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업자기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대학생활만족도, 학과만족도, 진로경험의 효과와의 관계를 탐색하고 문제/프로젝트 기반 학습(Problem...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582555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9-66(2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업자기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대학생활만족도, 학과만족도, 진로경험의 효과와의 관계를 탐색하고 문제/프로젝트 기반 학습(Problem...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업자기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대학생활만족도, 학과만족도, 진로경험의 효과와의 관계를 탐색하고 문제/프로젝트 기반 학습(Problem/Project-Based Learning) 적용 여부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분석에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 3차 년도(KEEPⅡ :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Ⅱ)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 분석을 위해 AMOS 22를 사용하였고,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팬텀변수를 활용한 Bootstrap 분석,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첫째, 학과만족도는 대학생활만족도와 직업적자기인식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활만족도와 직업자기인식의 관계에서 진로경험이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활만족도와 직업자기인식의 관계에서 학과만족도와 진로경험은 순차적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PBL 수업 적용 여부에 따른 다중집단 경로분석결과, 대학생활만족도가 학과만족도, 진로경험, 직업 자기인식으로 가는 경로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학과만족도, 진로경험, 직업자기인식 향상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과 연구의 제한점 및 함의를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mpact of the job self-awareness of local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department satisfaction, and career experience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mpact of the job self-awareness of local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department satisfaction, and career experience and to verify the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PBL(Problem/Project Based Learning) is applied.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II of the Korea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 For this study, AMOS 22 was used. Bootstrap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using phantom variable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gree satisfac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vocational self-awareness. Second, career experience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job self-awarenes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job self-awareness, department satisfaction, and career experience were verifie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Fourth, as a result of multi-group path analysis according to whether PBL class is appli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th of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to department satisfaction, career experience, and occupational self-awareness. Based on these result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are discussed.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규환, "한ㆍ일관광전공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7 : 109-124, 2001
2 어윤경, "청소년기 진로상담 만족도, 대학 전공만족도 및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분석: 대학 전공선택 요인의 조절효과" 한국상담학회 12 (12): 1793-1811, 2011
3 박소희,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자기효능감, 직업가치, 주도성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14 (14): 307-331, 2011
4 이아라, "진로 불확실성에 내포된 부정적 결과에 대한 수용-회피 기반 처치가 한국 대학생의 진로탐색과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5 이승환, "지방대 활로는 어디에?...“지방대 육성정책 전면 제고와 대학 총정원 감축 필요"
6 신주랑, "지방대 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직장만족도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및 PBL의 조절된 매개효과"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2 (12): 2571-2584, 2021
7 신승훈, "조리전공 대학생의 요리경연대회 참가를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적용사례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9 (19): 598-608, 2019
8 남순현, "전공몰입과 직업가치: 성별, 지역별, 계열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223-242, 2005
9 인효연, "저학년 대학생의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학과만족도의 관계에서사회적 유대감의 매개 역할" 한국청소년학회 25 (25): 99-122, 2018
10 박현숙, "일부지역 보건의료계열 대학생들의 직업가치관 구성요인에 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 5 (5): 95-111, 2011
1 최규환, "한ㆍ일관광전공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7 : 109-124, 2001
2 어윤경, "청소년기 진로상담 만족도, 대학 전공만족도 및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분석: 대학 전공선택 요인의 조절효과" 한국상담학회 12 (12): 1793-1811, 2011
3 박소희,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자기효능감, 직업가치, 주도성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14 (14): 307-331, 2011
4 이아라, "진로 불확실성에 내포된 부정적 결과에 대한 수용-회피 기반 처치가 한국 대학생의 진로탐색과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5 이승환, "지방대 활로는 어디에?...“지방대 육성정책 전면 제고와 대학 총정원 감축 필요"
6 신주랑, "지방대 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직장만족도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및 PBL의 조절된 매개효과"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2 (12): 2571-2584, 2021
7 신승훈, "조리전공 대학생의 요리경연대회 참가를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적용사례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9 (19): 598-608, 2019
8 남순현, "전공몰입과 직업가치: 성별, 지역별, 계열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223-242, 2005
9 인효연, "저학년 대학생의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학과만족도의 관계에서사회적 유대감의 매개 역할" 한국청소년학회 25 (25): 99-122, 2018
10 박현숙, "일부지역 보건의료계열 대학생들의 직업가치관 구성요인에 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 5 (5): 95-111, 2011
11 정은영,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직업가치요인과 전문직 태도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 13 (13): 439-448, 2013
12 강현경, "유아생활지도 교과목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의 적용 효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6 (16): 539-561, 2015
13 조준오,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287-301, 2011
14 양은주, "실용음악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미치는 영향: 학습몰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매개효과" 한국예술교육학회 15 (15): 55-74, 2017
15 조성연, "성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731-748, 2006
16 윤상식, "산학협력기반 교과연계형 프로젝트중심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D대학교를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소 30 (30): 149-174, 2020
17 장경원,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들의 학습경험과 어려움 탐색"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14 (14): 109-138, 2019
18 손미, "문제중심학습(PBL)의 학습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225-251, 2008
19 배수명, "문제중심학습(PBL)을 이용한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와 내용 타당성: 치위생학과 임상치위생학 교과목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651-660, 2019
20 김지용, "무역․통상 전공 신입생에 대한 학사지도 교과과정 적용과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연구원 12 (12): 575-586, 2016
21 반기웅, "무너지는 지방대, 소멸하는 지방"
22 김경욱, "대학신입생의 진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97-218, 2011
23 박수복, "대학생활만족이 진로정체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광주·전남지역 4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261-275, 2018
24 소용준, "대학생활 적응에 따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취업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취업진로학회 6 (6): 23-44, 2016
25 이숙정,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589-607, 2008
26 김계현, "대학생의 학과(학부)만족의 요인에 관한 연구" 1 (1): 7-20, 2000
27 하혜숙, "대학생의 학과(학부)만족과 학교 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28 황매향, "대학생의 진로선택을 중심으로 한 Holland 이론의 문화간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653-666, 2004
29 홍소정, "대학생의 진로결정유형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0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9 (9): 311-333, 1997
31 한규철,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7
32 임주영,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대학생활만족도 및 성취동기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352-352, 2013
33 김지선, "대학생의 소명과 학과만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7 (17): 249-264, 2016
34 이종찬,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고용가능성에 차이와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 한국인력개발학회 15 (15): 215-245, 2013
35 이상희, "대학생의 성향변인, 진로장애,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399-417, 2006
36 김경미, "대학생의 긍정정서와 대학생활 만족도 및 진로준비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의 매개효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5 (25): 231-248, 2019
37 손은령, "대학생의 개인적 변인과 지각된 진로 장벽이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15 (15): 73-86, 2002
38 한예정, "대학생들의 가치관에 따른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 외식·조리 전공 -" (사)한국조리학회 19 (19): 76-92, 2013
39 전은화, "대학생 핵심 역량 기반의 진로 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293-318, 2015
40 정주영, "대학교육만족도, 직업가치관, 직업만족도에 관한 구조적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53-83, 2013
41 이길재, "대학교육 만족도 및 교수학습 성과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3 (33): 105-127, 2015
42 임은희, "대학 위기 극복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방안 자료집"
43 임상훈, "대학 PBL 수업 활성화 전략 탐색: A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6 (26): 1-23, 2020
44 강승희, "공학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291-307, 2010
45 김상진, "경호관련학과 대학생의 전공만족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8 (18): 53-64, 2007
46 조정인, "경상계열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32 (32): 357-375, 2017
47 김경남, "간호대학생의 디딤돌 학습법이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에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9 (9): 193-202, 2015
48 곽혜원,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비교 -수업연한 4년제 전문대학 간호과와 4년제 간호학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239-249, 2017
49 Duffy, R. D., "The salience of a career calling among college students : Exploring group differences and links to religiousness, life meaning, and life satisfaction" 59 (59): 27-41, 2010
50 Logue, C. 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vocational interest themes, and college major satisfaction" University of Tennessee 2005
51 Carvalho, A, "The impact of PBL on transferable skills development in management education" 53 (53): 35-47, 2016
52 M. J. Jeong.,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 Level in the Relations Between IntrinsicㆍExtrinsic Work Values and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Kookmin University 2018
53 DeWitz, S. J., "Self-efficacy and college student satisfaction" 10 (10): 315-326, 2002
54 Hall, D. T., "Psychological success: When the career is a calling" 26 (26): 155-176, 2005
55 Bate, E., "Problem-based learning(PBL): Getting the most out of your students - Their roles and responsiblities: AMEE Guide No.84" 36 : 1-12, 2014
56 Huebner, E. S., "Preliminar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life satisfaction scale for children" 6 (6): 149-, 1994
57 조성진, "PBL과 코칭을 활용한 대학 교양수업 개발 연구 -인성 교과목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67-80, 2020
58 이혜숙, "PBL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8 (8): 33-50, 2009
59 Pierce, J. L.,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n : Construct Definition, Measurement and Validation" 32 : 622-648, 1989
60 김현재, "Holland 직업선택이론에서의 일관도, 일치도, 변별도와 학과 만족도 및 진로 결정도 :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7
61 Plaud, J. J., "Freshman decidedness regarding academic major and anticipated and actual adjustment to an engineering college" 10 (10): 20-26, 1990
62 Hartman, B. W., "Career indecision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 A reply to Grites" 30 (30): 340-346, 1983
63 Dik, B. J., "Career development strivings : Assessing goals and motivation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planning" 35 (35): 23-41, 2008
64 Chemers, M. M., "Academic self-efficacy and first year college student performance and adjustment" 93 (93): 55-, 2001
65 조원길, "4차 산업혁명시대 무역인력양성 방향과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학회 44 (44): 67-85, 2019
66 반상진,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편람 시안 설명회 자료집"
코로나19와 전면적인 온라인 학습이 대학생의 협력학습 및 교수와의 상호작용에 미친 영향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의 교육학적 수용: 연구의 현황과 전망
사전실습에 대한 중등예비교사의 인식 탐색: 메타포 분석을 바탕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3 | 1.43 | 1.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 | 1.69 | 2.047 | 0.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