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린이집 영유아 체육특별활동 수업의 효율적 운영 방안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076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at figuring out recognition of the principals on management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activity classes in childcare centers, and suggesting required to manage extracurricular physical education activity classes for infants and toddlers. For achieving the goal, the case study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selected and conducted on five principals of the childcare centers in Seoul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they recognized highly the necessity of extracurricular physical education activity class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Second, they also recognized tha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uld improve positively quality of classes through realization of extracurricular physical education activity classes interacting with toddlers. Third, they recognized that increasing efficiency of extracurricular physical education activity classes through evaluation process was done. Fourth, they recogniz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nd realize the programs related to extracurricular physical education activity classes through curriculum for infants and toddlers. Fifth, they recognized that it necessitated to invigorate and settle the system of teachers in charge of physical education for raising the efficiency of teaching to enhance professionalism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Sixth, they recognized that it was required to understand comprehensively the curriculum through suggesting road map in order to manage extracurricular physical education activity classes efficient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at figuring out recognition of the principals on management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activity classes in childcare centers, and suggesting required to manage extracurricular physical education activity classes for inf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at figuring out recognition of the principals on management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activity classes in childcare centers, and suggesting required to manage extracurricular physical education activity classes for infants and toddlers. For achieving the goal, the case study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selected and conducted on five principals of the childcare centers in Seoul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they recognized highly the necessity of extracurricular physical education activity class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Second, they also recognized tha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uld improve positively quality of classes through realization of extracurricular physical education activity classes interacting with toddlers. Third, they recognized that increasing efficiency of extracurricular physical education activity classes through evaluation process was done. Fourth, they recogniz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nd realize the programs related to extracurricular physical education activity classes through curriculum for infants and toddlers. Fifth, they recognized that it necessitated to invigorate and settle the system of teachers in charge of physical education for raising the efficiency of teaching to enhance professionalism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Sixth, they recognized that it was required to understand comprehensively the curriculum through suggesting road map in order to manage extracurricular physical education activity classes efficient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및 제언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상녀, "팀티칭 현장 수업 장학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5) : 19-41, 2013

      2 Stake, R., "질적 사례 연구" 창지사 2000

      3 손재호, "유아체육지도자와 학부모의 체육인지도 : 대전광역시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1

      4 목진우, "유아체육의 전문성 제고방안"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5 김욱희, "유아체육에 대한 유치원 학부모가 인식한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최청락, "유아체육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8 : 63-82, 2007

      7 나현진, "유아체육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가 인식한 유아체육 프로그램 만족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명경숙, "유아의 신체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9 박태섭, "유아의 기초운동기능의 발달에맞춘 유아체육프로그램의 개발" 1 (1): 2001

      10 김영은,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체육활동 운영실태 및 교사인식"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 정상녀, "팀티칭 현장 수업 장학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5) : 19-41, 2013

      2 Stake, R., "질적 사례 연구" 창지사 2000

      3 손재호, "유아체육지도자와 학부모의 체육인지도 : 대전광역시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1

      4 목진우, "유아체육의 전문성 제고방안"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5 김욱희, "유아체육에 대한 유치원 학부모가 인식한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최청락, "유아체육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8 : 63-82, 2007

      7 나현진, "유아체육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가 인식한 유아체육 프로그램 만족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명경숙, "유아의 신체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9 박태섭, "유아의 기초운동기능의 발달에맞춘 유아체육프로그램의 개발" 1 (1): 2001

      10 김영은,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체육활동 운영실태 및 교사인식"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1 주봉관, "유아교육기관 방과후 체육특성화활동 운영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167-188, 2016

      12 송기문, "유아교육 기관의 유아체육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06

      13 안상춘, "유아 신체발달과 체육활도에 대한 유아체육 강사의 인식 및 유아체육 지도현황" 교육과학연구소 35 (35): 63-79, 2004

      14 조경자, "유아 공감 능력함양을 위한 교육적 접근" 4 : 47-72, 2012

      15 이경화, "영유아교육기관 평가의 현실과 개선 방향 탐색"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7 (17): 49-73, 2018

      16 김지혜, "어린이집의 특별활동 실태 및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17 국지윤, "어린이집 평가인증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199-224, 2014

      18 박성혜, "어린이집 특별활동 적정 관리 방안 이후 특별활동 실태 및 교사 인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9 최명호, "어린이집 유아신체놀이 활동에 대한 대전지역 학부모의 인식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9 : 237-248, 2005

      20 서은경, "어린이집 영아 특별활동 실태 및 원장과 부모의 인식 비교" 열린부모교육학회 9 (9): 203-230, 2017

      21 황혜숙, "서울시 국공립 어린이집 만2세영아대상 특별활동 시실에 대한 부모 인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22 이대현, "보육시설의 유아체육활동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6

      23 정세호, "또래협동에 기초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24 Merriam, S. B., "교육학에서의 질적사례연구법" 양서원 1994

      25 주현정, "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수 의도 행동에 따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한국보육학회 18 (18): 1-15, 2018

      26 권경숙, "가정어린이집 원장들의 어린이집 운영 과정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1-27, 2012

      27 Santrock, J., "Children" McGraw-Hill Higher Education 2009

      28 보건복지부, "2018 보육통계" 보건복지부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0.59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