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상권 활성화 방안 : 대전광역시 일반근린형을 중심으로 = Vitalization for Business District in Urban Regeneration New-Deal Project : Focused on the Neighborhood Type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827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심 상권은 그 지역을 지탱하는 원동력이었으며 도시의 발달과 함께 도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주거지역과 밀집된 골목상권 및 전통시장은 서민경제의 한 축을 담당했으며 기초적인 도시경제활동을 영위하기 위한 공간이다. 이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발전되었으며 오늘날에는 그 지역의 역사와 정서를 갖춘 대표적인 공간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교통수단의 발달과 신시가지 및 대형 할인점, SSM의 등장은 지역의 소규모 상권을 쇠퇴시켰으며 인구의 유출로 인한 도시의 쇠퇴와 건축물 및 기반시설의 노후화로 인해 상권은 슬럼화가 진행되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2017년 도시재생 뉴딜사업 발표를 통해 쇠퇴한 지역을 살리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소규모 상업 및 주거지역에 대한 재생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 선진 사례분석에 기초하여 대전광역시 도시재생 뉴딜사업 지역 중 일반근린형을 대상으로 상권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하되 일반근린형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지에 한정하며, 각 사업지의 골목상권, 전통시장 등의 상업기능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물리, 경제,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의 도시재생 상권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권 활성화를 위해 상업 건축물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며 상업 건축물 정비시 지역 랜드마크를 활용한 리모델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상권과 연계할 공원, 문화시설 등 기반시설 확충을 통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사람 중심의 계획을 통해 커뮤니티 공간을 형성하여 상인과 방문객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해야 한다.
      둘째, 상권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창업 지원, 청년 기업육성 등의 일자리 창출방안과 아이디어 발굴을 통해 플랫폼 사업, 자체브랜드(PB) 개발 등의 지역특화 전략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소득의 재분배를 통한 투자를 통해 지속적인 도시재생사업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정부의 정책 지원사업과 함께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의식이 중요하다. 앞서 분석한 사례를 보면 쇠퇴한 상권 기능을 다시 회복하기까지 상인들의 많은 노력이 요구되었으므로 상인들의 능동적 참여와 의식개선으로 상권 활성화를 이루어야 한다.
      셋째, 상권 유지를 위한 상인들의 거버넌스 구축 및 역량 강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인 간의 협의회를 구성하여 이해집단 간의 갈등을 조정하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통해 경영 능력, 서비스 질 향상 등을 위한 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상인협의회 자체에서 진행할 수 없는 상황에 대비하여 재생센터, 기업, 연구소의 협업을 통한 상권 활성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도시가 지속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유지되기 위해서는 상인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지역 내 지속적 투자로 자생할 수 있도록 지역특화 전략을 함께 연구해야 한다.
      넷째,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문화적 자산을 바탕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운영하고 이에 따른 재생방안을 수립하여 상권 활성화를 유도해야 한다. 또한 언론, SNS, 인터넷 등을 활용한 지역의 인지도를 높이는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소극적인 정부 및 지자체의 정책은 지역특성을 잃게 하므로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역고유의 역사와 문화자원을 활용한 재생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재생사업 지구내 상권 활성화를 위해서는 편중된 계획은 재원 분배의 형평성에 어긋나며 지속적인 도시재생사업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성공적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물리,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측면을 고려한 사업 진행이 이루어져야 한다.
      번역하기

      도심 상권은 그 지역을 지탱하는 원동력이었으며 도시의 발달과 함께 도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주거지역과 밀집된 골목상권 및 전통시장은 서민경제의 한 축을 담당했으며 기초...

      도심 상권은 그 지역을 지탱하는 원동력이었으며 도시의 발달과 함께 도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주거지역과 밀집된 골목상권 및 전통시장은 서민경제의 한 축을 담당했으며 기초적인 도시경제활동을 영위하기 위한 공간이다. 이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발전되었으며 오늘날에는 그 지역의 역사와 정서를 갖춘 대표적인 공간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교통수단의 발달과 신시가지 및 대형 할인점, SSM의 등장은 지역의 소규모 상권을 쇠퇴시켰으며 인구의 유출로 인한 도시의 쇠퇴와 건축물 및 기반시설의 노후화로 인해 상권은 슬럼화가 진행되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2017년 도시재생 뉴딜사업 발표를 통해 쇠퇴한 지역을 살리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소규모 상업 및 주거지역에 대한 재생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 선진 사례분석에 기초하여 대전광역시 도시재생 뉴딜사업 지역 중 일반근린형을 대상으로 상권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하되 일반근린형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지에 한정하며, 각 사업지의 골목상권, 전통시장 등의 상업기능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물리, 경제,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의 도시재생 상권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권 활성화를 위해 상업 건축물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며 상업 건축물 정비시 지역 랜드마크를 활용한 리모델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상권과 연계할 공원, 문화시설 등 기반시설 확충을 통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사람 중심의 계획을 통해 커뮤니티 공간을 형성하여 상인과 방문객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해야 한다.
      둘째, 상권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창업 지원, 청년 기업육성 등의 일자리 창출방안과 아이디어 발굴을 통해 플랫폼 사업, 자체브랜드(PB) 개발 등의 지역특화 전략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소득의 재분배를 통한 투자를 통해 지속적인 도시재생사업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정부의 정책 지원사업과 함께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의식이 중요하다. 앞서 분석한 사례를 보면 쇠퇴한 상권 기능을 다시 회복하기까지 상인들의 많은 노력이 요구되었으므로 상인들의 능동적 참여와 의식개선으로 상권 활성화를 이루어야 한다.
      셋째, 상권 유지를 위한 상인들의 거버넌스 구축 및 역량 강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인 간의 협의회를 구성하여 이해집단 간의 갈등을 조정하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통해 경영 능력, 서비스 질 향상 등을 위한 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상인협의회 자체에서 진행할 수 없는 상황에 대비하여 재생센터, 기업, 연구소의 협업을 통한 상권 활성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도시가 지속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유지되기 위해서는 상인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지역 내 지속적 투자로 자생할 수 있도록 지역특화 전략을 함께 연구해야 한다.
      넷째,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문화적 자산을 바탕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운영하고 이에 따른 재생방안을 수립하여 상권 활성화를 유도해야 한다. 또한 언론, SNS, 인터넷 등을 활용한 지역의 인지도를 높이는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소극적인 정부 및 지자체의 정책은 지역특성을 잃게 하므로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역고유의 역사와 문화자원을 활용한 재생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재생사업 지구내 상권 활성화를 위해서는 편중된 계획은 재원 분배의 형평성에 어긋나며 지속적인 도시재생사업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성공적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물리,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측면을 고려한 사업 진행이 이루어져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Ⅱ.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4
      • Ⅰ.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Ⅱ.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4
      • 2.1 도시재생 뉴딜사업 4
      • 2.1.1 도시재생의 정의 및 필요성 4
      • 2.1.2 도시재생 뉴딜사업 6
      • 2.1.3 일반근린형 도시재생사업 특성 8
      • 2.2 상권 활성화의 개념 10
      • 2.2.1 상권의 정의 10
      • 2.2.2 상권 활성화의 필요성 12
      • 2.3 상권의 종류 13
      • 2.3.1 골목상권 13
      • 2.3.2 전통시장 15
      • 2.4 선행연구검토 16
      • 2.4.1 상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16
      • 2.4.2 전통시장 활성화에 관한 연구 17
      • 2.4.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20
      • Ⅲ. 해외 도시재생 사례 분석 21
      • 3.1 분석의 틀 21
      • 3.2 사례분석 24
      • 3.2.1 골목상권 사례분석 24
      • 3.2.1.1 일본 요코하마시 고가네초 24
      • 3.2.1.2 일본 도쿄 기치조지 26
      • 3.2.1.3 일본 도쿄 시모키타자와 28
      • 3.2.2 전통시장 사례분석 31
      • 3.2.2.1 미국 파이크 플레이스 마켓 31
      • 3.2.2.2 영국 코벤트 가든 마켓 33
      • 3.2.2.3 스페인 산타 카테리나 시장 35
      • 3.3 사례분석 종합 39
      • Ⅳ. 일반근린형 도시재생뉴딜사업 상권 활성화 방안 41
      • 4.1 대전광역시 도시재생 뉴딜사업 41
      • 4.1.1 대전시 도시재생사업 현황 41
      • 4.2 일반근린형 도시재생 뉴딜사업 현황 44
      • 4.2.1 중구 중촌동 도시재생사업 44
      • 4.2.2 대덕구 오정동 도시재생사업 47
      • 4.2.3 서구 도마동 도시재생사업 49
      • 4.2.4 중구 유천동 도시재생사업 51
      • 4.2.5 분석 종합 53
      • 4.3 도시재생 뉴딜사업 상권 활성화 방안 56
      • 4.3.1 물리적 측면 56
      • 4.3.2 경제적 측면 59
      • 4.3.3 사회적 측면 62
      • 4.3.4 문화적 측면 64
      • 4.3.5 분석 종합 66
      • Ⅴ. 결론 68
      • 참고문헌 71
      • ABSTRACT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