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 지역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활동, 가족지지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271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2015년 10월 4일 B광역시 소재 일 병원의 1004day 행사에 참여한 노인 201명...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2015년 10월 4일 B광역시 소재 일 병원의 1004day 행사에 참여한 노인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검증, 일원분산분석, 사후검증(Scheffe‘s-test), Pearson’s correlation,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삶의 질은 학력(F=5.87, p=.001), 동거형태(F=4.39, p=.005), 지각된 경제상태(F=16.25,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주관적 건강상태(r=.22), 사회활동(r=.25), 가족지지(r=.20)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각된 경제상태, 동거형태, 가족지지, 사회활동으로 확인되었으며, 총 23.6%를 설명하였다(R2= .236, p<.001).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가족지지 향상 프로그램 및 다양한 사회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identify the effective factors o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 data were collected on September 4, the subjects were 201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1004day event in B metropolitan city. The data were analyzed ...

      This study was identify the effective factors o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 data were collected on September 4, the subjects were 201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1004day event in B metropolitan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20.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level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was affect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education level(F=5.87, p=.001), living with whom(F=4.39, p=.005), perceived economic state(F=16.25, p<.001).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health status, social activity and family support. According to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is subjective economic status, living with whom, family support and, social activities, it was explained by 23.6%. Based on these findings in order to improve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by developing improved family support programs and various social activities program proposes to app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금룡, "한국노인의 사회활동: 노년기 여가활동과 자원봉사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5 (5): 1-15, 2002

      2 이혜원, "한·일 사회복지사의 노화사실 인지정도와 노인에 대한 태도 비교연구" 46 : 377-403, 2001

      3 허준수,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4) : 127-151, 2004

      4 이선혜, "지역사회 노인의 생활만족도, 건강행위와 성공적 노후간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 26 (26): 204-214, 2012

      5 김소남,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영적안녕,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 및 우울의 관계" 동서간호학연구소 19 (19): 186-194, 2013

      6 이지선, "중·고령 성인의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사회적관계망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김완석, "주관적 안녕 척도" 3 (3): 61-81, 1997

      8 강현숙, "재활 강화교육이 편마비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9 임민지, "재가노인의 허약정도에 따른 신체기능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차이" 한양대학교 2015

      10 김춘길,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도와 가족지지의 영향"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7 (17): 151-160, 2014

      1 이금룡, "한국노인의 사회활동: 노년기 여가활동과 자원봉사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5 (5): 1-15, 2002

      2 이혜원, "한·일 사회복지사의 노화사실 인지정도와 노인에 대한 태도 비교연구" 46 : 377-403, 2001

      3 허준수,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4) : 127-151, 2004

      4 이선혜, "지역사회 노인의 생활만족도, 건강행위와 성공적 노후간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 26 (26): 204-214, 2012

      5 김소남,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영적안녕,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 및 우울의 관계" 동서간호학연구소 19 (19): 186-194, 2013

      6 이지선, "중·고령 성인의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사회적관계망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김완석, "주관적 안녕 척도" 3 (3): 61-81, 1997

      8 강현숙, "재활 강화교육이 편마비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9 임민지, "재가노인의 허약정도에 따른 신체기능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차이" 한양대학교 2015

      10 김춘길,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도와 가족지지의 영향"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7 (17): 151-160, 2014

      11 서희숙, "재가노인의 자아존중감과 가족지지 및 자살생각의 관계" 노인간호학회 12 (12): 1-9, 2010

      12 장소영, "일 지역 농촌노인의 가족지지, 우울, 삶의 질의 관계"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11

      13 신현선, "일 지역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삶의 만족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4 진미환, "일 지역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행위, 우울 및 삶의 질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15 성혜영, "성공적 노화 개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 한국노년학회 22 (22): 75-93, 2002

      16 정우진, "상호제공적 가족내 지지와 가족외 지지가 은퇴고령자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7 이명숙, "독거 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성인간호학회 16 (16): 17-26, 2004

      18 전명수, "농촌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 (14): 298-310, 2014

      19 안종철,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 (14): 189-210, 2014

      20 박현식,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법제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법학회 (51) : 333-350, 2013

      21 장신재,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적 지지(사회활동, 가족/사회관계), 정서문제" 한국콘텐츠학회 14 (14): 225-235, 2014

      22 장백기, "노인의 취업활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1

      23 염동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우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0 (30): 27-50, 2014

      24 박영주, "노인의 외로움과 건강행위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6 (6): 91-98, 2004

      25 이갑숙,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91-306, 2012

      26 신성일, "노인의 삶의 질에 관련된 변인들의 메타분석" 한국상담학회 14 (14): 3673-3690, 2013

      27 박성복, "노인의 삶의 질 연구를 위한 통합적 접근" 서울행정학회 217-233, 2004

      28 박경혜, "노인의 사회활동이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6 (26): 275-289, 2006

      29 오승환, "노인의 사회활동 및 사회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중소도시·농촌·어촌지역을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3) : 209-231, 2007

      30 이묘숙,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은 사회적 고립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40 (40): 231-259, 2012

      31 이소정, "노인의 사회적 역할 유형과 삶의 만족" 한국사회정책학회 20 (20): 9-35, 2013

      32 배경화, "노인의 건강지각과 가족지지및우울 간의 관계" 17 (17): 139-152, 2012

      33 이문수,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주관적 건강상태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2

      34 이미란, "노인의 건강성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 가족지지 매개효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2011

      35 박재호, "노인에 대한 청소년의 사회적 지각과 태도, 노화, 노인문제-비교 문화론적 고찰" 영남대출판부 1985

      36 N. Mavaddat, "What determines the self-rated health of older individuals with stroke compared to other older individuals?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the Medical Research Council Cognitive Function and Aging Study" 13 (13): 1-10, 2013

      37 E. D. Diener,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49 (49): 71-75, 1985

      38 J. Rowe, "Successful aging" Pantheon Books 1998

      39 S. Cobb, "Social support as a moderate of life stress" 38 (38): 300-314, 1976

      40 M. Linn, "Self-evaluation of life function scale" 39 (39): 603-612, 1984

      41 A. K. Williams, "Physical illness and depress:Changes over time in middle age and elderly person" Portland state University 1985

      42 B. O. Dane, "Handbook of Gerontological services" Colombia University Press 1990

      43 M. P. Lawton,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32 (32): 91-99, 1982

      44 행정자치부, "2014 고령자 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