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라 이야기 나누기와 조형 활동의 수업을 평가하여 보육교사의 수업 전문성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 광역시에 소재한 보육...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7053166
201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9-61(23쪽)
1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라 이야기 나누기와 조형 활동의 수업을 평가하여 보육교사의 수업 전문성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 광역시에 소재한 보육...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라 이야기 나누기와 조형 활동의 수업을 평가하여 보육교사의 수업 전문성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 광역시에 소재한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84명이다. 연구도구는 백은주ㆍ조부경(2004)이 개발한 전문성 발달 수준 검사 도구와 선행연구 및 관련문헌(김희진ㆍ박은혜ㆍ이지현, 2000; 박승순, 2004; 정영희, 2005; 허미애, 2007)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관찰 평가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총점을 기준으로 집단(상집단과 하집단)을 구분하고, 각 집단에 따른 수업 전문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성 발달 수준이 높은 보육교사는 낮은 보육교사보다 이야기 나누기 활동의 수업 전문성이 높았으며, 특히 이야기나누기의 주제 선정, 사전 준비 및 매체 활용, 소요 시간에 대한 수업 전문성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성 발달 수준이 높은 보육교사는 낮은 보육교사보다 조형 활동의 수업 전문성이 높았으며, 조형 활동의 선정, 환경 준비, 지도 과정에 대한 수업 전문성에서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과 수업 전문성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증명하는 것으로,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 수준을 높이기 위한 현직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differences in instructional expertise among childcare teachers in relation to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s through evaluation of their story discussion and art activity classes. Employ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is study examines differences in instructional expertise among childcare teachers in relation to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s through evaluation of their story discussion and art activity classes. Employ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4 teachers working for childcare institutions in G Metropolitan City. A questionnair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after being prepared on the basis of a professional development test tool developed by Baek Eun-ju and Jo Bu-gyeong (2004) as well as related previous studies and bibliographies (Kim Hee-jin, Park Eun-hye, Lee Ji-hyeon, 2000; Park Seung-sun, 2004; Huh Mi-ae, 2007). For data analysis, the teach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upper group and the lower group) in accordance with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scores. Independent t-tes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instructional experti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childcare teachers with high level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displayed higher levels of instructional expertise in story discussion class than those with low level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difference was particularly conspicuous in topic selection, class preparations and the use of media, as well as time allotment. Second, childcare teachers with high level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displayed higher levels of instructional expertise in art activity class than those with low level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former group turned out to have better instructional expertise than the latter group in all the related areas of art activity selection, arrangement of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processes.
This study showed that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s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instructional expertise. The findings may be used as basic materials in developing program models designed to enhance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s of childcare teacher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승호, "현대 교육평가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1996
2 임재근, "초등 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7 (27): 93-101, 2008
3 전일우, "주간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유치원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분석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201-218, 2004
4 문연심, "이야기나누기" 한국어린이육영회 135-150, 1990
5 백진숙, "이야기 나누는 시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4
6 양세열, "이야기 나누기 수업모형을 적용한 임상장학이 유치원 교사의 수업 개선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11 (11): 275-308, 2004
7 박성민, "유치원 일일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생활주제와 대·소집단 교육활동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8 남옥자, "유치원 실습지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따른 실습지도 관련 스트레스" 교육연구원 24 (24): 120-136, 2008
9 이미선, "유치원 수업중심 동료장학의 실행수준과 요구수준 및 활성화에 대한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0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서Ⅰ(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009
1 강승호, "현대 교육평가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1996
2 임재근, "초등 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7 (27): 93-101, 2008
3 전일우, "주간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유치원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분석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201-218, 2004
4 문연심, "이야기나누기" 한국어린이육영회 135-150, 1990
5 백진숙, "이야기 나누는 시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4
6 양세열, "이야기 나누기 수업모형을 적용한 임상장학이 유치원 교사의 수업 개선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11 (11): 275-308, 2004
7 박성민, "유치원 일일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생활주제와 대·소집단 교육활동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8 남옥자, "유치원 실습지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따른 실습지도 관련 스트레스" 교육연구원 24 (24): 120-136, 2008
9 이미선, "유치원 수업중심 동료장학의 실행수준과 요구수준 및 활성화에 대한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0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서Ⅰ(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009
11 박진희,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 이야기 나누기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2 백은주,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자기 평가 도구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95-117, 2004
13 이옥주, "유치원 교사의 역할지각과 역할수행에 관한 공·사립 간 비교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1999
14 이정환, "유아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교문사 1995
15 정영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이야기 나누기 수업절차모형 적용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6 김희진,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관찰" 창지사 2000
17 김승옥, "유아교육(예비현직)의 자기 평가와 교사 전문성 인식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5 (15): 117-126, 2006
18 조부경, "유아교사의 발달을 돕는 장학" 양서원 2001
19 허미애, "유아교사를 위한 이야기 나누기의 이론과 실제" 공동체 2007
20 권건일, "유아교사론" 양서원 2007
21 유민임, "유아교과교육론" 학지사 2007
22 최현미, "유아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요구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257-265, 2008
23 박승순, "유아 교사의 수업평가 도구개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4 오영희,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현장관찰 및 참여" 양서원 2007
25 안효일, "수업 전문성의 근거 : 지식의 통합성" 한국초등교육학회 20 (20): 119-144, 2007
26 추광재,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 평가 준거의 이론적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 : 1-20, 2004
27 이연승,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실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41-67, 2005
28 곽병선, "교실교육의 개혁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 18 (18): 5-13, 2001
29 한국교육개발원, "교사평가시스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4
30 정미경,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수업 분석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10 (10): 371-384, 2006
31 조호제,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업전문성의 차이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183-207, 2009
32 이대균, "교사 효능감 증진을 위한 유아교육 실습" 공동체 2009
33 A. Hargreaves, "Understanding teacher development" Teachers College Press 1992
34 Eisner, E., "The arts and the creation mind"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2002
35 Liberman, A., "Teachers transforming their world and their work" Teachers College Press 1997
36 Feldman, S., "Teacher quality and professional unionism" 1998
37 Sachs, J., "Teacher professional standards: Controlling and developing teaching" 9 (9): 175-185, 2003
38 Hurberman, A., "Teacher development and instructional mastery. in: Rethinking teacher development" OISE Press 121-142, 1992
39 Day, C., "Revisiting the purpose of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in: Learning through networks: Trust, partnerships and the power of action research" 12 (12): 575-658, 2003
40 Spodek, B., "Professionalism and the early childhood practitioner" Teacher College Press 1998
41 Rodriguez, E. M., "Preparing quality teachers: Issues and trends in the states" The State Higher Education Executive Officers 2000
42 Loup, K. S., "Measuring and linking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teacher self and organizational efficacy, receptivity to change and multiple indices of school effectiveness" Louisiana State University 1994
43 Rovegno, I., "Learning to teach in a field-based methods course: The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8 (8): 69-82, 1992
44 Shulman, L. S.,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57 : 1-22, 1987
45 Wenglinsky, H., "How teaching matter: Bringing the classroom back into discussions of teacher quality" Educational Testing Service 2000
46 Brown, P., "Exploring he ritual of group time in a kindergarten classroom"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Champaign 1993
47 Coombe, K. M., "Ethics and the learning community. in: Learning communities in education" Routledge 1999
48 Zeidler, D. L., "Dancing with maggots and saints: Visions for subject matter knowledge, pedagogical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reform" 13 (13): 227-242, 2002
49 Katz, L. G., "Advances in teacher education" Albex 1984
유아의 도덕적 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유아의 개인적 특성과의 관계
보육시설 클라이언트의 지각된 편익이 관계몰입과 전환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04 | 2.04 | 2.1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02 | 1.95 | 2.428 | 0.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