, 2017

      22 김영경, "고등학생의 가족기능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외로움과 영적 안녕의 매개효과"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8 (28): 43-69, 2017

      23 박순아, "가족의 기능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325-333, 2017

      24 고재수, "가족기능성과 학교적응유연성의 관계에서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 14 (14): 140-151, 2014

      25 김남영, "가족기능과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4

      26 여종일, "가족관계와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충동성의 매개효과" 열린부모교육학회 7 (7): 101-112, 2015

      27 최진한, "가정환경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2 : 1106-1109, 2017

      28 이상길, "가정배경 변인에 따른 일반계 고교생이 지각한 가족적응성과 가족응집성의 차이"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435-448, 2004

      29 Cloninger, C. R.,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A guide to its development and use" Center for Psychobiology of Personality 1994

      30 Thomas, A., "Temperament and development" Brunner/Mazel 1977

      31 Bakeman, R., "Recommended effect size statistics for repeated measures designs" 37 : 379-384, 2005

      32 Keltikangas-Jarvinen, L., "Nature and nurture in personality, 8" Focus-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180-186, 2011

      33 Olson, D. H., "FACES Ⅲ manual" University of Minnesota 1985

      34 Gomez, R., "Cloninger's personality dimensions and ADHD : A meta-analytic review" 107 : 219-227, 2017

      35 Olson, D. H.,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s: IV. Theoretical Update" 22 (22): 69-83, 1983

      36 Drake, K. L., "Child anxiety sensitivity and family environment as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psychopathology, parent anxiety sensitivity, and child anxiety" 30 : 79-86, 2008

      37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가족치료학회지 -> 가족과 가족치료
      외국어명 : 미등록 -> Family and Family Therap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9-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8 1.12 1.27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