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불균등하게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의료이용의 공간적 접근성을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신환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불균등하게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의료이용의 공간적 접근성을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신환을 ...
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불균등하게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의료이용의 공간적 접근성을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신환을 대상으로 치과의료기관에 대한 접근성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신환 분포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2020년에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부산 및 경남 지역의 신환을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연령, 성별, 거주지, 초진 시 주소(Chief complaint), 내원 경로, 의과적 병력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신환의 거주지에서 가장 가까운 치과의원, 소아전문 치과의원 및 부산대학교 치과병원과의 거리에 측정하여 이에 따른 환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의료기관 접근성 평가를 위해 거주지에서 치과의료기관까지의 거리를 10 km를 단위로 분류하였고, 소아치과의원의 경우 10 km 내 의원 유무도 분류하였다.
신환의 거주지와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치아우식을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의 비율이 감소하였고, 교정치료를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치아 우식이 주소인 환자는 부산대학교 치과병원과의 거리가 10 km 이내일 때 27.9%를 차지하였고, 30 km 이상일 때 20.5%를 차지하였다. 교정치료가 주소인 환자는 거리가 10 km 이내일 때 25.4%를 차지하였고, 30 km 이상일 때 27.3%를 차지하였다. 외과적 치료를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는 거리가 10 km 이상인 경우 약 33%의 일정한 비율로 유지되었다. 환자의 거주지 반경 10 km 이내에 소아치과의원이 없는 경우에서 치아 우식을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가 28.6%로 있는 경우의 22.9%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부산 및 경남 지역의 치과의료기관의 분포를 파악하고, 지리적 접근성에 따라 의료기관별 내원하는 환자의 비율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환자들의 물리적, 지리적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진료 대책을 수립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