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쇼핑을 활용하는 30대 여성의 패션상품 구매 및 착장의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2551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o an in-depth examination of Korean women in their 30’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nline fashion shopping, clothes-wearing, and presentation. In-depth interview and quantit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as study methods. Results of this in-depth analysis showed that the factor with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in their lifestyle was “childbirth.” Childbirth was a major factor during fashion shopping and clothes-wearing.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ason they used online shopping was for convenience, efficiency, rationality, pursuit of information, variety, and hedonism. In particular, women in their 30’s had a higher motivation for efficiency and rationality compared to those in their 20’s, and of those women, married working women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fashion soho malls. Meanwhile, full-time homemakers, who pursued rationality, used open markets to search for fashion items based on price. Furthermore, the factors that women in their 30’s considered during online shopping were price, design, purpose or situation for wearing the clothing,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women in their 20’s, they emphasized recommendation, product properties, credibility, economy more than women in their 20’s. Factors such as marriage and childbirth were more influential than occupation. Meanwhile, the factors that women in their 30’s considered for wearing and presentation were time, place, and occasion(TPO), which all showed high importance in in-depth interview and quantitative analysis. Other factors were ‘suitable image to self’ and ‘covering up body fig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o an in-depth examination of Korean women in their 30’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nline fashion shopping, clothes-wearing, and presentation. In-depth interview and quantit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a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o an in-depth examination of Korean women in their 30’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nline fashion shopping, clothes-wearing, and presentation. In-depth interview and quantit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as study methods. Results of this in-depth analysis showed that the factor with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in their lifestyle was “childbirth.” Childbirth was a major factor during fashion shopping and clothes-wearing.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ason they used online shopping was for convenience, efficiency, rationality, pursuit of information, variety, and hedonism. In particular, women in their 30’s had a higher motivation for efficiency and rationality compared to those in their 20’s, and of those women, married working women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fashion soho malls. Meanwhile, full-time homemakers, who pursued rationality, used open markets to search for fashion items based on price. Furthermore, the factors that women in their 30’s considered during online shopping were price, design, purpose or situation for wearing the clothing,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women in their 20’s, they emphasized recommendation, product properties, credibility, economy more than women in their 20’s. Factors such as marriage and childbirth were more influential than occupation. Meanwhile, the factors that women in their 30’s considered for wearing and presentation were time, place, and occasion(TPO), which all showed high importance in in-depth interview and quantitative analysis. Other factors were ‘suitable image to self’ and ‘covering up body fig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세영, "한국 20~30대 여성의 패션 프레임과 패션이미지 유형화" 한국복식학회 63 (63): 118-131, 2013

      2 김태희, "트렌드세터의 중심이 된 3040여성과 마케팅 시사점" 12-, 2010

      3 이영숙, "체형과 관련된 중장년 여성의 의복 감성에 관한 연구" 14 (14): 203-, 2001

      4 유은영, "인터넷쇼핑몰의 의류상품정보 제시방법에 따른 쇼핑가치와 만족" 한국의류학회 34 (34): 14-26, 2010

      5 "인터넷쇼핑, 30대가 이용도, 지출도 ‘최고’"

      6 최은영, "인터넷상의 의류상품 제시방법과 구매의사결정과의 관계 연구" 50 (50): 103-115, 2000

      7 강민정, "인터넷 일반쇼핑몰과 여성의류쇼핑몰의 선호요인과 만족도"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2 (12): 1-13, 2010

      8 김선숙, "인터넷 의류 상품 구매자의 유형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4 (4): 75-91, 1999

      9 최은정, "인터넷 쇼핑시 소비자의 위험 지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10 김명선, "인터넷 쇼핑몰의 소비자 쇼핑동기와 지각된 쇼핑 가치에 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8

      1 신세영, "한국 20~30대 여성의 패션 프레임과 패션이미지 유형화" 한국복식학회 63 (63): 118-131, 2013

      2 김태희, "트렌드세터의 중심이 된 3040여성과 마케팅 시사점" 12-, 2010

      3 이영숙, "체형과 관련된 중장년 여성의 의복 감성에 관한 연구" 14 (14): 203-, 2001

      4 유은영, "인터넷쇼핑몰의 의류상품정보 제시방법에 따른 쇼핑가치와 만족" 한국의류학회 34 (34): 14-26, 2010

      5 "인터넷쇼핑, 30대가 이용도, 지출도 ‘최고’"

      6 최은영, "인터넷상의 의류상품 제시방법과 구매의사결정과의 관계 연구" 50 (50): 103-115, 2000

      7 강민정, "인터넷 일반쇼핑몰과 여성의류쇼핑몰의 선호요인과 만족도"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2 (12): 1-13, 2010

      8 김선숙, "인터넷 의류 상품 구매자의 유형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4 (4): 75-91, 1999

      9 최은정, "인터넷 쇼핑시 소비자의 위험 지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10 김명선, "인터넷 쇼핑몰의 소비자 쇼핑동기와 지각된 쇼핑 가치에 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8

      11 김선숙,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의 의류상품 쇼핑행동 유형 연구" 한국의류학회 27 (27): 1036-1147, 2003

      12 이용기, "인터넷 쇼핑동기에 따른 소비자 감정적 반응의 유형 비교" 한국전략마케팅학회 18 (18): 97-115, 2010

      13 홍종필, "인터넷 쇼핑 환경에서 소비자의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11 : 171-208, 2003

      14 홍희숙, "인터넷 쇼핑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의류상품 구매후기 정보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의류학회 35 (35): 761-774, 2011

      15 이형미, "인터넷 상거래에서 소비자 만족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16 김은숙, "온라인 의류 점포유형에 따른 점포속성 중요도" 한국의류학회 31 (31): 1310-1320, 2007

      17 "온라인 신(新)유통 키워드 ‘큐레이션 커머스’ 선택의 시간까지 아껴준다"

      18 황덕란, "온라인 쇼핑몰에서 소비자의 쇼핑 동기와 감정이 쇼핑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구매경험자와 잠재구매자간의 차이 분석" 한국산업경영학회 22 (22): 347-375, 2007

      19 이미숙, "여성 소비자의 의복 쇼핑 성향에 따른 의복 구매 행동 - 연령집단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복식문화학회 18 (18): 1138-1152, 2010

      20 전경란, "여성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의복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청년층, 중년층, 노년층을 대상으로 -" 복식문화학회 16 (16): 444-460, 2008

      21 홍금희, "쇼핑동기와 서비스품질 지각이 고객의 감정적 반응과 패션점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6 (26): 216-226, 2002

      22 박재진, "소비자의 인터넷쇼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15 (15): 289-315, 2004

      23 최자영, "성별, 쇼핑동기, 플로우 경험이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53-66, 2012

      24 이용숙, "분류체계 성분분석법 재개발 실행연구 : 수업분석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99-128, 2009

      25 이미아, "미혼여성과 기혼여성의 소비가치 및 의복추구혜택의 비교연구-20~30대 직장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34 (34): 808-818, 2010

      26 이용숙, "대학 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디자인의 새로운 접근 방법 개발 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729-770, 2012

      27 이재학, "e-비즈니스시대의 여성소비자 의류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1 (11): 111-136, 2010

      28 Tauber, E. M., "Why do people shop" 36 (36): 46-49, 1972

      29 Dawson, S., "Shopping motives, emotional states, and retail outcomes" 66 (66): 408-427, 1990

      30 Eastlicka, M. A., "Shopping motives for mail catalog shopping" 45 (45): 281-290, 1999

      31 Rohm, A. J., "A typology of online shoppers based on shopping motivations" 57 : 748-757, 2004

      32 이고은, "30~40대 미혼여성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33 DMC Media, "2030 여성소비자 보고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5 0.79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