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상민, "한국적 학교상담 모형개발을 위한 한국과 미국의 학교상담 비교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539-567, 2007
2 최상근, "한국 초․중등교사의 교직 사회화 과정 연구" 3 (3): 57-78, 1993
3 김인규, "전문상담교사제도 발전방안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517-534, 2009
4 금명자,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자 역할에 대한 기대와 예상의 차이"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843-861, 2007
5 김지연,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 유형 탐색" 한국상담학회 16 (16): 157-175, 2015
6 이지희,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요구분석" 한국상담학회 13 (13): 193-214, 2012
7 이지원,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발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17 (17): 351-372, 2016
8 남순임, "전문상담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퍼비전 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2016
9 이지희, "전문상담교사의 능력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10 김혜숙, "전문상담교사 경력 단계별 연수 요구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9 (9): 505-528, 2012
1 이상민, "한국적 학교상담 모형개발을 위한 한국과 미국의 학교상담 비교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539-567, 2007
2 최상근, "한국 초․중등교사의 교직 사회화 과정 연구" 3 (3): 57-78, 1993
3 김인규, "전문상담교사제도 발전방안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517-534, 2009
4 금명자,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자 역할에 대한 기대와 예상의 차이"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843-861, 2007
5 김지연,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 유형 탐색" 한국상담학회 16 (16): 157-175, 2015
6 이지희,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요구분석" 한국상담학회 13 (13): 193-214, 2012
7 이지원,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발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17 (17): 351-372, 2016
8 남순임, "전문상담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퍼비전 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2016
9 이지희, "전문상담교사의 능력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10 김혜숙, "전문상담교사 경력 단계별 연수 요구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9 (9): 505-528, 2012
11 여혜경, "전문상담가와 초심상담가의 내담자에 대한 가설형성의 차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2 통계청, "전국 청소년 상담 내용 및 대상현황"
13 한은주, "역전이 활용능력과 상담만족도의 관계 : 작업동맹의 매개효과 검증"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4 (34): 75-91, 2013
14 최명식, "역전이 개념의 변천, 분류 및 치료적 활용에 대한 이해" 24 : 1-22, 2003
15 차지은, "아동상담자의 역전이 관리 능력에 관한 연구 : 경력·훈련 경험, 상담자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성향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16 하정, "상담전문가의 역전이 관리 과정" 한국상담심리학회 28 (28): 311-337, 2016
17 장세미, "상담자의 특성, 역전이 관리능력 및 상태불안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9
18 고윤희,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과정에 대한 연구: 자기성찰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805-839, 2014
19 김순영, "상담자의 상담경력에 따른 상위인지 자각과 포커싱적 태도가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6 (16): 157-178, 2015
20 이윤주, "상담자의 사례개념화 수행능력과 상담경력간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257-272, 2002
21 오효정, "상담자의 경력과 사례개념화수준 간의 관계: 인지적 지혜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255-271, 2012
22 이선옥,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포커싱적 태도가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 포커싱적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3 손은정, "상담자 발달 수준별 사례 개념화의 차이: 개념도를 통한 인지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829-840, 2002
24 Sperry, L., "상담실무자를 위한 사례개념화: 이해와 실제" 학지사 2016
25 이미정, "상담수련과정에서상담자의 자기 발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16 (16): 1-29, 2015
26 이윤주, "상담사례개념화 요소목록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27 Landany, N., "상담 수퍼비전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3
28 홍영식, "상담 수퍼비전에서 상담자의 자각이 상담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3 (13): 1387-1406, 2012
29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30 이호정, "사례개념화의 상담자 자가평가와 수퍼바이저 평가와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1 서경희, "사례개념화 상담자 자가평가 척도 개발"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657-673, 2008
32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33 Hill, C. E., "Therapist techniques, client involvement, and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Inextricably intertwined in the therapy process" 42 (42): 431-442, 2005
34 Loganbill, C., "Supervision : A Conceptual model" 10 : 3-42, 1982
35 Studer, J. R., "Supervising the school counseling trainee: Guidelines for practice"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2006
36 Kernberg, O., "Notes on countertransference" 13 : 38-56, 1965
37 Hayes, J. A., "Managing Countertransference" 48 (48): 88-97, 2011
38 김인규, "DACUM법을 활용한 전문상담교사의 직무분석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97-115, 2010
39 Van Wagoner, S. L., "Countertransference and the reputedly excellent therapist" 28 (28): 411-421, 1991
40 Gelso, C. J., "Components of the Psychtherapy Relationship : Their Interaction and Unfolding During Treatment" 41 (41): 296-306, 1994
41 채순옥, "B대학교 상담센터에서의 상담수련 경험에 관한 연구" 4 (4): 73-89,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